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철학사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34.56
SKU
978899369070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31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93690705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우리말 우리글로 사유한 순우리 철학의 역사

이 책은 이 땅에서 우리말 우리글로 역사의 주체인 우리가 우리 삶과 고난에 대해 고민하고 사유한 결과물이 한국철학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중국의 변방에서 중국을 그리워하며 한자로 철학한 고려와 조선 시대 양반들의 철학은 한국철학이 아니다. 이 땅 역사의 주체는 “홀로 있는 흩어진 ‘낱사람’의 덩어리로서의 민중이 아니라 더불어 있는 ‘우리’로서의 민중이다.” 바로 그런 민중이 주체가 되는 철학이 진짜 우리 철학이라는 전제 아래, 이 책은 민중 스스로 ‘나’의 철학이라고 당당하게 부를 수 있는 철학을 살펴봄으로써 대한민국 철학의 역사를 새로이 정립한다.
Contents
저자 서문

서장: 지금, 무엇을 하려는가

1 “너 자신을 알라”
2 ‘뜻’으로 본 ‘한국철학사’란 무엇인가
3 한국철학이 되기 위한 시작으로의 ‘돌아봄’
4 한국철학사는 무엇을 담을 것인가

제1장 한국철학의 기초 다지기: 한국철학의 기본 요소

1 ‘한국’이라는 조건
2 이 땅 민중의 언어
3 대학은 철학의 공간인가

제2장 한국철학의 회임과 출산: 한국철학의 등장

1 조선으로부터 한국으로
2 한국철학의 회임
3 한국철학의 출산
4 한국철학은 무엇인가

제3장 한국철학의 주변: 일본과 중국의 사정

1 일본의 유럽화와 일본철학의 등장
2 난학, 양학, 무사도, 그리고 조선
3 일본철학과 한국
4 청일전쟁 이후 동아시아
5 ‘타자’의 변두리에 선 한국

제4장 한국철학의 역사

1 ‘진짜’ 한국철학과 ‘거짓’ 한국철학
2 제도 속 한국철학의 계보

제5장 ‘뜻’으로 본 한국철학

1 식민지 조선의 초라한 지식인
2 윤동주의 도덕존재론, 부끄러움의 철학
3 함석헌의 ‘고난’의 형이상학
4 다석 류영모의 ‘씨?’의 형이상학
5 문익환의 ‘사랑으로 하나 됨’의 형이상학
6 무위당 장일순의 ‘나락 한 알’의 형이상학
7 권정생의 ‘자기 내어줌’의 형이상학

제6장 다음을 향한 첫걸음: ‘서로주체성’과 ‘더불어 있음’의 형이상학

1 전체와 모두 그리고 나
2 홀로 있는 ‘나’
3 ‘너’와 더불어 ‘우리’ 가운데 있는 ‘나’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유대칠
철학노동자. 오랜 시간 대학(원) 안과 밖에서 지중해 연안 중세철학을 공부해왔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책과 중세와 초기 근대 이단 사상가에 대한 책을 내기도 했다. 서유럽 중심의 중세철학이 아닌 서유럽, 동유럽, 이슬람, 유대의 중세철학‘들’을 연구하면서 어느 순간 한국의 형이상학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홀로 있음’과 ‘더불어 있음’이란 화두를 잡고 ‘뜻’ 있는 한국철학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구 오캄연구소와 광주 시민자유대학에서 시민들과 함께 고전을 읽고 강의하고 있으며, 고전 번역과 중세 지중해 연안의 철학들에 대한 논문과 책을 집필 중이다.

대부분 지중해 연안 중세 철학에 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가톨릭프레스]와 [가톨릭뉴스 지금 여기]에 연재해왔으며 지금은 [가톨릭일꾼]에 연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웅진싱크빅, 2012), 『신성한 모독자』(추수밭, 2018), 『대한민국철학사』(이상북스, 2020), 『우리와 더불어 우는 철학과 신학』(부크크, 2020)가 있으며, 공저로는 『마을 6』(시골문화사, 2020)가 있다. 현재는 토마스철학학교와 오캄연구소에서 철학 노동을 이어가고 있다.
철학노동자. 오랜 시간 대학(원) 안과 밖에서 지중해 연안 중세철학을 공부해왔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책과 중세와 초기 근대 이단 사상가에 대한 책을 내기도 했다. 서유럽 중심의 중세철학이 아닌 서유럽, 동유럽, 이슬람, 유대의 중세철학‘들’을 연구하면서 어느 순간 한국의 형이상학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홀로 있음’과 ‘더불어 있음’이란 화두를 잡고 ‘뜻’ 있는 한국철학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구 오캄연구소와 광주 시민자유대학에서 시민들과 함께 고전을 읽고 강의하고 있으며, 고전 번역과 중세 지중해 연안의 철학들에 대한 논문과 책을 집필 중이다.

대부분 지중해 연안 중세 철학에 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가톨릭프레스]와 [가톨릭뉴스 지금 여기]에 연재해왔으며 지금은 [가톨릭일꾼]에 연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웅진싱크빅, 2012), 『신성한 모독자』(추수밭, 2018), 『대한민국철학사』(이상북스, 2020), 『우리와 더불어 우는 철학과 신학』(부크크, 2020)가 있으며, 공저로는 『마을 6』(시골문화사, 2020)가 있다. 현재는 토마스철학학교와 오캄연구소에서 철학 노동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