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규의 고대사갤러리

동이에서 발해까지
$17.82
SKU
978899395269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Wed 05/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Wed 04/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11/28
Pages/Weight/Size 152*224*20mm
ISBN 978899395269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의 저자 박영규가 들려주는
우리 고대사 이야기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의 저자 박영규가 ‘한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이후 처음으로 한국사 책을 출간했다. 《박영규의 고대사갤러리》가 그것이다.
저자는 동이, 치우, 훙산문명 등 한민족의 뿌리 찾기에서 시작하여 고구려, 백제, 신라의 흥미로운 왕실 이야기와 고구려의 옛 땅을 수복하여 동방의 종주국이 된 발해사까지 단번에 정리한다. 또 단군신화에 관한 의문과 진실을 파헤친다.
책은 동이관을 시작으로 고조선관, 고구려관, 백제관, 신라관, 가야관, 발해관 등 7관으로 구성했다.
Contents
책머리에_ 고대사는 고대인과 현대인의 공동창작물이다

제1관 | 동이관

1 한민족의 뿌리
상고대의 이상향 동이 | 구이국 왕 치우 | 황허문명보다 앞선 랴오허문명

2 하·은·주 시대를 호령하다
하나라를 정벌한 예왕 | 하 왕조의 상국으로 군림하다 | 상 왕조를 무너뜨리고
중원을 차지하다 | 서이, 주 왕조를 굴복시키다 | 춘추오패와 전국칠웅에 밀려나다

제2관 | 고조선관

1 최초의 국가로 등장한 고조선
고조선이라는 용어의 등장 | 조선의 명칭 유래

2 중국 역사서에 등장하는 고조선의 기록
《산해경》에서 찾은 고조선의 흔적 | 진수의 《삼국지》에 나타난 기자조선 |
기자동래설 | 《사기》와 《한서》에 기록된 위만조선

3 고조선인들의 발자취
고조선을 상징하는 유물 세 가지 | 팔조금법과 부여의 법 | 상투와 흰옷

4 단군신화에 관한 의문과 진실
단군왕검의 숨은 의미 | 환인은 어떤 존재인가? | 환인의 서자 환웅 |
《제왕운기》와 《삼국유사》에 나오는 단군신화의 차이 |
《삼국사기》에 단군신화가 기록되지 않은 이유 |
《삼국유사》의 단군신화 기록에 관한 세 가지 의문점 | 단군기원의 사용

제3관 | 고구려관

1 고구려사 요략
전기_졸본 땅에서 나라를 일으켜 요동의 맹주가 되다 |
중기_중국 대륙의 분열을 틈타 북방의 강자로 부상하다 |
후기_수·당의 연이은 침략과 자중지란으로 700년 왕조 무너지다

2 고구려 왕실 이야기
고구려 왕실은 언제부터 고씨 성을 사용했을까? |
주몽과 소서노의 정략결혼으로 탄생한 고구려 | 고구려 왕 중에 가장 장수한 왕은? |
유리명왕은 왜 두 명의 아들을 죽였는가? | 호동왕자는 왜 자살했을까? |
고국천왕 무덤을 일곱 겹 소나무로 가린 까닭 | 왕이 된 거지 을불 |
비운의 왕 고국원왕과 장수왕의 복수 |
가출소녀 평강과 동네 바보 형 온달의 러브스토리는 실화일까?

