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518 회고록 20년만의 고백을 쓰고 난 후 이것이 전태일 문학상을 수상하며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지난 20년 간 수십 차례에 걸쳐 국내외 방송이나 언론들과 인터뷰를 하거나 토론을 하고 때론 강의도 하며 모아진 자료들을 책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1990년대 후반부터 518 북한 개입에 대한 주장들이 나오기 시작하였는데 이 문제에 대한 저의 의견도 실었습니다. 2021년 518 재단의 요청으로 전두환 광주고법 항소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을 하며 일몰의 시간 518 묘역을 방문한 일이 있는데 그 적막한 묘역에서 느꼈던 슬픔과 평화로움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또 가끔 동작동 국립묘지를 찾기도 하는데 거기 누워있는 20여명 동료들을 생각하며 동일한 마음을 느끼기도 합니다. 원래 계획은 저의 518에 대한 글의 부록으로 415 선거 부정에 관한 글을 싣는 것이었는데 사건의 중대성을 고려하며 이 글을 먼저 실었습니다. 미국 안보정책센터의 선임 연구원 그랜트 뉴셤 변호사의 보고서는 지난 2020년 우리나라 제 20대 총선에서 벌어진 민주당의 선거 부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디지털 범죄의 기술적 문제와 이런 선거 조작의 목표가 무엇이었는지를 밝히고 있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병화 전 대사님의 추천글이 이 보고서의 내용을 잘 소개하고 있습니다. 518은 한국 현대사의 가장 고통스런 사건이고 이런 518을 팔아 집권 세력이 된 민주당 사람들이 이렇게 선거를 조작하며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전체주의적 혁명을 도모하는 범죄를 저질렀다는 것은 충격적이고 반역적인 일입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이 진실을 밝혀 엄단에 처하며 선거 정의와 자유민주국가로서의 국가적 정체성을 바로하지 않으면 한국 사회는 중국같이 소수 권력 엘리트들이 디지털 기술 범죄를 이용하여 국가 권력을 독점하는 전체주의 사회가 되고 말 것입니다.
Contents
1부 - 415 선거 부정 이야기 | 016
415 선거 부정 한글 보고서(그랜트 뉴셤)
2부 -518 이야기 | 050
열두 번째 이야기 | 051
518 북한 개입설과 미국 기밀해제문서 문제
열한 번째 이야기 | 057
광주고등법원 전두환 항소심 증언
열 번째 이야기 | 071
518 이해와 오해(대학 강의록)
아홉 번째 이야기 | 104
518 국회 토론 발표문(국회 국제회의실)
여덟 번째 이야기 | 118
518을 기록하겠다는 마음이 늘 있었다
(평택시민신문 안노연 기자)
일곱 번째 이야기 | 126
학살의 현장에서 피워올린 진실이라는 꽃 한송이
(전남일보 오선우기자)
여섯 번째 이야기 | 135
손숙의 아주 특별한 인터뷰(CBS)
다섯 번째 이야기 | 153
그때 그곳의 사람들(한겨레21 German Photographer Matthias Ley)
네 번째 이야기 | 161
늘 광주에 대해 쓰고 싶었다(오마이뉴스 박수원 기자)
세 번째 이야기 | 170
이경남 목사 동행 취재기(시사저널 고재규 기자)
두 번째 이야기 | 179
블러디 선데이 영화 평론(씨네 21)
첫 번째 이야기 | 184
20년만의 고백(당대비평)
부록 - 415 선거 부정 보고서 (영문)
Author
이경남
평택 효덕감리교회 목사
전태일 문학상 수상(2000년)
MBC100분 토론 (2000년)
국회 토론 (2013년)
KBS 토론(2017년)
손숙의 아주 특별한 인터뷰
크리스챤 NOW
새롭게 하소서
한겨레 21. 시사저널, 오 마이 뉴스,
씨네 21, 시사in. 리베라 시옹(불) 인터뷰
BBC(영), ARD(독), NHK(일),
TBS(일) 등 다수 출연
저 서 : 알기 쉬운 기독교, 이게 믿음이다, 내 영혼의 시편(1)
평택 효덕감리교회 목사
전태일 문학상 수상(2000년)
MBC100분 토론 (2000년)
국회 토론 (2013년)
KBS 토론(2017년)
손숙의 아주 특별한 인터뷰
크리스챤 NOW
새롭게 하소서
한겨레 21. 시사저널, 오 마이 뉴스,
씨네 21, 시사in. 리베라 시옹(불) 인터뷰
BBC(영), ARD(독), NHK(일),
TBS(일) 등 다수 출연
저 서 : 알기 쉬운 기독교, 이게 믿음이다, 내 영혼의 시편(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