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주식회사 이데올로기

21세기 경제 귀족주의의 탄생
$16.20
SKU
9788992573382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3/0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92573382
Description
일하지 않는 주주 몫은 ‘이익’인데, 왜 직원 몫은 ‘비용’인가?
‘현대판 귀족주의’를 지탱하는 ‘주식회사의 이념’을 고발한다


『주식회사 이데올로기』는 주식회사를 둘러싼 ‘현대판 귀족주의’를 고발하고, 나아가 진정한 경제 민주주의가 갖춰야 할 요건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이 책은 주식회사 설계의 근간에 있는 ‘주식회사는 주주의 재산’이라는 ‘이념’에 질문을 던진다. 우리가 무심코 받아들인 이 이념이야말로 오늘날의 경제 질서를 극소수의 경제 귀족이 쥐락펴락할 수 있게 하는 ‘마술’이다.

저자는 “주식회사는 주주가 ‘소유’한 생명 없는 ‘재산’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들로 이뤄진 공동체”라며 “경제 민주주의는 이 진실을 받아들이는 데서 출발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상장 기업은 반 공적 기구로서 사적 재산이나 사적 계약 이상의 존재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귀족주의적 주주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내세운다. 주주와 종업원, 지역 사회가 동등한 기업의 주인으로 인정받으며 기업 경영의 권한과 성과를 함께 나눠야 한다는 것이다.

1부에서는 유럽 중세시대와 근대 계몽사상, 미국 건국 정신까지 넘나들며 ‘주주가 소유하는 주식회사’라는 거대 괴물이 탄생한 역사와 그 낡은 관념의 문제점을 들춰낸다. 2부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업과 경제의 민주화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이고 상상력 가득 찬 대안을 내놓는다.
Contents
추천 서문_김병권
한국어판 특별 서문
들어가며

1부. 경제 귀족주의
1장. 성구- 세계관의 원칙

존재의 거대한 사슬ㅣ재무제표의 편견 헤쳐보기ㅣ다르게 이야기하기
환경 파괴가 눈에 보이지 않는 이유
2장. 세상의 군주 - 특권의 원칙
봉건 시대의 특권ㅣ오늘날의 금전적 특권ㅣ새로운 소농 계급
3장. 봉건 영지로서의 주식회사 - 재산의 원칙
귀족의 시대, 소유의 관계┃현대의 소유┃무형 자산에 대해 묻다┃지식 시대의 재산
4장. 재산가 계급만이 투표한다 - 통치의 원칙
경영자 자본주의에서 투자자 자본주의로ㅣ뒤집힌 군주제ㅣ종업원 스톡옵션의 신화
자연법칙과 규범법칙 구분하기ㅣ빈부 차별ㅣ얼음 깨기
5장. 네가 아니라 나에게 자유를 - 자유의 원칙
계약의 자유ㅣ자유 시장
6장. 부가 통치한다 - 주권의 원칙
역사 속의 재산권ㅣ부유한 소수의 경제적 주권ㅣ왕좌에 앉은 주식회사

2부. 경제 민주주의
7장. 깨어나기 - 계몽의 원칙

만인의 경제적 권리ㅣ부를 얻을 권리에 대한 존중ㅣ언어의 문제ㅣ새로운 지도
8장. 재산권의 부상 - 평등의 원칙
노동의 재산권ㅣ존 로크와 애덤 스미스 되찾기ㅣ자연적 경제 법칙 되살리기
종업원 소유제의 장점과 단점ㅣ공동체의 재산권
9장. 공동 복지의 보호 - 공공선의 원칙
배신당한 미국 건국의 전통ㅣ사적 정부로서의 주식회사ㅣ약탈 귀족의 유산
수탁인의 의무 확대하기ㅣ이미 도래한 원칙
10장. 기업 통치의 새로운 시민 - 민주주의의 원칙
지도가 아니라 나침반ㅣ자발적 변화로는 부족하다ㅣ이해당사자 이론의 양면
기업의 구성원으로서의 종업원ㅣ계획이 아니라 실마리
11장. 주식회사는 사람이 아니다 - 정의의 원칙
선거 자금 조달 개혁 - 첫 번째 발걸음ㅣ부의 특권 - 바탕에 깔린 문제
기존 헌법 아래 할 수 있는 일
12장. 작은 반란 - 혁명적 진화의 원칙
주식회사의 설립 허가를 취소할 권리ㅣ주식회사를 변경할 권리ㅣ‘반란’을 위한 설명서
생각의 변화

