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출판 b에서 박인성(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의 [법상종 논사들의 유식사분의 해석(法相宗諸論師唯識四分義解釋)]이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규기.혜소.지주.도읍 등 중국 법상종의 논사들, 그리고 선주.중산 등 일본 법상종의 논사들의 사분의를 탐구하고 있다. 현장이 편집해서 한역한 호법의 [성유식론]을 주석해서 규기가 [성유식론술기]와 [성유식론장중추요]를 저술하고, 또 이 규기의 저술을 해독하며 일본에서는 사분의를 궁구하는 선주의 [유식분량결]과 중산의 [사분의극략사기]가 나오게 되었다. 이 중국과 일본의 유식논서들에 담겨 있는 호법의 유식사상은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내려오지 않는다. 화엄, 천태, 선, 기신론 사상 등 중국인들이 창시한 불교 전통 속에서 인도의 호법의 유식사상은 설 자리가 없었던 것 같다.
이 책에서 저자는 법상종 논사들의 유식사분의를 연구하면서 일본 법상종의 유식에 주목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일본은 고대부터 근세까지 호법 유식의 전통이 풍요롭게 내려오는 나라이다. 일본 유식을 연구한다는 것은 단순히 일본 유식을 연구한다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도의 호법 유식을 계승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유식을 연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호법과 현장의 유식은 현대의 현상학자 이조 케른이 설파했듯이 후설의 현상학과 유사한 점이 많다. 저자는 호법과 현장의 유식 용어들을 후설의 현상학과 접목하면서 오늘날의 언어로 해석하고, 그러면서 더 깊이 더 넓게 유식을 사유하는 길을 모색해 가고 있다. 이 책은 이렇게 새롭게 펼쳐질 사유의 흐름에 있어서 출발점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Ⅰ.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 90
Ⅱ.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 93
Ⅲ.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과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의 화회 99
4. 행상문 2
Ⅰ. 행상에 대한 규기의 두 가지 해석 112
1.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첫째 해석?112 / 2.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둘째 해석?118
Ⅱ. 첫째 해석과 둘째 해석에 대한 지주와 도읍의 견해 125
1. 지주의 견해?128 / 2. 도읍의 견해?130
Ⅲ. [유가사지론]의 ‘소연은 동일하고 행상은 동일하지 않다’와 [성론]의 ‘소연은 상사하고 행상은 각각 다르다’에 대한 해석 133
1. 중산의 해석?134 / 2. 규기의 해석과 중산의 풀이?140
5. 사분상연문
Ⅰ. 염위(染位)에서의 4분상연 153
1. 첫째 논사의 견해?154 / 2. 둘째 논사의 견해?158
Ⅱ. 정위(淨位)에서의 4분 상연 160
1. 동체 4분의 경우?160 / 2. 동취이체의 경우?167
6. 삼량분별문
Ⅰ. 4분과 3량 간의 관계 176
Ⅱ. 견분은 3량에 통하지만 자증분은 3량에 통하지 않는다 182
Ⅲ. 견분의 3량은 동시에 생할 수 없지만 자증분의 현량과 견분의 3량은 동시에 생한다 185
Ⅳ. 견분의 3량이 동시에 생할 수 있다는 견해를 논파함 ① 188
Ⅴ. 견분의 3량이 동시에 생할 수 있다는 견해를 논파함 ② 194
7. 능연소연문
Ⅰ. 상분의 심과 견분의 심 203
1. 상분의 심은 연려할 수 없다?204 / 2. 견분의 심은 연려할 수 있다?208 / 3. 견분이 이전의 심을 연려할 수 있는 것은 자증분 때문이다?212
Ⅱ. 능연의 용의 분한 214
1. 증자증분은 견분을 연려할 수 없다?214 / 2. 능연의 용에 분한이 있는 것은 상박과 견박 때문이다?218 / 3. 4분은 늘어남과 줄어듦이 없다?220
Ⅲ. 4분의 비즉비리 226
1. 공능에 의거해서?226 / 2. 종자에 의거해서?229
Ⅰ. 3분의 이증과 교증 263
1. 이증?265 / 2. 교증?275
Ⅱ. 4분의 이증과 교증 278
1. 이증?278 / 2. 교증?281
Ⅲ. 1분의 교증 285
맺는 말?290
ㅣ부록 1ㅣ 불교에서 본 칸트 윤리학의 근본개념들
Ⅰ. 들어가기―사마타의 위빠사나를 위하여 311
Ⅱ. 왜 철학에 사마타가 있어야 할까? 313
Ⅲ. 칸트 윤리학의 당위 개념은 불교의 어느 지점에 있을까? 325
Ⅳ. 칸트 윤리학과 불교는 어디서 어떻게 헤어질까? 330
Ⅴ. 맺기―칸트 윤리학을 배우는 불교, 불교를 배우는 칸트 윤리학 345
ㅣ부록 2ㅣ 위빠사나 수행과 간화선 수행의 공명
Ⅰ. 들어가기 347
Ⅱ. 기초개념들 349
Ⅲ. 산란 352
Ⅳ. 일어남과 사라짐을 보아 가는 위빠사나 수행 358
Ⅴ. 문제를 물어 가는 간화선 수행 371
Ⅵ. 위빠사나 수행과 간화선 수행의 열반 성격 382
Ⅶ. 맺기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