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천(天)에 대한 의식]은 공자의 종교사상을 논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는 달리 공자는 종교 문제에 대해 매우 경건한 태도를 가졌고, 천을 인격적 유일신으로 인정하고 있었음을 주장했다. [육천설(六天說)의 배경]은 한대(漢代) 훈고학의 집대성자로서 알려진 정현(鄭玄)이 천제(天祭)로 인정하고 있는 제사의 종류를 모두 열거하고서 그 각 제사들의 성격을 설명한 것이며, 그가 이를 위해 도입한 육천설은 위서(緯書)에서 유래한 것임을 밝혔다. [진(秦)의 육치(六?)에 대하여]는 제후국 시절로부터 통일제국에 이르기까지 진대(秦代)에 설치된 여러 제단(祭壇)과 그 제사의 성격을 논구한 것이다. [한대(漢代) 교사(郊祀)의 연혁-정현주(鄭玄注)에 이르는 과정-]은 진대의 제사 제도를 계승하여 출발했던 한대 교사의 변천을 통해 그것이 근세에 이르도록 길이 계승된 남북교설(南北郊說(로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을 해명하고, 정현의 경서 주석에 나타난 교사는 후한대에 실제로 행해지고 있었던 제도에 근거한 것이었음을 밝혔으며, 아울러 교사 제도의 변천과정에서 육천설이 처음 대두했던 시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Contents
* 머리말
공자의 천天에 대한 의식
1 서언
2 전통적 제의祭儀
3 천의 인격성
4 소명의식
5 인식의 한계
육천설六天說의 배경
진秦의 육치六?에 대하여
한대漢代 교사郊祀의 연혁 -정현주鄭玄注에 이르는 과정
1 문제의 성격
2 고조高祖의 북치北? 설립
3 문제文帝의 위양오제묘渭陽五帝廟
4 무제武帝의 천지사天地祠 설치
5 남북교설南北郊說의 대두
6 왕망王莽의 개제改制와 그 영향
7 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