3 고구려의 행정 체계와 사회
도읍과 궁궐 | 중앙조직과 작위 | 지방 조직 | 신분 제도 | 인구 | 교육기관

4 고구려사의 반정과 반란 이야기
두로의 반정 | 명림답부의 반정 | 창조리의 반정

5 고구려사를 풍미한 인물들
고구려의 명재상들_ 명림답부, 을파소, 창조리 | 고구려의 명장들_부분노, 괴유,
유유, 을지문덕, 양만춘 | 권력에 눈먼 독재자 연개소문

6 광개토왕릉비의 내용과 역사적 의미
발견 과정 | 탁본과 판독 | 능비에 비춰본 고구려 왕들의 명칭 분류 |
비문의 주요 내용

제4관 | 백제관

1 백제사 요략
전기_마한 54국 중 하나에서 마한의 지배자로 성장하다 |
중기_마한을 통일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다 |
후기_영토가 축소되고 국력이 쇠락하여 몰락을 향해 치닫다

2 백제 왕실 이야기
소서노의 망명과 백제 왕실의 탄생 |
백제 왕실은 언제 독자적으로 국제 사회에 이름을 알렸을까? |
백제 왕실의 왕위 계승권 다툼 | 왜국과 국교를 맺은 근초고왕 |
일본에서 10년을 지낸 전지왕 | 궁월군에서 왕인까지 |
왜국 왕녀에게서 태어난 구이신왕 | 응신천황의 후궁이 된 신제도원 |
천황의 구애를 거절하고 사랑을 위해 죽은 지진원 |
왜국 섬에서 태어난 무령왕과 왜국에서 자란 동성왕

3 백제의 행정 체계와 사회
도읍과 궁궐 | 행정 조직 | 인구

4 백제의 대륙 진출과 대륙 백제의 위치
백제는 언제 요서를 차지했는가? | 백제의 대륙 땅은 어디였을까?

5 백제사를 풍미한 인물들
하늘이 낳은 재사 성충과 백제 무장의 혼 계백 |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백제인들

6 칠지도와 인물화상경에 새겨진 명문의 역사적 의미
칠지도에 새겨진 명문의 내용 | 남대적에게 동경을 보낸 까닭은?

제5관 | 신라관

1 신라사 요략
삼국시대_ 박, 석, 김 세 왕실이 연합하여 삼한 통일의 대업을 이루다 |
통일신라_ 삼한의 땅을 하나로 엮어 대국 건설을 꿈꾸다

2 신라 왕실 이야기
신라 왕조의 특이한 왕실 구성과 왕위 계승 |
신라왕을 지칭한 용어_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
처참하게 살해된 혁거세왕과 알영왕비 | 탈해와 알지의 정체는? |
왕까지 갈아치우는 신라 왕비들 | 왕권을 쥐고 흔든 명원부인 |
석씨 왕실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한 김씨 왕실 |
지증왕의 독특한 신체 덕분에 왕비가 된 연제부인 박씨 |
지소태후와 사도부인의 궁중 암투

3 통일신라를 뒤흔든 양대 반란사건
흠돌의 난 | 김헌창의 난

4 신라의 행정 체계와 사회
도읍과 궁궐 | 골품제 | 화백제도 | 행정 조직 | 군사제도 | 인구

5 신라사를 풍미한 인물들
신라 충절의 대명사 박제상 | 신라 음악의 최고봉 백결 박문량 |
신라 무장의 전설 흥무대왕 김유신 | 신라 불교의 양대 산맥 원효와 의상 |
혼란기의 기린아 장보고

6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와 그 배경에 숨겨진 비밀
왜국이 연오와 세오를 데려간 이유 | 까마귀를 불러들이는 사람들

제6관 | 가야관

1 가야의 탄생과 김수로왕
가야국의 출현 | 가야 연맹의 ‘우두머리왕’ 수로

2 가야의 건국 설화가 둘이 된 까닭
가야의 의미와 유래 | 건국설화에 숨겨진 비밀

3 임나, 그 베일 속에 감춰진 진짜 얼굴
식민 사학에서 벗어나야 제대로 볼 수 있다 | 임나의 존재를 둘러싼 기록 |
임나 명칭의 유래 | 임나는 가야 전체인가, 일부인가? |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소나갈질지와 도노아아라사등의 정체는? |
임나는 자유 무역도시였다

4 왜왕 비미호의 정체와 일본 역사에서 사라진 240년
비미호는 신공황후인가? | 사라진 여왕들 |
《일본서기》가 240년 역사 왜곡한 이유 | 사라진 여왕들의 출신 성분 |

