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도서관 서비스의 평가와 측정에 관련된 제반 토픽들을 다양한 시각에서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어, 모든 관종의 도서관장을 포함한 도서관 관리자는 물론 연구자,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부에서 다루고 있는 평가의 개념과 주요 모델, 프로세스, 제2부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방법론의 장단점과 특성은 평가의 제반 특성에 대해 담았다. 구체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평가를 다루고 있는 제3부는 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현장과 관련된 연구를 보여준다. 마지막 제4부는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이나 파급 효과 등에 대해 다룬다.
Contents
제1부 평 가 : 프로세스와 모델
제1장 평가의 이슈
1.1. 누가 결정하는가?
1.2. 평가 액션 플랜
1.2.1. 문제점의 확인
1.2.2. 분석 범위의 결정
1.2.3. 해답이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의 결정
1.2.4. 수행해야 할 분석의 종류의 결정
1.2.5.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는지의 결정
1.2.6. 분석의 실행과 보고서의 준비
1.2.7. 서비스 개선을 위한 결과들의 이용: 피드백 고리
1.3. 평가의 걸림돌
1.4. 평가의 윤리
제2장 평가 모델
2.1. 평가 모델
2.2. 제한점
2.3. 프로세스 모델
2.4. 요 약
제2부 방법론
제3장 직무에 적합한 도구
3.1. 활동 기준 원가 계산
3.1.1. 1단계: 핵심 활동과 적합한 원가 동인의 확인
3.1.2. 2단계: 직원 시간의 활동별 할당
3.1.3. 3단계: 활동 원가 집합에 대한 직원 급여와 기타 비용의 배정
3.1.4. 4단계: 원가 동인 당 원가의 결정
3.2. 통계적 프로세스 관리
3.2.1. 1단계
3.2.2. 2단계
3.2.3. 3단계
3.2.4. 4단계
3.3. 그 밖의 도구
3.3.1. 흐름도
3.3.2. 다섯 번의 ??왜??라는 질문
3.3.3. 어골도
3.3.4. 파레토 차트
3.4. 프로세스 재설계의 원칙
3.5. 추가의 도구
3.6. 요 약
제4장 질적 도구
4.1. 문서 고찰
4.2. 일 지
4.3. 관 찰
4.4. 면 담
4.5. 근거 이론
4.6. 사고 발화/사후 사고 언어 프로토콜
4.7. 문화기술적 방법
4.8. 포커스 그룹
4.9. 델파이법
4.10. 중요 사건 기법
4.11. 개념 매핑
4.12. 요 약
제5장 양적 도구
5.1. 집 계
5.2. 측 정
5.3. 서베이
5.3.1. 질문의 유형
5.3.2. 질문의 형식
5.3.3. 질문 구성
5.3.4. 서베이의 배포
5.3.5. 표본 추출의 유형
5.3.6. 표본 크기의 결정
5.3.7. 서베이 무응답
5.3.8. 경 고
5.4. 컨조인트 분석
5.5. 트랜잭션 로그 분석
5.6. 실 험
5.7. 요 약
제6장 데이터의 분석
6.1. 기술 통계 기법
6.1.1. 온도계 차트
6.1.2. 히스토그램
6.1.3. 도수 다각형
6.1.4. 막대 도표
6.1.5. 선 도표
6.1.6. 파이 그래프
6.2. 집중 경향 측도
6.2.1. 최빈값
6.2.2. 중앙값
6.2.3. 평 균
6.2.4. 분포의 모양
6.3. 변동의 측도
6.3.1. 범 위
6.3.2. 백분위수
6.3.3. 표준 편차
6.4. 추론 통계
6.5. 데이터의 프레젠테이션
6.6. 평가 보고서
제3부 도서관 서비스의 평가
제7장 도서관 이용자와 비이용자
7.1. 서비스 정의
7.2. 평가 질문
7.3. 평가 방법
7.4. 이전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7.4.1. 인구 통계
7.4.2. 라이프스타일
7.4.3. 지 리
7.4.4. 이용량
7.4.5. 편익 세분화
7.5. 이용자 _ 164
7.5.1. 최소 노력의 원칙
7.6. 비이용자
7.7. 요 약
제8장 물리적 장서의 평가
8.1. 서비스 정의
8.2. 평가 질문
8.3. 평가 방법
8.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8.4.1. 질적 방법
8.4.2. 양적 방법
8.5. 장서의 제적
8.6. 보 존
8.7. 가 치
8.8. 장서 개발
8.9. 총 비용
8.10. 요 약
제9장 전자 자원의 평가
9.1. 서비스 정의
9.2. 평가 질문
9.3. 평가 방법
9.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9.4.1. 이용자
