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 학자 묵점 기세춘 선생이 쓴 우리나라 최초의 실학사상 개론서다. 봉건 조선 사회를 혁신하고자 했던 선각자들의 고민과 사상을 총정리했다. 한백겸, 이수광, 허균, 김육, 김만중,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정약용, 최한기 등 조선 실학자들이 남긴 글을 종교, 철학, 정치, 경제, 사회, 문학, 과학 등으로 정리하고 다시 주제별로 요약하여 분석함으로써 시대적 소명으로서의 실학사상이라는 큰 줄기로 관통하게 했다.
선인의 미담이나 기술론과 청렴한 공직자상에 초점이 맞춰져 미시적 담론에 그치고 있는 오늘날 실학 관련 저작물들의 소아병적인 경향을 지양하고, 실학자들이 품었던 혁명적 사상을 총망라하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짚었다. 중세적인 성리학이 유일 지배 이념이었던 시대에 실학사상이 어떻게 태동하여 발전했는지 세밀하고 날카롭게 논하며 여전히 개혁이 필요한 오늘에 귀감이 될 수 있게 한다.
Contents
제1부 실학의 선구자들
1장 실학의 사적 배경
1) 시대 상황
2) 조선의 변법 운동
3) 학문적 성격
2장 한백겸의 『기전고』
1) 기전을 발견한 고증학파
3장 이수광의 『지봉유설』
1) 이력
2) 조선 최초의 백과사전 『지봉유설』
3) 천인합일
4) 관물
5) 자연의 도
6) 무실
7) 위공(극기)
8) 위민 양병
9) 화폐 사용과 활자 주조
10) 이단 포용
11) 해외 문물 소개
6장 김만중의 『서포만필』
1) 이력
2) 왕권
3) 변법과 말법
4) 공자 맹자 비판
5) 한자 정자 비판
6) 주자 비판
7) 노자 숭모 도가 비판
8) 묵자 수용
9) 선학을 유학의 보조로 삼다
10) 도선 대사 무학 대사 비판
11) 과장된 주몽
12) 임진왜란 평가
13) 호란의 주화론 옹호
14) 문화의 자주독립 정신
15) 한글의 뿌리는 범어
제2부 탁고개제의 경세치용파
1장 실학 창시자 유형원
1절 반계는 누구인가?
1) 이력
2) 탁고개제의 박학파
2절 반계의 성리학
1) 주리론
2) 성실론
3) 실학은 성학이요 천리학이다
4) 경험론적 인식론
5) 법과 제도 중시
3절 정치사상
1) 신분 세습 반대 교육의 기회 균등
2) 노예 해방
3) 왕도주의적 대동 사회 지향
4절 경제사상
1) 전제 개혁
2) 공전제
3) 상공업 진흥
4) 동전 화폐
5) 외국 무역 권장
2장 『성호사설』의 이익
1절 성호는 누구인가?
1) 이력
2절 철학 사상
1) 존재론
2) 인성론
3) 영혼불멸설
4) 인간의 욕망
5) 인식론
3절 정치사상
1) 민본주의
2) 경장론
3) 양반 민주제
4) 평화를 위한 군비
5) 십만 양병 불가론
6) 선린 화친과 재조지은
7) 사대주의와 화이론
8) 봉건적인 담론
4절 경제사상
1) 인仁과 부리富利
2) 전제 개혁(영업전제)
3) 상업 억제(중농주의)
4) 주화 반대(중농주의)
5절 과학
1)지동설
제3부 변법창신의 이용후생파
1장 조선의 과학자 홍대용
1절 담헌은 누구인가?
1) 이력
2) 국제적 선비
3) 문호 개방과 민족 자주 문학론
4) 개혁적 학문관
2절 과학 사상
1) 과학 이론
2) 자연 질서로서의 천도
3) 만물을 스승으로
4) 풍수설 비판
3절 철학 사상
1) 존재론
2) 인간론
3) 인식론
4절 도덕론
1) 인의예지
2) 이단 포용론
5절 정치 경제 사상
1) 도가적 무위 정치 찬양
2) 변법론(공자의 존주 반대)
3) 왕패병용
4) 평등사상
5) 지역 공동체론
2장 문체창신의 연암 박지원
1절 연암은 누구인가?
1) 이력
2절 법고창신
1) 반상고주의
2) 법고창신
3) 새 선비론
4) 음양오행설 부정
5) 서양 과학 수용
6) 외래 종교 비판
3절 철학 사상
1) 존재론
2) 인물성동론
3) 연암의 인식론
4절 정치사상
1) 관리론
2) 사대주의 비판
3) 반청 북벌론 비판
4) 개방 계몽주의
5) 전쟁 문명 비판
6) 유토피아
5절 경제사상
1) 경제 중시
2) 이용후생과 초과소비론
3) 농병 개혁
4) 선비의 경제적 역할
5) 물자 유통과 차제
6) 화폐 유통과 물가
6절 문체창신 운동
1) 문체창신과 동심론
2) 공안파와 북학파
3) 문체창신과 패관 소설
7절 문학론
1) 해체와 주체 발견
2) 연암의 정경론
8절 작품 읽기
1) 열하일기
2) 마장전
3) 예덕선생전
4) 민옹전
5) 양반전
6) 김신선전
7) 광문자전
8) 우상전
9) 열녀함양박씨전
10) 허생전
11) 호질
3장 북학을 제창한 박제가
1절 초정은 누구인가?
