다산의 사서학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32.20
SKU
978899460633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01/12
Pages/Weight/Size 163*225*32mm
ISBN 9788994606330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다산 정약용의 사서학은
‘기학 또는 반주자학’이 아닌 ‘포스트-주자학’이다
중국의 대진, 일본의 이토 진사이, 오규 소라이와 비교하며 집대성한 역작

이 책은 다산학의 중요한 개척자로 알려진 대만학자 차이전펑(蔡振?, 국립대만대) 교수가 『여유당전서』를 비롯한 수많은 1차 사료를 분석하여 다산 정약용(1762~1836) 사서학의 전체적인 이론구조와 해석 방법을 집대성한 역작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다산학의 면모를 동아시아라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그동안 한국의 학자들이 착목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 중에서도 대진(1724~1777) 등의 중국학자와 일본 고학파 이토 진사이(1627~1705), 오규 소라이(1666~1728)의 사서 해석과 대조하여 다산 정약용 사서학의 특출한 점을 부각시킨 것이 압권이다.

동아시아에서 주자(1130~1200)의 사서 체제는 유학의 권위를 재건하는데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16세기 이후 동아시아 지식인의 기본적인 교양이 되었다. 하지만 명·청 교체를 경계로 전환을 맞이한 주자학은 17세기 이후 점차 그 지위가 흔들리며 중국과 일본, 조선의 많은 학자들에게 비판 대상이 되었다. 정약용의 사서학도 이전에는 반(反)주자학 진영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차이전펑의 연구에 따르면, 다산은 비록 주자의 ‘이-기’ 구조를 반대했지만 주자의 ‘인심-도심’ 구분은 반대하지 않았고, 사서의 지위에 대해서도 주자의 견해를 따랐다. 따라서 다산의 사서학은 ‘기학氣學’ 혹은 ‘반주자학’으로 분류할 수 없으며 동아시아 ‘포스트-주자학’의 대표작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이 책은 이론적 차원에서 다산의 사서학과 주자학, 일본 고학파와의 차이를 밝힌다. 또한 다산의 서학에 대한 수용, 다산학 가운데 근대 의식 및 조선중화주의에 대해서도 실증하고 있다.
Contents
한국어판 머리말
추천의 글

1장 문제와 방법
1. 사서학의 방법 개념
2. 시대의 전환과 주희 사서학의 변화
3. 동아시아 학술에서 정약용의 의미

2장 주희와 정약용, 사서 해석의 차이
1. 주해의 내용과 해석의 방향
2. 『논어』의 관중에 대한 평가
3. 의리 지향과 의의 지향의 해석 체계
4. 사서의 텍스트 구조 내에 포함된 두 가지 해석 체계

3장 정약용의 인성론과 수사학, 주자학 및 서학의 차이
1. 정약용의 입장에 대한 두 가지 견해
2. 정약용 성기호설의 연원과 특색
3. 정약용의 심성론과 상제에 대한 이해
4. 정약용 사서학 중 성삼품설의 이론적 위치
5. 맹자의 심성론으로 회귀하는 정약용의 인성론

4장 정약용의 사서 해석 중 ‘인, 심, 성, 천’의 이론적 의미
1. 공자의 인학설에 들어 있는 중요한 개념들
2. 정약용의 인학설 중 ‘상호 주체’의 동태적?정태적 측면
3. 주체성에서 상호 주체성으로, 기호의 ‘성’과 인을 할 수 있는 ‘이’
4. ‘성, 도, 교’의 해석 구조하의 ‘천인’ 관계와 정약용 사상 중 ‘천’의 이론적 지위
5. 인학설과 사천철의 주체성, 상호 주체성 그리고 초월성에 대한 탐구

5장 주체성과 상호 주체성의 전개, 정약용의 문질론
1. ‘예악형정’을 중심으로 하는 유학 해석과 정약용의 논술 경향
2. ‘문질’ 문제에 대한 조선 학자의 세 가지 해석 경향
3. 성호 이익의 ‘충, 질, 문’에 대한 고찰과 그 영향
4. 정약용의 문질론
5. 정약용의 문질론의 가치

6장 정약용 『중용』 해석의 특색, 일본 고학파와의 비교
1. 『중용』에 대한 질의와 위치 설정
2. 일본 고학파의 『중용』에 대한 해석
3. 이토 진사이와 오규 소라이의 『중용』 해석의 사상사적 의미
4. 비교의 관점에서 본 정약용의 『중용』 해석
5. 정약용과 일본 고학파의 해석상의 차이
6. 정약용의 일본 고학파에 대한 태도

7장 정약용의 『대학』 해석과 사서학 구조
1. 『대학』의 가치와 일본 고학파의 견해
2. 정약용의 『대학』 해석
3. 정약용의 『대학』 해석으로 본 『사서』 해석 구조
4. 정약용ㅇ의 사서학에 대한 전체적 구상

8장 결론
1. 정약용 사서학의 출현이 지닌 의미
2. 정약용의 사서학은 ‘포스트 주자학’이다
3. 정약용의 사서학의 조선 중화주의와 근대 의식

옮긴이 후기
참고 문헌
미주
찾아보기
Author
차이전펑,김호,김중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