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원제인 ‘푸가Fuga’는 바흐의 음악으로 널리 알려진 서양의 악곡 형식이다. 독립된 멜로디들이 서로 서로 쫓고 모방하고 어우러지는 형식 탓에 푸가를 들으면 여러 가지 모순된 감정과 자유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프랑스 문단에서 촉망받는 신예 메드비는 이 음악 형식을 소설로 읽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이는 국제법과 외교학을 공부하면서 피아노 연주와 오페라 연습을 계속한 작가 자신의 남다른 이력과 무관하지 않다.
소설의 주인공 클로틸은 뛰어난 피아노 연주 실력에, 국립음악학교 학위, 비교언어학 석사, 외국어를 3개 국어나 구사하는 엘리트 여성이다. 그러나 서른셋, 아직 젊은 그녀에게는 잘나가는 파일럿 남편과 아이들이 넷이나 있다. 국제법을 공부하며 피아노를 연주하고 소설을 쓰면서 책 제본사로 일하고 있는 작가 메드비처럼, 소설 속 클로틸 역시 이렇게 다재다능한 재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집에서 살림하고 아이들을 키우는 데 몰두한다. 이 주인공 혹은 작가의 다양한 관심사와 열정이 이 소설 『퀴르강의 푸가』에서 ‘푸가’ 형식으로 다양하게 변주되고 반복되고 어우러진다.
Contents
*제1제시부exposition
“어린 딸이 사라져서 공포에 질렸어요. 다행히 딸은 무사해요. 그런데 목소리가 안 나와요. 이유를 모르겠어요. 목구멍에서 빈 바람 소리만 들려요.”
실종|사라진 목소리|모든 게 지나간다|서른셋|바흐의 인벤션|아이들|남편의 귀가|빈 바람 소리|붉은 피망, 마늘 조금, 죄책감과 분노|참으로 사소한 차이|오페라 프로비타|첫 치료|포도밭의 밥티스트|소리 연습|아틸레르 씨의 물레방앗간|노래하는 목소리|인디언 서머
*제2전개부development
“착한 여자 콤플렉스는 이제 좀 벗어 버리는 게 어때! 네가 노래를 해도 주변 사람들은 아무것도 잃을 게 없어. 무언가를 얻으면 얻었지. 아직도 모르겠어? 너를 그토록 의심하게 하고 괴롭게 만드는 그 ‘저음’은 바로 네가 평소에 말할 때 사용하는 그 목소리야!”
퀴르 강변 피크닉|매듭 풀기|메조뇌브 부인|우정의 죽음|성악 교습 1|아니마 문디|차가운 위임장|증류 공정|수녀회 성가대|예배당에서|낯선 목소리|곡예비행|추락 사고|외로움|못 도난 사건|음악적 시간|‘예전의 클로틸’|성악교습 2|휴전|휴전 2|개점|손님들|과묵한 남자|밥티스트 이야기|최악의 순간|침묵과 노래 사이에서|성악 교습 3|영원한 작별|사라진 떨림|성악 교습 4|소심한 반항|알쏭달쏭한 미소|실용적인 규칙들|수도원에서의 성악 교습|성악 교습 5|되찾은 우정|수도원 공연|알릭스의 임신|성악 교습 6|아버지의 편지|크리스마스 푸가
*제3재현부recapitulation
“넌 이제 프로 오페라 가수가 된 거야.”
그녀의 가슴속에서 폭죽 터지는 소리가 들리는 것만 같았다.
그녀는 드디어 ‘누군가’가 된 것이다.
향유고래와 쉬쉬 부인의 향수|병든 보|공연|프로 오페라 가수|베토벤 교향곡 9번, 첫 세 악장|또 한 번의 기회|샤티이 오디션|라일락색 스카프|커 가는 아이들|페스티벌|로열오페라 주연 가수|1년 후…|보의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