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사람들인 ‘철수’와 ‘영희’를 위해 이야기꽃을 피우는 ‘철수와 영희를 위한 대자보’ 시리즈의 여섯 번째 권이다. 이 책은 전문 인터뷰어 지승호가 성매매에 종사하고 있으며, 성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밀사와 연희를 만나 인터뷰한 성매매와 성노동을 둘러싼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성매매에 종사하는 이들은 우리와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며, 사회로부터 멸시당하고 창녀라고 낙인 지워지는 소수자이기에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기획되었다. 이 책에 담긴 성매매와 관련한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 성과 폭력, 다수자의 소수자에 대한 낙인 등과 관련한 주제로도 이어진다.
성매매를 둘러싼 논란의 기원은 아주 오래되었다. 갈등은 기본적으로 “역사상 가장 오랜 직업 중 하나인 매매춘을 과연 근절시킬 수 있을 것이냐?”는 현실론과 “어떻게 돈을 주고 성을 살 수 있느냐?” 하는 원칙론 사이에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성구매자와 성판매자 모두 처벌의 대상이지만 광범위한 사회적 논의는 부족하다. 성매매특별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11년째가 되지만 성매매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성매매특별법보다 더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에선 “처벌 강화는 성매매의 음지화를 부추기는 풍선효과를 발생시킬 뿐”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성매매과 성노동에 대해 어떤 정책을 취해야 성매매 업종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권리를 지킬 수 있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해법을 찾으려는 시도의 일환이기도 하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우리 시대의 성(性)을 해석하는 새로운 시선 - 지승호
성노동자의 권리운동을 지지해주세요 - 밀사
1부. 밀사
대자보를 쓴 이유
‘성노동’이라는 낯선 이름
해외의 성노동운동
실험과 가능성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직업
성노동자를 지지한다-운동단체 GG
성매매특별법에 관하여
성노동자 인권모임이 할 일
여성주의와 성노동
성노동과 자본주의
상처가 힘이 된다
2부. 연희
성노동자, 권리를 외치다
우리는 창녀가 아니다
‘성노동’이라는 불편한 진실
반목을 넘어 연대로
성매매특별법에 반대하는 이유
성노동의 다양한 층위
‘텐프로’와 ‘스폰서’
성노동은 죄가 아니다
일하는 사람에게 일할 권리를
Author
밀사,연희,지승호
1989년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 여성학을 전공하고 있다. 2010년 4월 19일 트위터 계정 개설을 계기로 사회의 부당함에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0년 11월 한 달간 조건만남 후기를 ‘성노동 실험’이라는 이름으로 트위터에 게재하였고, 2011년 5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성노동자 권리모임 GG의 활동가로서 성노동운동에 참여해왔다. 본디 가지고 있었던 정체성은 ‘글 쓰는 유미주의자’다. 그녀에게는 글을 쓰는 것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나 아름다움을 실천한다는 점에서 같은 뿌리를 지닌 활동이다. 현재는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성노동운동의 방법론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1989년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 여성학을 전공하고 있다. 2010년 4월 19일 트위터 계정 개설을 계기로 사회의 부당함에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0년 11월 한 달간 조건만남 후기를 ‘성노동 실험’이라는 이름으로 트위터에 게재하였고, 2011년 5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성노동자 권리모임 GG의 활동가로서 성노동운동에 참여해왔다. 본디 가지고 있었던 정체성은 ‘글 쓰는 유미주의자’다. 그녀에게는 글을 쓰는 것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나 아름다움을 실천한다는 점에서 같은 뿌리를 지닌 활동이다. 현재는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성노동운동의 방법론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