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말년의 칸트가 자신의 비판철학의 시기를 보내고, 그 시기에 확립한 그의 실천철학, 즉 도덕철학의 이론과 원리를 그 자신 실천적 이론가 또는 이론적 정치가로서 그 당시 정치현실에 철학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그래서 이 저작에는 하나의 법학적 또는 정치적 기획이 아니라 '하나의 철학적 기획'이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영원한 평화를 위한 칸트의 기획은 평화적인 세계질서가 하나의 "세계시민법"을 전제한다는 테제를 위한 논의를 제공하는데, 최고의 정치적 선으로서 영원한 평화를 가능케 하는 두 가지 요소, 즉 선험적 법 개념과 목적론적 자연 개념을 서로 연관시킨다. 말하자면 자유법칙에 기인하는 의무개념에 따르는 세계시민법이라는 공법적 상태에서 평화가 수립되며, 그 평화를 목적론적 자연, 즉 "기술자"로서 자연이, 예를 들어 "상업정신"을 통하여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칸트는 이성이 요구하는 이러한 공법적 상태를 실현하는 적극적 이념으로서 하나의 "세계 공화국"을 대신하여, 즉 그것을 국가들이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에 하나의 "국제연맹"을 제시한다. 바로 이것이 국제연합(UN)의 모태적 구상이다.
Contents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제1절 이 절은 국가들 사이의 영원한 평화를 위한 예비조항을 담고 있다
제2절 이 절은 국가들 사이의 영원한 평화를 위한 확정조항을 담고 있다
제1추가 영원한 평화의 보장에 관하여
제2추가 영원한 평화를 위한 비밀조항
부록
Ⅰ. 영원한 평화에 대한 의도에 있어서 도덕과 정치 사이의 불일치에 대하여
Ⅱ. 공법의 초월론적 개념에 따른 도덕과 정치의 일치에 관하여
마이너 판 편집자의 주해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Author
임마누엘 칸트,오진석
철학자 칸트는 63세에 이르러 집을 소유할 수 있었다. 그때는 이미 결혼 적령기를 한참이나 지난 나이였다. 쉰일곱 살에 첫 번째 위대한 저작 <순수이성비판1781>을 출간했다. 십 년을 넘게 시간강사 생활을 이어가다 마흔여섯 살이 돼서야 자기 고향에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과 교수가 될 수 있었다. 세상에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고 남들보다 성과가 없는 고단한 인생이라면 뒤늦게 빛을 본 칸트의 인생을 떠올려 봄직하다. 평범한 서민의 아들이었으며 젊어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도 아니었고 부와 명예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러나 칸트는 늦은 나이에 빛을 내기 시작한 천재였다. 인류 스스로 과감하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였다. 또한 그 자신이 인류가 현대의 정신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커다란 출입문이었다.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 비판 1790>,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1795>, <도덕 형이상학1797> 등을 썼다.
철학자 칸트는 63세에 이르러 집을 소유할 수 있었다. 그때는 이미 결혼 적령기를 한참이나 지난 나이였다. 쉰일곱 살에 첫 번째 위대한 저작 <순수이성비판1781>을 출간했다. 십 년을 넘게 시간강사 생활을 이어가다 마흔여섯 살이 돼서야 자기 고향에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과 교수가 될 수 있었다. 세상에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고 남들보다 성과가 없는 고단한 인생이라면 뒤늦게 빛을 본 칸트의 인생을 떠올려 봄직하다. 평범한 서민의 아들이었으며 젊어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도 아니었고 부와 명예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러나 칸트는 늦은 나이에 빛을 내기 시작한 천재였다. 인류 스스로 과감하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였다. 또한 그 자신이 인류가 현대의 정신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커다란 출입문이었다.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 비판 1790>,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1795>, <도덕 형이상학1797>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