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 유럽 학자의 고구려 연구

모리스 꾸랑,에두아르 샤반느
$30.24
SKU
97889923510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08/15
Pages/Weight/Size 규격외
ISBN 978899235108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이 개항의 몸부림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을 때 한 프랑스 학자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1898년 유럽 학계에 처음으로 광개토태왕비와 고구려를 소개한 프랑스 학자 모리스 꾸랑의 「고구려 왕국의 한문 비석」이란 논문이다. 이후 1907년 유럽 사람으로는 처음으로 고구려 유적을 탐사한 에두아르 샤반느가 「한국의 고대 왕국 고구려 유적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한다.

저자는 이 보고서와 논문을 정확하게 번역한 뒤 선구자로서 보여준 그들의 조사 성과를 새롭게 조명한다. 이 책은 고구려연구회 서길수(서경대 교수) 특유의 국제적 기동성과 융통성이 돋보인다는 평을 듣고 있다.
Contents
추천사 : 꾸랑, 샤반느의 고구려 연구와 100년만의 재탄생 - 박성봉(경북대)
추천사 : En Guise d'introduction - 삐에르 깡봉(프랑스 기메박물관)
Summary 1 영어 European Scholars' Research on Koguryo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ummary 2 중국어 韓末歐洲學界對廣開土太王碑的調査和硏究
책머리에
감사드리는 글

첫째 마당 모리스 꾸랑의 광개토태왕비 연구(1898)
Ⅰ. 모리스 꾸랑과 광개토태왕비의 만남
1. 모리스 꾸랑의 생애와 저술
2. 19세기 말 광개토태왕비의 발견과 모리스 꾸랑
Ⅱ. 비문에 관한 고찰(1) - 고구려 건국에서 광개토태왕까지
1. 고구려 건국과 부여
2. 유류(儒留)와 대주류(大朱留)에서 광개토태왕까지
3. ‘17세손(孫)’에 관한 논의
4. 광개토태왕의 정복기사 연구
Ⅲ. 비문에 관한 고찰(3) - 모리스 꾸랑의 광개토태왕비 해석과 역사 인식
1. 고구려는 언제부터 문자를 썼는가?
2. 광개토태왕비의 생김새와 문장
3. 모리스 꾸랑의 광개토태왕비 석문에 대한 분석과 평가
4. 모리스 꾸랑의 한국 고대 역사지도에 대한 분석
5. 중국과 일본의 학문적 자세에 대한 꾸랑의 시각
Ⅳ. 모리스 꾸랑의 광개토태왕비 연구에 대한 평가

둘째 마당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유적 탐사(1907)
Ⅰ. 에두라르 샤반느와 고구려의 만남
1. 샤반느의 보고서 「한국의 고대 왕국 고구려의 유적」
2. 에두아르 샤반느의 생애와 저술
3. 에두아르 샤반느의 국내성 방문의 일정
Ⅱ.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탐사(1) - 광개토태왕비와 탁본
1. 광개토태왕비의 생김새와 석재
2. 광개토태왕비에 대한 조사 테이터
3. 에두아르 샤반느가 구입한 탁본과 사진
4. 통구는 고구려 첫 수도 홀본이다
Ⅲ.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탐사(2)
머리 잘린 피라미드(pyramide tronqu?e), 장군무덤(將軍墳)
1. 장군무덤의 바깥모습 조사
2. 맨 꼭대기에 건축물이 있었다.
3. 널방은 제사터였다.
4. 심각한 보존문제에 대한 경고
5. 딸린무덤(陪塚) - 장군무덤 동북쪽에 있는 일부 무너진 무덤
Ⅳ.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탐사(3)
고구려왕국 제2의 무덤떼, 태왕릉과 벽화무덤
1. 태왕릉172
2. 돌무지무덤과 흙무지무덤176
3. 벽화무덤 182
Ⅴ. 샤반느의 고구려 탐사(4) - 통구성과 산성자산성
1. 집안현 소재지 통구(通溝)189
2. 산성자산성(山城子山城)과 산성하무덤떼
Ⅵ. 에두아르 샤반느가 기증한 기메박물관의 고구려 유물
1. 글자가 새겨진 태왕릉 벽돌
2. 수막새(瓦當)
3. 평기와 조각
4. 기타
Ⅶ. 맺는 말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답사 보고서에 대한 평가215

셋째 마당 관련 자료집
Ⅰ. <부론> 러시아 학자 짜를가시노바의 광개토태왕비 연구(1979)
Ⅱ. 관련 자료집(1) <번역과 원문>「고구려왕국의 한문(漢文) 비석」
Ⅲ. 관련 자료집(2) <번역과 원문> 「한국의 고대 왕국 고구려의 유적에 관한 보고서」
Ⅳ. 관련 자료집(3) <원문> 「한국의 고대 왕국 고구려의 유적」
Ⅴ. 관련 자료집(4) <번역과 원문> 회여록(會餘錄)
Ⅵ. 관련 자료집(5) 최초의 고구려 유적 사진
Author
서길수
- 1944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남.
- 광주 사레지오고등학교, 국제대학 졸업.
- 단국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한국경제사 전공).
- 서경대학교(전 국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2009년 정년퇴임).

서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1990년 세계에스페란토협회 회원으로 중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을 운명처럼 마주했다. 이후 고구려연구회를 설립하고 국내외 학자들과 교류하며 수많은 국제 학술대회를 열어 우리나라 고구리사 연구의 현주소와 역사학계의 나아갈 방향을 찾아나섰다. 또한 중국 땅은 물론 남북의 고구리 역사 유적을 샅샅이 찾아다니며 고구리쪾고리사 연구에 헌신하였다.
현재 고구려연구회 이사장, 고구려·발해학회 고문, 맑은나라·불교연구회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고구리·고리연구소를 새롭게 발족하여 당면한 중국의 일방적인 동북공정에 맞서 남은 여생을 바치고 있다.

저서로는 『高句麗城』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대륙에 남은 고구려』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 『세계 유산 고구려』 『동북공정 고구려사』(번역),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번역)와 고구리·고리사 연구총서 시리즈로 『고구려의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들이 출간되었다.
논문으로는 「송화강 유역의 고구려 산성 연구」 「고구려 축성법 연구(1~5)」 「중국의 역사왜곡 현장에 관한 사례 분석」 들이 있다.
- 1944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남.
- 광주 사레지오고등학교, 국제대학 졸업.
- 단국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한국경제사 전공).
- 서경대학교(전 국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2009년 정년퇴임).

서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1990년 세계에스페란토협회 회원으로 중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을 운명처럼 마주했다. 이후 고구려연구회를 설립하고 국내외 학자들과 교류하며 수많은 국제 학술대회를 열어 우리나라 고구리사 연구의 현주소와 역사학계의 나아갈 방향을 찾아나섰다. 또한 중국 땅은 물론 남북의 고구리 역사 유적을 샅샅이 찾아다니며 고구리쪾고리사 연구에 헌신하였다.
현재 고구려연구회 이사장, 고구려·발해학회 고문, 맑은나라·불교연구회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고구리·고리연구소를 새롭게 발족하여 당면한 중국의 일방적인 동북공정에 맞서 남은 여생을 바치고 있다.

저서로는 『高句麗城』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대륙에 남은 고구려』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 『세계 유산 고구려』 『동북공정 고구려사』(번역),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번역)와 고구리·고리사 연구총서 시리즈로 『고구려의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들이 출간되었다.
논문으로는 「송화강 유역의 고구려 산성 연구」 「고구려 축성법 연구(1~5)」 「중국의 역사왜곡 현장에 관한 사례 분석」 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