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개론 (상)

묵점 기세춘 선생과 함께하는
$32.40
SKU
978899246704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08/06
Pages/Weight/Size 165*225*35mm
ISBN 9788992467049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성리학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위한 개론서. 오늘을 사는 한국인에게 성리학은 여전히 유효한가?
한국인이라면 거의 모두가 학교에서 성리학을 배우고 ‘퇴계’와 ‘율곡’을 배우지만,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성리학’이 차지하는 위상이나 존재감은 극히 미미하다. 성리학을 이제는 박물관에나 전시돼야 할 유물로 보거나, 역사적으로 한반도의 근대화를 늦어지게 한 원흉으로 지목하고 있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인 기세춘 선생은 성리학에 대한 오해와 왜곡을 바로잡고 성리학의 실체를 밝히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건설적인 미래상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전통에 대한 합리적인 비판과 수용이 먼저 있어야 하며, 그렇기 위해서는 조선왕조 500년간의 통치 이념으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성리학에 대해 비판적인 이해하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성리학을 다룬 체계적인 개론서로서는 한국 최초로 출간된 이 책에서, 저자는 성리학에 대한 평가절하의 시선뿐 아니라 지나친 찬양 모두를 비판하면서 성리학에 대한 균형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 성리학이 당시의 서양철학에 비해 선진적인 사상이었고 오늘날의 ‘동양 사상’의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밝히면서 그 가치를 재발견하는 동시에, 시대 변화에 부응하지 못한 봉건성에 대해서는 신랄한 비판을 가한다. 그래서 “조선은 성리학으로 나라를 발전시켰지만 그것을 비판하고 지양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라를 잃었다”는 냉철하고도 단호한 평가를 내린다.

상권에서는 신유학이 태동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유학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신유학의 특성을 설명한다. 주희 이전의 기학氣學파와 이학理學파의 학문을 살피고, 주희가 어떻게 이를 집대성했는지 그 학문적 특성을 알아본다. 이어서 육구연을 비롯한 주희의 논적들의 주장을 검토한 뒤, 왕수인·이지의 심학心學과 나흠순·유종주의 기학氣學이 주희의 이학을 비판한 것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학이 청대 기철학氣哲學에 의해 해체되는 과정을 따라가 본다.
Contents
제1부. 신유학의 태동
1장. 종교개혁
개혁과 전통 | 유학의 변천 | 보수파와 개혁파

2장. 우주론
종교에서 철학으로 | 음양오행설 | 유교와 음양오행설 | 이학파의 우주론 | 기학파의 우주론

3장. 인간론
인성론 | 인식론 | 도덕론

4장. 정치론
원시유교의 정치사상 | 이학파의 정치론 | 기학파의 정치론

제2부. 주희의 성리학
1장. 이학파·기학파 종합
주희의 인품과 사명감

2장. 주희의 우주론
천제天帝에서 태극으로 | 주리적 이기이원론 | 태극 논쟁과 보편 논쟁

3장. 주희의 인간론
인간의 정신은 우주의 본체 | 주희의 심론心論 | 인식론 | 심성론의 의의

4장. 주희의 도덕·정치론
공맹의 도와 노장의 도 | 인예와 천리 | 극기를 멸인욕滅人欲으로 | 복례를 존천리로 | 성리론과 성선설 | 주희의 계몽적 정치론

제3부. 정주리학 비판
1장. 주희의 논적들
육구연의 심즉리 | 진량의 공리주의 | 섭적의 변증법적 유물론

2장. 명대 심학의 이학 비판
왕수인의 치양지설致良知說 | 이지의 동심설

3장. 명대 기학의 이학 비판
나흠순의 기학 | 유종주의 심기학

제4부. 정주리학 해체
1장. 기학의 이학 해체
청대 기학의 개요 | 천명론 부정 | 주리론 부정 | 성리설 부정 | 극기론 재해석 | 복례론 부정 | 정치사회론

2장. 인식론 비판
인성론과 인식론 | 육왕의 관념론과 정주 비판 | 성기학의 경험론
Author
기세춘
1992년 『천하에 남이란 없다?묵자』 상·하권을 출간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묵자를 완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1994년에 신영복 선생과 공역으로 출간한 『중국역대시가선집』(전 4권)은 중국의 시사(詩史) 3,000년을 총망라한 우리나라 유일본이다.
1994년 문익환 목사와 공저로 『예수와 묵자』를 출간했고, 2009년 재출간했다. 1997년 서양의 현대철학과 북한의 주체사상을 비교 분석한 『주체철학 노트』를 출간했다. 2002년에는 <신세대를 위한 동양사상 새로 읽기> 시리즈로 『유가』, 『묵가』, 『도가』, 『주역』 등 네 권을 출간했다. 2005년에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동양사상 바로 알기’를 주제로 『동양고전 산책』(전 2권)을 출간했다. 2007년에는 고전 재번역 운동의 일환으로 『장자』를 완역하여 출간했으며, 중국과 조선의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성리학개론』 상·하권을 출간했다. 2008년에는 『노자 강의』를, 2010년에는 『논어 강의』를, 2012년에는 『실학사상』을 출간했다. 현재는 『주역』 출간을 위해 강의안을 손질하고 있다.
1992년 『천하에 남이란 없다?묵자』 상·하권을 출간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묵자를 완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1994년에 신영복 선생과 공역으로 출간한 『중국역대시가선집』(전 4권)은 중국의 시사(詩史) 3,000년을 총망라한 우리나라 유일본이다.
1994년 문익환 목사와 공저로 『예수와 묵자』를 출간했고, 2009년 재출간했다. 1997년 서양의 현대철학과 북한의 주체사상을 비교 분석한 『주체철학 노트』를 출간했다. 2002년에는 <신세대를 위한 동양사상 새로 읽기> 시리즈로 『유가』, 『묵가』, 『도가』, 『주역』 등 네 권을 출간했다. 2005년에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동양사상 바로 알기’를 주제로 『동양고전 산책』(전 2권)을 출간했다. 2007년에는 고전 재번역 운동의 일환으로 『장자』를 완역하여 출간했으며, 중국과 조선의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성리학개론』 상·하권을 출간했다. 2008년에는 『노자 강의』를, 2010년에는 『논어 강의』를, 2012년에는 『실학사상』을 출간했다. 현재는 『주역』 출간을 위해 강의안을 손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