9.4.2. 이 용
9.4.3. 전자책
9.4.4. 정확성
9.4.5. 인쇄 저널에 미치는 영향
9.4.6.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
9.5. 요 약
9.6. 미래의 리서치
제10장 참고 서비스의 평가
10.1. 서비스 정의
10.2. 평가 질문
10.3. 평가 방법
10.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10.4.1. 정보원으로서의 도서관
10.4.2. 사서의 기술
10.4.3. 기술 분석
10.4.4. 공개 조사법
10.4.5. 비밀 조사법
10.4.6. 관 찰
10.4.7. 컨조인트 분석
10.4.8. 비용-편익 분석
10.4.9. 참고 자원
10.5. 요 약
제11장 기술 시비스의 평가
11.1. 서비스 정의
11.2. 평가 질문
11.3. 평가 방법
11.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11.4.1. 시 간
11.4.2. 비 용
11.4.3. 작업 흐름 분석
11.4.4. 효율성
11.5. 품 질
11.6. 향상된 레코드
11.7. 요 약
제12장 도서관 상호 대차의평가
12.1. 서비스 정의
12.2. 평가 질문
12.3. 평가 방법
12.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12.4.1. 속도(처리 시간)
12.4.2. 충족률
12.4.3. 비 용
12.4.4. 접근 대 소장
12.4.5. 이용자 서베이
12.4.6.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아이템의 요청
12.4.7. 요청된 자료의 집중과 분산
12.4.8. 그 밖의 토픽
12.5. 요 약
제13장 온라인 시스템의 평가
13.1. 서비스 정의
13.2. 평가 질문
13.3. 평가 방법
13.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13.4.1. 질적 방법
13.4.2. 양적 방법
13.4.3. 온라인 목록
13.4.4. 도서관 웹 사이트
13.5. 요 약
제14장 서지/도서관 교육과 정보 리터라시의 평가
14.1. 서비스 정의
14.2. 평가 질문
14.3. 평가 방법
14.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쟀
14.4.1. 의견 서베이
14.4.2. 지식 테스트
14.4.3. 실제 도서관 이용
14.4.4. 학생 보유 비율
14.5. 정보 리터라시 프로그램의 평가
14.5.1. 의견 서베이
14.5.2. 기술 테스트
14.5.3. 관찰된 행태
14.6. 교원과 사서의 관계
14.7. 요 약
제15장 고객 서비스의평가
15.1. 서비스 정의
15.2. 평가 질문
15.3. 평가 방법
15.4. 이전의 평가와 리서치에 대한 논의
15.4.1. 서비스 품질
15.5. 만 족
15.5.1. 만족 결정 방법
15.5.2. 서비스 특성의 정의
15.6. 품질의 구현
15.7. 요 약
제4부 도서관의 평가
제16장 광범위한 관점의 평가
16.1. 공공도서관 연구
16.2. 학술도서관 연구
16.3. 도서관의 선
16.4. 90퍼센트 도서관
16.5. 요 약
제17장 실적: 가치 실현의 핵심
17.1. 평가 방법
17.2. 학생의 학습에서 수행하는 도서관의 역할
17.3. 교육에서 수행하는 도서관의 역할
17.3. 리서치에서 수행하는 도서관의 역할
17.5. 학교도서관
17.6. 요 약
제18장 경제적 영향
18.1. 직접 서베이
18.2. 고객 가치 모델
18.3. 조건부 가치 측정법
18.3.1. 미국세인트루이스 공공도서관
18.3.2. 미국피닉스 공공도서관
18.3.3. 영국 도서관
18.3.4. 노르웨이
18.3.5. 특정의 도서관 서비스
18.4. 소비자 잉여
18.4.1. 미국 플로리다 주
18.4.2.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18.4.3. 영국의 공공도서관
18.5. 간편법
18.6. 공식 적용 방식
18.7. 투하 자본 수익률
18.8. 경제적 영향 분석
18.8.1. 미국시애틀 공공도서관
18.8.2. 미국피츠버그의 카네기 도서관
18.8.3. 미국플로리다 주
18.9. 자료 포락 분석
18.10. 그 밖의 방법
18.11. 요 약
제19장 사회적 영향의 평가
19.1. 질적 방법
19.1.1. 사회 감사
19.2. 양적 방법
19.3. 요 약
제20장 도서관 가치의 커뮤니케이션
20.1. 성과 측도
20.2. BSC
20.2.1. 도서관 BSC
20.3. 성과 측정 프리즘
20.4. 성과의 3R
20.5. 요 약
부 록 A: Raward 도서관 유용성 분석 도구
부 록 B: LibQUAL+ 서베이 질문
색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