1) 이력
2절 정치 사회론
1) 존주 반청 반대
2) 유사 하방 도태
3) 풍수설 반대
3절 경제론
1) 근대적 경제 이론
2) 과학 기술
3) 농업 개혁
4) 중상주의
5) 공업 진흥
제4부 종합과 철학적 정초
1장 정약용의 경학과 철학
1절 다산은 누구인가?
1) 이력
2절 새로운 경학
1) 경학의 혁신과 신아구방
2) 민중적 경세학 정립
3) 인외설
4) 예치주의
5) 주서경학
6) 천제론
7) 음양오행설 비판
8) 성리학 해체
3절 성리학 해체
1) 이기론 부정
2) 성리설 부정
3) 본연지성 부인
4) 기질악론 부정
5) 성삼품설 부정
6) 인물성동론 반대
4절 인식론
1) 격물론
2) 양명학 비판
5절 정치사상
1) 양주 묵적 포용
2) 왕권 강화
3) 균민주의
4) 국민 주권설
5) 민의회 군주 선출론
6) 인재 평등론
6절 경제사상
1) 균분
2) 여전제
3) 농자 유전 유사 하방
4) 정전제
5) 기술 총론
6) 상업 진흥책
7) 공업 진흥책
8) 화폐론
7절 사회 문화 사상
1) 일체의 미신 반대
8절 주체적 문학론
1) 오학론
2) 문장론
3) 연암의 문체창신 운동 반대
4) 시와 시론
제5부 유물론적 신학
1장 최한기의 근대적 기학
1절 혜강은 누구인가?
1) 이력
2절 근대적 신학
1) 새로운 글쓰기와 개념
2) 명학에 대한 실학
3) 새로운 인식 방법
3절 교학의 혁명
1) 교학의 혁신
2) 경학의 변통
3) 성리학의 혁파
4) 조선 최초의 유물론
4절 유형의 기氣
1) 유기론
2) 신神은 기氣의 영명한 성질
3) 기氣는 곧 에너지
4) 기氣는 곧 질료
5) 무無와 공空은 기氣
5절 유형의 이理
1) 이理는 유형한 기氣의 일(에르그)
2) 유행의 이理 추측의 이理
3) 자연의 이理 당연의 이理
6절 기화인도의 심론
1) 심기론
2) 심학을 대체한 운화교
3) 비판(주체의 소외)
7절 유물론적 인식론
1) 경험론
2) 소염론
3) 격물일도설
4) 경험의 확충과 심心 경험 기氣 경험
5) 추측의 검증
6) 지행합일
7) 수리와 신기
8) 실증주의
8절 경험 과학의 창시
1) 실험 과학
2) 사무학
3) 기용학
9절 도덕론
1) 천인 도덕
2) 인의예지는 추측에서 생긴다
3) 선악은 운화의 순역
4) 선악과 이욕
5) 승순 운화의 인간상
10절 정치사상
1) 천인 정치는 치안에 있다.
2) 민民을 위한 민에 의한 정치
3) 만물 일체론
4) 세계화와 평화
5) 겸애 평등
6) 학문의 자유와 이단 관용
7) 붕당과 경장
8) 역성혁명
Author
기세춘
1992년 『천하에 남이란 없다?묵자』 상·하권을 출간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묵자를 완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1994년에 신영복 선생과 공역으로 출간한 『중국역대시가선집』(전 4권)은 중국의 시사(詩史) 3,000년을 총망라한 우리나라 유일본이다.
1994년 문익환 목사와 공저로 『예수와 묵자』를 출간했고, 2009년 재출간했다. 1997년 서양의 현대철학과 북한의 주체사상을 비교 분석한 『주체철학 노트』를 출간했다. 2002년에는 <신세대를 위한 동양사상 새로 읽기> 시리즈로 『유가』, 『묵가』, 『도가』, 『주역』 등 네 권을 출간했다. 2005년에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동양사상 바로 알기’를 주제로 『동양고전 산책』(전 2권)을 출간했다. 2007년에는 고전 재번역 운동의 일환으로 『장자』를 완역하여 출간했으며, 중국과 조선의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성리학개론』 상·하권을 출간했다. 2008년에는 『노자 강의』를, 2010년에는 『논어 강의』를, 2012년에는 『실학사상』을 출간했다. 현재는 『주역』 출간을 위해 강의안을 손질하고 있다.
1992년 『천하에 남이란 없다?묵자』 상·하권을 출간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묵자를 완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1994년에 신영복 선생과 공역으로 출간한 『중국역대시가선집』(전 4권)은 중국의 시사(詩史) 3,000년을 총망라한 우리나라 유일본이다.
1994년 문익환 목사와 공저로 『예수와 묵자』를 출간했고, 2009년 재출간했다. 1997년 서양의 현대철학과 북한의 주체사상을 비교 분석한 『주체철학 노트』를 출간했다. 2002년에는 <신세대를 위한 동양사상 새로 읽기> 시리즈로 『유가』, 『묵가』, 『도가』, 『주역』 등 네 권을 출간했다. 2005년에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동양사상 바로 알기’를 주제로 『동양고전 산책』(전 2권)을 출간했다. 2007년에는 고전 재번역 운동의 일환으로 『장자』를 완역하여 출간했으며, 중국과 조선의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성리학개론』 상·하권을 출간했다. 2008년에는 『노자 강의』를, 2010년에는 『논어 강의』를, 2012년에는 『실학사상』을 출간했다. 현재는 『주역』 출간을 위해 강의안을 손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