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예찬

자유롭게 카피하기를 권함
$16.20
SKU
97889939417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hu 05/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Thu 04/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7/10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93941777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복제와 사본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오래된 이야기처럼, 복제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은 없다. 그래서 여기, 마음껏 복제하고 자유롭게 카피하라는 다소 자극적인 내용을 담은 책이 출간되었다. 『복제예찬』의 저자인 마커스 분은 문화와 시대를 넘나드는 비교 연구를 통해 ‘복제’의 역사적, 문화적, 철학적 의미가 무엇인가, 복제가 왜 우리에게 두려움과 매혹을 선사하는가를 탐구한다. 명품과 짝퉁, 대중영화 등 오늘의 현상부터 그리스 로마 신화의 풍요의 여신인 코피아(Copia)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플라톤의 미메시스 철학, 하이데거의 전유, 몽타주 행위, 불교의 공(空) 사상을 아울러 이야기한다. 복제의 모든 것을 비교 연구하며 시간과 동서양을 초월한 흥미로운 지적 여정을 펼친다.

복제는 현대 문화에 속속들이 스며들어 있다. 그림, 힙합과 일렉트로닉 음악, 비트토렌트를 비롯한 디지털 파일 공유 네트워크, 구글 어스나 포토샵 같은 소프트웨어,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영화 등 현대 문화의 가장 두드러진 분야의 상당수가 ‘복제’라 불리는 것에 명백히 의존하고 있다. 인쇄술의 시대를 거쳐 컴퓨터의 시대인 오늘날 성행하는 온갖 복제 행위는 여전히 코피아 여신을 불러낸다. 이 책은 복제 문화의 기원부터 중세, 산업화 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추적하여 복제라는 관념 자체가 가변적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문화와 시대를 넘나드는 비교 연구를 통해 복제에 대한 통념에 반박할 수 없는 이의를 제기한다.
Contents
머리말

1장 복제란 무엇인가
루이비통 | 지식재산권의 플라톤적 세계 | 플라톤적 미메시스의 대안 | 공空과 복제 | 같음과 둘 아님 | 사물을 만지다 | 루이비통의 결합

2장 코피아, 풍요의 스타일
코피아 여신을 찬양하라 | 코피아의 기원 | 풍요의 스타일 | 민속문화와 코피아의 죽음? | 재생 목록과 믹스테이프 | 버트 잰시 공연 | 코피아의 구름 | 언어와 시장 | 낡이 밝을 때까지 | 사악한 스타일 | 코피아와 민속문화의 주도권

3장 변형으로서의 복제
장자와 나비 | 인간 카멜레온 | 우주적 모방? | 생식 선망으로서의 복제 | 변형적 미메시스로서의 성행위 | 모방에서 변형으로 | 폭력 | 변형과 복제에 대한 터부 | 인체의 신비: 죽은 자의 복제 | 변형할 권리와 복제할 권리

4장 기만으로서의 복제
10만 명의 『해리 포터』 | 기만 | 짝퉁 박물관 | 위조와 위작 | 전쟁과 위장 | 권력, 생존, 경쟁 | 버즈릭슨스 | 우주적 기만과 유희 | 모습의 지대 | 희생양으로서의 복제 | Turnitin.com

5장 몽타주
코넬의 상자 | 부분과 전체 | 재료의 촉각적 탐구 | 조합과 선택 | 이름과 액자화 | 조각의 바이러스적 힘 | 유머 | 세계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의 몽타주 | 비서구 ‘고전’ 문화에서의 몽타주 | 몽타주로서의 음식 | 여성주의적 실천으로서의 몽타주 | 몽타주의 한계는 무엇인가? | 디지털과 아날로그 | 근대적, 탈근대적, 무근대적 몽타주

6장 복제의 대량생산
다수 | 대량 생산물 | 상품 물신숭배 | 화폐 | 브랜딩 | 압축과 증폭 | 샘(들) | 정보체Information Object | 디지털은 완벽할까? | 얇음보다 얇음과 무한의 정치학

7장 전유로서의 복제
만물은 전유된다 | 보편 원리로서의 절도 | 재산권과 보편적 전유의 공공연한 비밀 | 전유의 정치학 | 에라이그니스 | 전유와 반反전유 | 즉흥과 중고품 | 반전유는 긴장 푸는 법을 배운다는 뜻

옮긴이 후기 | 주석 | 감사의 글 | 찾아보기
Author
마커스 분,노승영
저널리스트, 영문학자. 토론토 요크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런던에서 태어나 섹스피스톨스와 존 콜트레인을 들으며 자랐다. 런던대에서 문학을 전공하며 음악지에 리뷰를 기고하기 시작했고, 뉴욕 취재여행 중 힙합 씬과 다문화적인 댄스뮤직 씬을 만났다. 뉴욕에서 AIDS 관련 사회활동가로 일했고 관련한 소설을 쓰기도 했다. 뉴욕대에서 비교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Road of Excess(약물과 작가들의 역사)』가 있으며 아시아 종교, 그리고 하위문화를 주제로 집필 중이다.
저널리스트, 영문학자. 토론토 요크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런던에서 태어나 섹스피스톨스와 존 콜트레인을 들으며 자랐다. 런던대에서 문학을 전공하며 음악지에 리뷰를 기고하기 시작했고, 뉴욕 취재여행 중 힙합 씬과 다문화적인 댄스뮤직 씬을 만났다. 뉴욕에서 AIDS 관련 사회활동가로 일했고 관련한 소설을 쓰기도 했다. 뉴욕대에서 비교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Road of Excess(약물과 작가들의 역사)』가 있으며 아시아 종교, 그리고 하위문화를 주제로 집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