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유가 철학

$23.00
SKU
97889939589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hu 12/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Thu 12/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5/3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93958928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조선시대의 신유가 철학을 다루었다. 신유가 철학이란 기존에 주자학을 포함한 성리학을 가리켰다. 하지만 이 책은 성리학뿐만 아니라 서학西學을 수용한 다산 정약용의 사상도 포함시켰다. 따라서 이 책에서 가리키는 신유가 철학이란 성리학뿐만 아니라 서학과 유가가 융합된 정약용의 학문을 말한다. 명?청시대의 서학이 조선에 전래되었지만 유가와 융합되어 다산학이 성립되었다. 그는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의 영향을 받아 선진유가와 융합하여 창의적인 사상을 이루어냈다. 대개 정약용의 사상을 실학實學이라고 칭하지만 필자는 그렇게 칭하지 않고 신유가 철학이라고 이름 붙였다. 왜냐하면 실학은 이미 주희가 스스로를 그렇게 칭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학은 특정 학풍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용어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실학이라는 용어 대신 정약용이 서학을 수용하여 유가와 융합시켜 창의적인 사상을 이루어 냈기 때문에 신유가 철학이라고 칭하였다.
신유가 철학으로서 주자학은 고려 말에 유입되었지만 조선시대의 화담 서경덕에 이르러 그 독창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한국 신유가철학의 시조는 서경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 의하여 논리적으로 새롭게 정립되어 퇴계학과 율곡학이라는 창의적인 성리학으로서 신유가철학이 이루어졌다. 주희의 이중적인 리개념에 대하여 이이는 무위無爲, 이황은 본체는 무위이지만 그 작용은 유위有爲라고 하여 체용體用론으로써 논리적으로 재정립하였다. 이 때문에 훗날 이이를 시조로 한 기호학파와 이황을 시조로 한 영남학파의 논쟁이 수백 년 동안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이가 리의 무위뿐만 아니라 리가 작용한다는 것을 다루었다. 그것은 지금까지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것이다.
Contents
서문

Ⅰ 기호학파의 성리학
1. 이이의 기 없는 상태에서 리의 작용과 리무위?기유위
1) 리의 작용과 무위는 모순?
2) 기 없는 상태에서 리의 작용
3) 리의 작용과 리무위?기유위와의 관계
4) 리의 작용: 초년 미정설, 무위: 만년 정설
2. 본연지기에서 정기와 기질체청까지: 이이에서 홍직필과 전우까지
1) 본연지기에서 기질체청으로 전개
2) 기의 정조
3) 기의 주재
4) 기질체청
5) 본연지기에서 정기와 기질체청으로 발전
3. 전우의 주재와 인물성편전론
1) 주재설과 인물성편전론의 기원
2) 심성의 주재
3) 인간과 다른 생물의 성의 편벽과 완벽
4. 전우의 선과 그 실천으로서 파리장서에 대한 인식
1) 선의 실천과 파리장서
2) 선의 발현
3) 실천 : 거경치지
4) 선의 실천으로서 파리장서 거부
5. 전우의 이항로 이기설에 대한 비판과 심설논쟁
1) 이기의 동정과 심설
2) 리가 동정하는가 기가 동정하는가
3) 심설논쟁: 심합이기 대 심즉기
4) 전우: 기의 동정과 심즉기, 이항로: 리의 동정과 심합이기
6. 주희 리기설의 쟁점에 대한 이항로의 이해
1) 이기의 동정과 선후
2) 이기선후의 유무
3) 리의 능동
4) 이발: 이황의 영향, 이기선후 문제: 이이와 송시열의 영향



Ⅱ 영남학파의 성리학
1. 이진상-심즉리설의 연원
1) 율곡학파의 심즉기설 비판으로서 이진상의 심즉리설
2) 주희의 체용론적 심설
3) 심즉리설의 연원
4) 이황의 심합이기의 본체로서 이진상의 심즉리
2. 이진상의 심합이기와 심즉리
1) 이진상은 심즉리만을 주장하였는가?
2) 심합이기 속의 심즉리
3) 심합이기의 본체로서 심즉리
3. 이진상의 왕수인 비판에서 나타난 양자의 차이점
1) 이진상과 왕수인의 심즉리
2) 이진상의 왕수인 심즉리설 비판에서 나타난 양자의 차이점
3) 이진상의 심즉리: 리, 왕수인의 심즉리: 양지
4. 평포논쟁의 쟁점으로서 유리무기
1) 영남학파의 평포논쟁
2) 이생기에서의 유리무기
3) 이선기후에서 유리무기
4) 이진상: 유리무기, 이종기: 유리무기 부정



Ⅲ 서학과 유학의 융합으로서 신유학
1. 정약용의 상제와 심의 관계에서 나타난 모순적 논리 검토와 그 진의: 선진유학과 서학의 융합
1) 천이 인간에게 준 자주지권과 상벌의 관계
2) 상제와 심의 관계
3) 인간의 자주권과 천의 분노 및 상선벌악의 관계
4) 진의: 마음 속의 천을 회복
2. 정약용의 상제와 인심도심과 사단칠정의 관계에서 나타난 모순적 논리검토와 그 진의
1) 천의 자주지권과 인심의 모순적 논리 검토
2) 천과 인심도심과 사단칠정의 관계에서 나타난 모순적 논리검토와 그 진의
3) 진의: 천의 인간 악행에 대한 감시


Ⅳ 송시열과 정약용
1. 조선후기 사단칠정설 변화의 두 양상: 송시열과 정약용
1) 사단칠정설의 새로운 변화
2) 변화의 두 양상
2) 사단과 칠정은 모두 천리의 공公과 형기의 사私에서 발동: 정약용
3) 사단과 칠정 모두 중절과 부중절 및 공과 사의 공존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