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은 탄소저감도시기술의 구체적인 확산 프로그램을 비즈니스모델의 형태로 설명하고, 비즈니스모델의 민관협력 방안과 해외진출 방안에 대하여 분석, 논의하고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I.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개발방향
1.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개요
2.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현황 및 동향 분석
3.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목표 및 고려사항
II.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1.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프레임워크
2.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분류 체계
III. 비즈니스모델 세부내용
1. 비즈니스모델 상세 분석 요소
2. 비즈니스모델 별 상세 분석
1) 도시통합 신재생에너지 공급사업
2) 홈 에너지 통합관리사업
3) 빌딩에너지 통합관리사업
4) 공장에너지 통합관리사업
5) 도시시설물 에너지 통합관리사업
6) 고효율 에너지 설비, 자재 공급사업
7) 에너지 공급체계 효율화 사업
8) 탄소저감 교통체계 운영사업
9) 친환경 교통수단 제공 사업
10) 폐기물 통합 재활용 사업
11) 폐에너지 통합 재활용 사업
12) 수자원 최적 재활용 사업
13) 광역생태 산업단지 운영사업
14) 도시 녹화·녹지 보급 운영 사업
15) 친환경토지조성 및 그린네트워크 운영
16) 도시 내 자원셰어링 운영 사업
17) 스마트워크 운영사업
18) 도시탄소 저감 검증·인증 사업
19) 도시내 자발적 탄소배출권거래 사업
20) 도시탄소저감 촉진사업
제2부. 민관협력 추진방안
I.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민관협력 방안
1. 민관협력 ESCO 사업
2. 도시 내 자발적 탄소배출권 운영 사업
3. Crowd Fund 운영 사업
4. 조세 담보 금융 운영 사업
5. 탄소 저감 자산운영관리 사업
제3부. 해외수출방안
I. 탄소저감도시 수출여건
1. 수출대상국의 분류
2. 요소기술의 평가
II. 수출 경쟁력 강화방안
1. 비즈니스모델의 평가 및 분류
2. 전략적 접근방법
III. 해외수출 모델 실증방안
1. 비즈니스 모델 별 실증방안
1) 도시통합 신재생에너지 공급사업
2) 에너지 공급체계 효율화 사업
3) 빌딩 에너지 통합관리 사업
4) 탄소저감 교통체계 운영 사업
5) 친환경 교통수단(전기자동차) 제공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