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1년 육아정책연구소의 기본과제인 유아교육과 보육 간 통합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시리즈 중 하나로서, 커리큘럼의 통합 방안, 인력의 통합 방안에 이은 세 번째 주제에 해당한다. 그 간의 관련 연구와 비교할 때 본 연구 보고서는 행?재정 통합이라는 복잡한 영역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여 로드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선행연구
5. 용어 정리
Ⅱ. 유아교육?보육의 행?재정 현황
1. 전달체계 및 행정 인력
2. 재정
3. 기관시설의 설치 및 운영 규정
4. 기관시설 평가 체계
Ⅲ. 외국의 행?재정 통합 모형
1. 다양성을 포괄한 통합
2. 단선형 통합
3. 연령구분형 이원화 체제 I : 5+1 형
4. 연령구분형 이원화 체제Ⅱ: 3+3 형
5. 시사점
Ⅳ. 육아지원기관 행?재정 통합 방향의 인식
1. 유아교육과 보육 간 차이 및 통합 필요성 인식
2. 영유아 부모의 유아교육?보육 제도 차이 인지
3. 유아교육과 보육 제도 개선 필요성 인식
4. 통합 유형 선호
Ⅴ. 유아교육과 보육 행?재정 통합 전략
1.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의 타당성
2.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전략 수립의 원칙
3.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추진을 위한 단기 전략
4.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추진을 위한 중기 전략
참고문헌
부록
유치원 평가지표별 평가요소
전문가 및 기관, 공무원용 설문지
학부모용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