결론 - 엔론 사태의 유산, 변화의 서막
경제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6가지 일

초판 서문
추천 서문_윌리엄 그라이더
옮긴이 후기
주석
찾아보기
Author
마조리 켈리,제현주
『주식회사 이데올로기(The Divine Right of Capital)』의 저자이자, 보스턴에 위치한 35년 역사의 비영리 연구 및 컨설팅 조직 텔루스 연구소(Tellus Institute)의 일원이다. 켈리는 커팅엣지 캐피탈(Cutting Edge Capital) 컨설팅 그룹의 소유 전략 부문 이사이기도 하다. 2001년 「라이브러리 저널(Library Journal)」이 선정한 2001년 최고의 비즈니스서 10선에 뽑힌『The Divine Right of Capital』를 썼다. 켈리는 「비즈니스 윤리(Business Ethics)」를 공동 창간하고, 20년간 대표를 맡았다. 사회적 · 환경적 · 재무적 목표를 통합하는 기업 구조를 구상하고 옹호하는 단체인 코퍼레이션(Corporation) 20/20을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 켈리는 민간 기업들을 자문하고, 포드 재단(Ford Foundation)의 지방공동체의 부 창출 프로젝트 등의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다. 포드 재단 프로젝트를 통해 농촌 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 대안적 소유 구조를 탐색하는 「부를 지역 안에 지키기 (Keeping Wealth Local)」를 저술했다. 켈리는 그녀가 “사명 경영 기업”이라 이름 붙인 기업들(재단 소유의 덴마크 기업 노보노디스크, 가족이 경영권을 쥔 뉴욕타임스 등)에 대해 독특한 연구를 펼쳐왔다. 상장사이면서도 차등의결권제를 통해 강력한 사회적 사명이 보호받는 기업들이다

켈리는 조지워싱턴 법학대학의 기업지배구조 연구소와 「뉴스위크」의 미국 환경친화 대기업 선정위원회 등 여러 곳의 자문역을 맡아왔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경제 수립 등에 대해 많은 곳에서 강연하고 있으며,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 「뉴잉글랜드 로 리뷰(New England Law Review)」, 「보스턴 글로브(Boston Globe)」, 「예스 매거진(Yes! Magazine)」,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San Francisco Chronicle)」 등에 기고해왔다.
『주식회사 이데올로기(The Divine Right of Capital)』의 저자이자, 보스턴에 위치한 35년 역사의 비영리 연구 및 컨설팅 조직 텔루스 연구소(Tellus Institute)의 일원이다. 켈리는 커팅엣지 캐피탈(Cutting Edge Capital) 컨설팅 그룹의 소유 전략 부문 이사이기도 하다. 2001년 「라이브러리 저널(Library Journal)」이 선정한 2001년 최고의 비즈니스서 10선에 뽑힌『The Divine Right of Capital』를 썼다. 켈리는 「비즈니스 윤리(Business Ethics)」를 공동 창간하고, 20년간 대표를 맡았다. 사회적 · 환경적 · 재무적 목표를 통합하는 기업 구조를 구상하고 옹호하는 단체인 코퍼레이션(Corporation) 20/20을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 켈리는 민간 기업들을 자문하고, 포드 재단(Ford Foundation)의 지방공동체의 부 창출 프로젝트 등의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다. 포드 재단 프로젝트를 통해 농촌 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 대안적 소유 구조를 탐색하는 「부를 지역 안에 지키기 (Keeping Wealth Local)」를 저술했다. 켈리는 그녀가 “사명 경영 기업”이라 이름 붙인 기업들(재단 소유의 덴마크 기업 노보노디스크, 가족이 경영권을 쥔 뉴욕타임스 등)에 대해 독특한 연구를 펼쳐왔다. 상장사이면서도 차등의결권제를 통해 강력한 사회적 사명이 보호받는 기업들이다

켈리는 조지워싱턴 법학대학의 기업지배구조 연구소와 「뉴스위크」의 미국 환경친화 대기업 선정위원회 등 여러 곳의 자문역을 맡아왔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경제 수립 등에 대해 많은 곳에서 강연하고 있으며,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 「뉴잉글랜드 로 리뷰(New England Law Review)」, 「보스턴 글로브(Boston Globe)」, 「예스 매거진(Yes! Magazine)」,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San Francisco Chronicle)」 등에 기고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