제7관 | 발해관

1 발해의 건국
계속되는 항전 | 거란족의 독립

2 발해사 요략
전기_ 고구려의 옛 땅을 수복하여 동방의 종주국이 되다 |
후기_ 북방의 최강국으로 군림한 해동성국

3 발해의 행정 체계와 사회
5경 도읍지 | 궁성 | 3성 6부 | 3사 3공 | 그 밖의 중앙 관청들 |
지방 행정 기구_ 5경 15부 62주 | 군사제도 | 종족 구성

4 발해의 몰락과 부흥 운동
발해 몰락 과정 | 정안국 | 오사성 발해국 | 흥료국 | 대발해국
Author
박영규
‘역사 대중화의 기수’, ‘실록사가’라는 찬사를 받은 대중 역사 저술가. 누적 200만 부 판매를 기록한 밀리언셀러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을 출간한 이후 『한 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세종대왕실록』, 『한 권으로 읽는 대한민국 대통령실록』, 『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 등 20여 년간 9권의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를 펴냈다. 최근에는 『크리미널 조선』, 『에로틱 조선』, 『정조와 채제공, 그리고 정약용』, 『조선 관청 기행』, 『조선 명저 기행』 등 새로운 주제를 통해 조선을 재조명하는 역사 교양서를 집필해오고 있다. 그 외 저작으로 역사서인 『환관과 궁녀』, 『춘추전국사』, 『박영규의 고대사 갤러리』, 역사문화 에세이 『특별한 한국인』, 동서양철학사 『생각 박물관』, 불교 선담집 『깨침의 순간』 등이 있다.

1998년 중편소설 『식물도감 만드는 시간』으로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받고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대하소설 『책략』, 『그 남자의 물고기』, 『길 위의 황제』에 이어, 조선 정조의 암살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 『밀찰살인』을 썼다. 한편, 기존의 집필 주제에서 한 걸음 진보한 『인문학 리스타트』는 인류의 역사와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경제, 사회, 종교, 철학 전반의 발자취를 하나의 흐름으로 꿰뚫어 독자들에게 폭넓은 인문교양 지식과 통찰을 안긴다. 수년간 역사 문학 교육원 ‘이산서당’을 운영했으며 현재 ‘다산학교’를 설립해 대안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역사 대중화의 기수’, ‘실록사가’라는 찬사를 받은 대중 역사 저술가. 누적 200만 부 판매를 기록한 밀리언셀러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을 출간한 이후 『한 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세종대왕실록』, 『한 권으로 읽는 대한민국 대통령실록』, 『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 등 20여 년간 9권의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를 펴냈다. 최근에는 『크리미널 조선』, 『에로틱 조선』, 『정조와 채제공, 그리고 정약용』, 『조선 관청 기행』, 『조선 명저 기행』 등 새로운 주제를 통해 조선을 재조명하는 역사 교양서를 집필해오고 있다. 그 외 저작으로 역사서인 『환관과 궁녀』, 『춘추전국사』, 『박영규의 고대사 갤러리』, 역사문화 에세이 『특별한 한국인』, 동서양철학사 『생각 박물관』, 불교 선담집 『깨침의 순간』 등이 있다.

1998년 중편소설 『식물도감 만드는 시간』으로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받고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대하소설 『책략』, 『그 남자의 물고기』, 『길 위의 황제』에 이어, 조선 정조의 암살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 『밀찰살인』을 썼다. 한편, 기존의 집필 주제에서 한 걸음 진보한 『인문학 리스타트』는 인류의 역사와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경제, 사회, 종교, 철학 전반의 발자취를 하나의 흐름으로 꿰뚫어 독자들에게 폭넓은 인문교양 지식과 통찰을 안긴다. 수년간 역사 문학 교육원 ‘이산서당’을 운영했으며 현재 ‘다산학교’를 설립해 대안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