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와 이정형제의 철학

기철학과 리철학의 대립
$28.75
SKU
978899395861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3/0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93958614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장재와 이정 형제는 신유학의 개창자로서 후대 신유학 사상의 전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무엇보다 신유학 사상을 대표하는 두 개념, ‘리’와 ‘기’가 장재와 정호ㆍ정이 형제에 의해 주창되었기 때문이다. ‘기’ 철학과 ‘리’ 철학은 근본적인 전제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장재는 세계와 인간을 ‘기’라는 단일한 실재로 설명하는 일원론적 사유의 전형을 보여주는 반면, 정호와 정이에게서 ‘기’는 단지 현상의 질료적 차원일 뿐이며 세계와 인간의 존재 및 운동의 근거로서 ‘리’가 별도로 존재한다는 이원론적 사유를 드러낸다. 이러한 차이는 신유학의 형이상학적 본체론은 물론이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드러내는 심성론, 도덕 실천 방법론을 제시하는 수양론 등 유학적 사유 전 영역에서 나타난다.

이 책의 본론은 이러한 장재와 이정 형제의 근본적인 전제의 차이가 어떻게 본체론과 심성론, 그리고 수양론의 차이로 이어지는가를 구명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여기에서 망라되는 신유학의 주요 개념들은 기존의 일반적 설명과 달리, 장재와 이정 형제가 제시하는 원전 맥락에 따라 고찰하고자 노력하였다.
Contents
머리말

Ⅰ 서론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흐름과 비판

Ⅱ 예비적 고찰
1. 장재 및 이정형제의 학술 관계
1) 장재와 이정형제의 만남
2) ‘낙학’의 형성과 ‘관학’과의 관계
3) 저작 속에 나타난 상호간의 평가
2. 이정 철학과 관련된 쟁점 검토
1) 정호와 정이 철학의 동이同異 여부
2) 도道와 기器: ‘소이所以’의 해석
3) 정호 철학과 양명학

Ⅲ 본체론의 차이
1. 장재의 기 일원론
1) ‘태허즉기太虛卽氣’의 이중적 의미
2) 태허太虛와 신神
2. 이정형제의 장재 본체론 비판
1) 이분화된 기
2) ‘형이상’과 ‘형이하’
3. 이정의 리理 본체론
1) 정호의 리: ‘대립 작용[對]’과 ‘역易’
2) 정이의 리: ‘소장消長’과 ‘생생生生’
3) 강조점의 차이: 초월과 내재

Ⅳ 심성론의 대립
1. 장재 심성론의 기본 관점
1) 천지지성과 기질지성
2) 덕성지와 문견지
3) 복초설
2. 이정형제의 본성론
1) 본성과 기의 관계
2) 본성의 발현
3) 정이의 본성과 자질[才]
3. ‘중中’개념을 둘러싼 심성론의 대립
1) 장재와 정호의 ‘중中’개념
2) ‘중’의 의미와 위상
3) 적자지심赤子之心의 문제
4. 정이의 마음 이론
1) 마음의 미발未發과 이발已發
2) 마음과 외물의 관계
3) 지각의 문제

Ⅴ 수양론의 문제
1. 「정성서」에 나타난 장재와 정호 수양론의 쟁점
1) 「정성서」에 나타난 장재의 인식
2) 「정성서」의 내용과 정호의 비판
2. 장재 수양론의 구도
1) 수양의 목표: 기질변화氣質變化
2) 수양의 방법: 예禮와 궁리窮理
3) 앎[知]의 문제: 진물盡物과 진심盡心
3. 이정형제의 수양론과 장재 비판
1) 마음 기르기[養心]: 기氣와 지志
2) “극기복례”의 문제
3) 경敬과 의義
4. 정이에 있어 ‘지’의 문제
1) 치지致知: 도덕적 지각의 확충
2) 학學: 격물 궁리의 방법

Ⅵ 결론

Ⅶ 부록: 장재와 이정형제의 저술

1. 장재의 저술
2. 이정형제의 저술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현선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및 박사 학위(동양철학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은 신유학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준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이 상호대립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사상적 내용을 조망하였다. 현재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이 중국과 한국 유학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 옮긴 책으로 『정명도와 정이천의 철학』이 있으며, 논문은 「장재 수양론에 대한 이정의 비판」, 「정이의 ‘중’과 ‘미발’개념 연구」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및 박사 학위(동양철학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은 신유학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준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이 상호대립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사상적 내용을 조망하였다. 현재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이 중국과 한국 유학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 옮긴 책으로 『정명도와 정이천의 철학』이 있으며, 논문은 「장재 수양론에 대한 이정의 비판」, 「정이의 ‘중’과 ‘미발’개념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