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문제의식은 "문화콘텐츠와 통일사상"으로 모아진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한국외대 철학과 이기상 교수에게서 빌려온 것이며, 그의 문제의식과 고민이 21세기 한국철학이 나아갈 길이며 세계화 시대에 주체적인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문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여기에 소개된 글은 선문대학교 교수로 임용된 후 문선명 선생 말씀연구와 통일사상연구에 관련된 글들을 모아 엮은 것들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21세기 생명과 평화의 세계를 향한 문선명 선생의 열정
1.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으로는 무엇을 말하는가
2. 현대인들의 삶의 위기
3. 현대문화적 삶의 위기와 최후의 인간
4. 21세기 왜 문선명 선생의 통일사상인가
제2장 현대문화적 삶의 위기와 통일사상의 과제
1. 현대문화적 삶의 현주소와 심정적 가치의 발견
2. 현대문화적 삶(허무주의)의 뿌리
3. 현대문화적 삶의 위기와 전향(Turning)
4. 3대 축복(3 Great Blessing)의 삶의 방식을 통한 심정문화세계 창건
5. 심정진리사건으로서의 통일사상: 힘찬 살림/아름다운 모심의 문화를 위한 가능성
제3장 심정적 삶의 해석학: 심정문화콘텐츠 기획을 위한 기초 혹은 힘
1. 마음과 몸의 하나됨을 추구하는 ‘통일적 삶’의 해석
2. 남편과 아내의 조화로움을 이루는 ‘대화적 삶’의 해석
3. 인간과 자연의 공생(共生)을 위한 ‘참여적 삶’의 해석
4. 심정적 삶의 해석을 통한 고향 상실 극복과 거주함의 통일사상적 의미
제4장 기술시대와 심정적 삶: 기술문명에 대한 통일사상적 숙고
1. 기술문화적 삶의 위기와 심정적 가치의 발견
2. 기술문화시대와 통일사상의 주관 개념
3. 통일사상의 인간 이해와 창조성 그리고 주관(기술)교육
4. 기술철학의 정초문제와 통일사상의 과제
5. 21세기 심정문화세계를 위한 기술철학적 가능성 탐구
제5장 21세기 문화예술시대와 통일사상: 반 고흐(V.V.Gogh)의 예술세계에 대한 통일사상적 숙고
1. 문화적 행위에서 고생의 경험(고난)의 힘
2. 통일사상의 예술철학 이해
3. 반 고흐의 삶과 그림의 세계
4. 고흐의 '자화상'에서 읽어내는 고난의 삶과 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