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

형이상학은 꼭 필요한가?
$7.34
SKU
978899421006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Wed 06/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Wed 05/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2/18
Pages/Weight/Size 135*210*20mm
ISBN 9788994210063
Categories 청소년 > 청소년 철학/종교/윤리
Description
형이상학은 '어떤 것이 실제로 존재하는가?', '나란 무엇인가?'와 같은 존재에 관한 문제들을 다룬다. 인간은 언제나 새로운 문제에 직면한다. 그 문제가 사소하든 심대하든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세계와 자신에 대한 이해는 중요한 바탕이 된다. 형이상학적 사유는 세계와 인간 자신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지평과 터전을 마련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케 해 준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언제나 요구되며 유효한 이 형이상학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민음 지식의 정원 철학편 시리즈에서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원리와 본질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고 있다. 인식론, 형이상학과 같은 철학의 전통 분야는 물론 사회 철학, 윤리학, 성 철학, 종교 철학 등 다양한 철학의 분과를 접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일상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여 철학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이 책은 시리즈 제 5권 『형이상학』으로 '형이상학은 꼭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명쾌한 답을 해준다.
Contents
머리말 형이상학은 꼭 필요한가?

1 형이상학은 우리의 삶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합목적적 삶이란 무엇일까?
철학은 왜 합목적적 삶에 기여해야 할까?
형이상학은 우리 삶에 어떤 유용성이 있을까?

2 철학에서 형이상학은 어떤 역할을 할까?
형이상학의 임무는 쓰레기 청소일까?
쓰레기 청소를 넘어서는 형이상학의 역할은 무엇일까?

3 도대체 형이상학적 문제란 어떤 것일까?
형이상학과 과학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형이상학은 어떤 문제를 다룰까?
실재와 개념은 서로 어떤 관계에 있을까?
형이상학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

4 어떤 사람이 형이상학적 사유를 할까?
인간과 동물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본질적 특징은 무엇일까?
형이상학적 질문이란 무엇일까?

5 형이상학적 사유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세상은 물로 이루어졌다는 말은 어떤 의미일까?
변화가 세상의 참된 모습일까?
세상에는 변화란 결코 존재하지 않는 걸까?
형이상학의 두 가지 대립적인 세계관은 철학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6 플라톤적 사랑은 정말 가능할까?
현상의 배후에는 무엇이 있을까?
현상과 실재는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질 수 있을까?
특수와 보편은 서로 배타적 관계에 있을까?

7 자연 과학은 형이상학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철학은 어떻게 신학의 시녀가 됐을까?
과거에는 왜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했을까?
지동설은 어떻게 새로운 우주관으로 관철됐을까?
철학도 과학처럼 엄밀하고 객관적일 수 있을까?

8 어떻게 세상의 중심에 인간이 자리하게 됐을까?
학문의 튼튼한 토대는 왜 중요할까?
모든 것을 의심할 때 남는 것은 무엇일까?
생각하는 나는 육체와 어떻게 연결될까?
확실한 지식의 원천은 이성 이외에는 없을까?
경험으로부터 보편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을까?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은 무엇일까?
자연법칙의 입법자는 누구일까?

9 여전히 인간 주체가 세계의 중심에 자리할 수 있을까?
인간 중심주의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
이성의 타자는 어떻게 새 무대의 주인공으로 등장했을까?
형이상학적 사유는 여전히 유효한가?

더 읽어 볼 책들
Author
김화성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박사논문 “Kants transzendentale Konzeption der Subjektivitat und Beweis der Zweiten Analogie der Erfahrung i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강원대, 고려대, 건국대, 동덕여대에서 시간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서양이 동양으로 걸어오다』가 있고 논문으로 「인간은 본성상 악하다」, 「도식론의 체계적 위상에 대하여」, 「통각의 초월적 통일과 주관적 표상의 관계」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박사논문 “Kants transzendentale Konzeption der Subjektivitat und Beweis der Zweiten Analogie der Erfahrung i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강원대, 고려대, 건국대, 동덕여대에서 시간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서양이 동양으로 걸어오다』가 있고 논문으로 「인간은 본성상 악하다」, 「도식론의 체계적 위상에 대하여」, 「통각의 초월적 통일과 주관적 표상의 관계」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