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제나에서 얼나로

다석 류영모 어록
$17.28
SKU
9788993620825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15
Pages/Weight/Size 153*224*13mm
ISBN 9788993620825
Description
20세기를 관통하며 살다 간 다석 류영모의 가슴에서는
동양과 서양이, 불교와 기독교가 만나
사상의 옥동자가 잉태하고 자라나 꽃을 피웠다.

기독교, 불교, 유교, 불교, 노장 사상 등 동서고금의 종교와 사상을 하나로 꿰어 독창적인 종교 철학의 체계를 세운 종교일원론자이자 사상가, 철학자, 교육자. 20세기 한국이 낳은 정신적인 큰 스승이자 진정한 의미의 ‘종교개혁자’로, 땅의 어버이로부터 받은 몸과 맘의 거짓된 제나(ego)를 벗어나 우주의 주재자이자 우주정신이신 한얼님(니르바나님)이 주시는 얼나로 솟나(부활)는 길을 가리켜 보였다. 『제나에서 얼나로』는 YMCA 연경반(硏經班)에서 강의한 내용의 속기록 중에서 가려뽑아 분야별로 정리한 것으로 명실공히 다석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만하다.
Contents
머리말 제 맘속에서 터져나온 얼의 샘물
일러두기

1 말숨(말씀), 우주에 가득 찬 얼생명
2 없이 계시는 한얼님
3 천지자연은 한얼님이 주신 글월
4 얼나 찾기
5 예수의 얼은 영원한 현재
6 삶이란 사형수의 집행유예 기간
7 우주의 신비, 그리고 이제 여기
8 빈탕한 데(허공)
9 내 속에 가장 옹근 속알, 가온찍기(「 · 」)
10 기도와 예배 ―내 안의 신비를 두텁게 깊이 숨쉬기
11 진정한 얼사귐
12 교육: 스스로 올(理)을 타고 갈 수 있도록
13 몸성히(건강)의 길
14 올(理)을 타야(과학)
15 제나에서 얼나로
16 씨알(民)을 위하는 일
17 땅은 우리의 어머니요 밥그릇
18 평화를 이루려면
19 그리스도교가 가리켜 보이는 것
20 불교가 가리켜 보이는 것
21 유교가 가리켜 보이는 것
22 세 가지 독(毒)으로부터의 자유
Author
류영모,박영호
다석 류영모는 온 생애에 걸쳐 진리를 추구하여 구경(究竟)의 깨달음에 이른 우리나라의 큰 사상가이다. 젊어서 기독교에 입신(入信했) 던 다석은 불교와 노장老( 莊,) 그리고 공맹孔( 孟사) 상등 동서고금의 종교.철학 사상을 두루 탐구하여 이 모든 종교와 사상을 하나로 꿰뚫는 진리를 깨달아 사람이 다다를 수 있는 정신적인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
다석은 우리나라 3천재,5천재의 하나라는 말을 들었고,평생을 오로지 수도와 교육에 헌신하면서 일생동안‘ 참’을 찾고‘ 참’을 잡고 ‘참’을 드러내고 ‘참’에 들어간 ‘성인’이다.
이승훈,정인보,최남선,이광수,문일평 등과 교유했고, 김교신,함석헌, 이현필, 류달영 같은 이들이 다석을 따르며 가르침을 받았다.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열린 세계철학자대회(2008년)에서 제자인 함석헌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사상가로 소개될 만큼 다석의 사상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다석 류영모는 온 생애에 걸쳐 진리를 추구하여 구경(究竟)의 깨달음에 이른 우리나라의 큰 사상가이다. 젊어서 기독교에 입신(入信했) 던 다석은 불교와 노장老( 莊,) 그리고 공맹孔( 孟사) 상등 동서고금의 종교.철학 사상을 두루 탐구하여 이 모든 종교와 사상을 하나로 꿰뚫는 진리를 깨달아 사람이 다다를 수 있는 정신적인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
다석은 우리나라 3천재,5천재의 하나라는 말을 들었고,평생을 오로지 수도와 교육에 헌신하면서 일생동안‘ 참’을 찾고‘ 참’을 잡고 ‘참’을 드러내고 ‘참’에 들어간 ‘성인’이다.
이승훈,정인보,최남선,이광수,문일평 등과 교유했고, 김교신,함석헌, 이현필, 류달영 같은 이들이 다석을 따르며 가르침을 받았다.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열린 세계철학자대회(2008년)에서 제자인 함석헌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사상가로 소개될 만큼 다석의 사상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