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미디어론의 관점에서 플라톤의 사상을 해명하려고 한 독특한 시도의 결과물이다. 플라톤이 살았던 서기전 5세기에서 4세기의 그리스는 의사소통 기술의 변화로 야기된 문화혁명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서기전 720년에서 700년 사이에 만들어진 알파벳이 그리스에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쓰는 것’을 모르는 구송(口誦)문화에서 ‘읽고 쓰기’를 중심으로 하는 문자문화로 점차 전환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전환기에 플라톤은 종래의 구송문화 속에서 만들어져온 인간의 사고습관과 그것을 키우는 교육형태를 비판하고, 새로운 문자문화에 걸맞은 사고유형과 교육제도를 만들고자 했다. 왜 플라톤은 ‘이상국가로부터의 시인의 추방’이라는 악명 높은 주장을 펼쳐야만 했을까? 그것은 그가 시인들이야말로 전통적인 구송문화의 유력한 대표자이며 그런 문화를 젊은이들에게 전파하는 유능한 교육자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1부는 호메로스를 비롯한 전통시의 내용과 역할 및 심리상태를 규명하고 플라톤이 시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게 된 연유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2부에는 플라톤 자신의 철학적 정신이 담겨 있다. 1부는 반시로부터 시작한다. 2부는 플라톤 철학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이다. 유럽 문명의 시원인 호메로스를 비롯한 구송의 전통시에 전면 도전함으로써 전통과 혁신, 이미지와 추상적 개념, 시와 철학, 시인과 철학자, 그리고 미망으로 이끄는 감각과 참존재를 추구하게 된 개안(開眼)의 지성을 첨예하게 대립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