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민족주의의 이론과 역사를 다루고 한국민족주의의 생성에 영향을 미친 독립협회의 역할과 정치이념을 밝히며 그 정치이념에서 비롯된 한국 근대화의 발전적 전기를 파악한다. 그뿐만 아니라 민족지도원리로서의 근대 한국민족주의의 기본방향을 독립협회의 정치이념에서 찾는다. 그리고 생성기의 한국민족주의가 현실의 정치활동에 투사되는 양상을 생동감 있게 묘사한다.
이데올로기의 종말론에 사로잡힌 나머지 우리에게서도 이미 퇴조해버리고 만 것으로 속단하기 쉬운 민족주의의 생성기적 자취를 되뇌는 이유를 저자는 그것이 바로 정치적 근대화의 관점에서 내일을 내다보고 오늘을 처방하는 데 긴요한 역사의식의 바탕으로 이어진다고 꼽았다.
Contents
책머리에
1부 한국민족주의의 이론과 역사
I. 한국민족주의의 이론적 탐구
민족주의와 민족공동체 형성
1. 서론
2. 민족주의의 역사적 연관개념과 문화적 민족주의
3. 공동체를 보는 두 가지 시각
4. 민족공동체 형성의 과제
5. 결론
Ⅱ. 한국민족주의와 독립협회
독립협회의 정치집단화 과정
1. 서론
2. 사회단체 결사의 시대적 개연성: 선진사회와의 접촉과 그 영향
3. 창설 사업과 대중적 사회 활동의 촉진 요인
4. 강연과 토론을 통한 민권의식의 고양과 정치적 계도
5. 조직 기반의 확대와 주도 세력의 정비·강화
6. 결론
『독립협회 회보』의 내용 분석
1. 서론
2. 회보의 발간 경위
3. 편집 체제의 성격 특징
4. 논제 분석: 근대 의식의 소재
5. 외보(外報) 분석: 대외적 관심의 방향
6. 결론
Ⅲ. 한국민족주의와 한·불관계
1880년의 한·불교섭과 푸르니에 보고서: 한·불 교섭사 연구의 하나
1. 서론
2. Fournier 파한(派韓) 결정의 배경
3. Fournier의 도착과 교섭 활동
4. 결론
임시정부 파리위원부 통신국이 발행한 월간지 La Coree Libre(1920-21)에
대하여
1. 서론
2. 파리위원부 한국통신국의 초기 활동
3. La Coree Libre의 발간 경위
4. La Coree Libre 기사의 표제 분류
5. 결론
Ⅳ. 한국민족주의의 정치적 실천
개화기(開化期) 송재 서재필의 첫 번째 귀국
1. 서론
2. 서재필의 귀국 동기와 정치적 여건
3. 귀국 활동의 개시와 건양협회의 결성 추진
4. 결론
정치가로서의 용재 백낙준
1. 서론
2. 민족주의자 용재의 공인으로서의 위상과 국제 활동
3. 용재의 자유 민주주의 정신과 의정 활동
4. 재야 원로로서의 용재의 정치적 관여
5. 결론
2부 근대한국민족주의연구
Ⅰ. 서론 : 한국 근대사연구의 정치적 시각과 독립협회
1. 개화기에 대한 문제의식의 단서
2. 한국 근대사의 정치적 성격
3. 문제의 소재와 연구 초점: 독립협회의 정치 이념
Ⅱ. 전통체제의 유지·변화와 과도기의 역사 상황
1. 전통체제의 성격과 전통적 과도기
2. 근대적 과도기의 역사 상황
Ⅲ. 개화사상의 생성과 근대 민족의식
1. 개화사상의 전통적 연원: 개물사상(開物思想)의 역사적 변이
2. 근대민족주의의 원류와 개화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