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의 수양론

$28.75
SKU
978899395863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4/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93958638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주자는 『논어』·『맹자』를 중심으로 한 선진유학을 철학적으로 해석하여 미발함양공부의 근거로 삼았다. 즉 주희는 유가의 심성은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함양하는 것임을 규명하고 마음의 현행적 흐름에서 본체를 직관하거나 즉각적으로 인식하려는 여러 이론들을 비판하였다. 이는 불교의 심성개념을 받아들여 유학을 이해하는 학문적 흐름에 대한 비판적 평가이며 유가의 대응이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자가 유학의 학문적 계승을 이루었고 주요 이론들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미발함양공부론의 철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렇게 미발함양공부론이 함양을 중심으로 한 공부론으로서 주자학과 다른 학문을 구별 짓는 중요한 특징이며 인간의 심성에 대한 깊은 철학적 사유라는 점에서, 이 책은 함양론을 동아시아 사유의 중요한 학문적 방법론으로 정위하였다. 이 책에서는 주자학(朱子學)의 미발(未發)을 심성(心性)의 합일지점으로 보고 그것이 자발성과 필연성을 갖는다는 점을 밝혀 기존의 주자학 연구를 비판하였으며, 미발을 함양(涵養)하는 공부론(工夫論)이 주자학 체계의 중심이며 다른 학파와의 변별점임을 규명하였다.
Contents
머리말

Ⅰ 주자학의 이해
1. 연구사 정리: 자율과 타율
2. 연구 방향: 함양과 확충

Ⅱ 함양론의 정립
1. 중화신설中和新說의 심성이해
1.1 심의 체용
1.2 성정의 체용
1.3 심통성정
2. 본체의 미발
2.1 도의전구
2.2 중과 허명
2.3 불용이不容已와 미상식未嘗息
2.4 지각불매
3. 공부의 미발
3.1 치중화致中和
3.2 혼명昏明
3.3 양성養性: 수성修性과 존성存性 사이
3.4 존심양성存心養性

Ⅲ 경과 수신
1. 중화구설中和舊說 공부의 비판
2. 존심과 경
2.1 심신과 내외
2.2 정제엄숙整齊嚴肅
2.3 논ㆍ맹의 공경과 심성
3. 경 공부의 함의
3.1 용모사기容貌辭氣의 위상
3.2 심성론의 근거
3.3 수신

Ⅳ 존양과 성찰
1. 치중致中의 함의
2. 정시靜時공부와 동시動時공부
3. 미발기상의 체인 이해
3.1 구중求中 비판
3.2 존천리存天理
3.3 정시공부의 성립
4. 동시공부의 맥락
4.1 치화致和와 심기審幾
4.2 선악관善惡關
4.3 무자기毋自欺
5. 이발성찰의 특성
5.1 물욕과 기질
5.2 기질변화론
6. 성찰의 함의
6.1 이발已發과 장발將發
6.2 찰식설 비판
6.3 성찰의 의미

Ⅴ 함영재배론
1. 함영의 의미 맥락
1.1 함영涵泳과 재배栽培
1.2 의리 강명의 함의
1.3 천리인욕론
2. 사역도리思繹道理와 그 함의
2.1 사역도리
2.2 온고溫故와 시습時習
3. 인식과 함양
3.1 일회성의 한계
3.2 각覺의 위상
3.3 이지已知의 의미
3.4 인식에서 함양으로

Ⅵ 격물치지론
1. 소학과 대학
1.1 쇄소응대灑掃應對의 함의
1.2 습예習藝와 유예遊藝
1.3 소학과 거경궁리
2. 격물치지의 구도
2.1 지의 천심淺深
2.2 확충의 논리
3. 치지의 방법: 격물
3.1 즉물궁리卽物窮理의 함축
3.2 치지와 격물
3.3 심과 리의 관계
3.4 사물과 독서
4. 관통의 이해
4.1 표리정조表裏精粗
4.2 생숙生熟: 진약眞略과 혼명昏明

Ⅶ 타 학파 비판
1. 선불교 비판
1.1 작용시성作用是性
1.2 유체무용有體無用
1.3 좌선ㆍ좌망과 정좌
1.4 작용처의 문제
2. 호상학 비판
2.1 식심識心의 폐해
2.2 궁리의 결여
3. 강서심학 비판
3.1 대체大體의 인식
3.2 무성지칭無星之稱

Ⅷ 미발함양공부론
1. 미발함양공부론의 철학사적 의의
2. 인식에서 함양으로

ㆍ참고문헌
ㆍ찾아보기
Author
이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