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나로부터 시작되는 길
고요히 놓고 또 놓으면
내가 곧 화두
너부터 알라
고정되지 않은 게 부처
인간의 마음, 생명의 근본
누가 한 것인가
마음의 선장
주인이 없다면
원심력
높고 낮음이 없이
헛공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이 도리를 모른다면
빛보다 빠른 마음이기에
마음 한 점의 힘
문이 없는 공부
통이 둥글면 뚜껑도 둥글어야 되듯이
마음 있기 이전이 탄생이 돼야
항상 놓는 연습
자유인의 도구
참자기의 얼굴
2장. 내 안의 지혜 문이 열리면
부처님이 가르치신 법
심봉
무엇을 믿을 것인가
내가 나를 알기 위해서
알면 부처, 모르면 중생
자기를 좀 믿어 줬으면
불제자의 가치
둥근 마음
한 이름
마음의 말
자기 열매를 맛보려면
한마음으로 운집하는 시간
부처님과 둘 아니게
하루 세 번의 예불을 모시는 이유
겸손하지 못한 마음이라면
예를 갖추는 마음
안팎이 없이 그렇게 겸손하고 알뜰하게
자물통과 열쇠
마음의 열쇠
도에 이르려면
한눈에 우주가 밝았다는 것
달과 해가 내 마음에
3장. 주인이 있으니 너는 쉬어라
이름하여 주인공
마음의 밝은 빛은
내공의 능력
주인이 계시다면
육신의 주인
영원한 생명의 근원
마음의 검
공심의 주인공
이름이 없어도
그 하나마저도 없다는 것은
일체 만법이 한자리에서
비우기 이전에 비어 있는 법
뿌리 없는 나무 없듯이
환상의 콤비
주인이 있으니 너는 쉬어라
과녁의 중심
주장자
은산철벽을 넘으려면
숨 쉬는 것조차도
그대로 여여하게
나 하나를 버린다면
모든 걸 묘미 있게
되고 안 되는 모든 것을
그저 놓는 일밖에는
안에다 굴려서 놓으면
진짜 없애려면
그냥 이판사판으로
허망한 그 속에 참됨이 있으니
원형 속의 한생각에
백 퍼센트의 삶
이렇게 관하라
4장. 나오는 그 자리에 다시 놓으면
삶의 최우선 순위
엎어진 그 땅을 짚고 일어나듯
놓을 수가 없기는!
지은 그 자리에서 해결해야
한순간 뛰어넘어라
마음 몰이
되는 것도 안 되는 것도
버리는 게 아니라 녹이는 것
용광로에 자꾸 넣는 작업
자기 마음의 줄을 자기가 쥐고
자기가 바로 주인공이니
다 버려서 다 얻는 것
믿음으로써 놓는 것
무조건 뛰어넘어라
아무리 불러도
믿음과 패기
눈물 한 방울을 흘리더라도
믿음의 공덕
이 마음 하나를 공부하면
몸과 마음의 진화
진법을 이루는 길
주처에서 주처로
자기를 가르치는 채찍
바깥으로 빛이 나오게 하려면
양면을 다스리는 중도
유람선과 무람선
눈앞의 일부터 궁극의 진리까지
선禪은 뭉쳐야지 흩트리면 안 되는 것
5장. 삶이라는 수행터에서
마음의 나침반을 따라서
생활하는 그 속에서
자꾸 문을 열어 주면서
안으로 굴리는 그 마음은
부드러운 힘
진짜 사랑
올바른 태교
생일의 의미
공양을 하는 마음
집안에 따뜻한 기운이 돌려면
무심으로 하는 도리
한 숨의 여유
마음의 밝음을 찾음으로써
이게 아니었더라면
모든 걸 한데 모아서
안타까운 일
한마음이 뭉치면
마음의 불기둥
업식의 바퀴에서 벗어나려면
마음은 한 찰나인데도 불구하고
마음 놀음
빈틈없는 법
모든 것을 맡겨 놓는다면
죽고 사는 걸 개의치 말고
오직 관할 뿐
올바른 살림살이
마음으로써 마음을 전달한다면
무조건!
내 안의 길잡이
아주 시원한 삶
뚜벅뚜벅 걷는 길
지혜의 무기를 굴리는 삶
싱긋이 웃고 넘어가는 여유
진실하게 행하면
스스로 짓는 농사
인간의 도의를 지키면서도
한 티의 불씨
고가 닥친다 하더라도
대장부 살림살이
악과 선의 교차로에서
언제나 어디서나
넓힌 그 마음이 무기가 돼서
본래 밝은 불
6장. 자연에서 배우다
우리처럼 말없이 살라
흐르는 물처럼
마음의 통신처
관점의 차이
나 아님이 없으니
지속되는 삶의 진리 속에서
콩씨와 콩나무
똘똘 뭉쳐 놓는다면
얕은 산이 있기에
이익 되게 하는 손
나무 부모의 설법
마음이 항상 봄이라야
7장. 뿌리 깊은 나무가 되어
이 세상과도 바꿀 수 없는 보배
한생각의 힘
내 한생각 법이 되어
전체를 위한 한생각
불가사의한 공부
내 한생각이 흔들린다면
독과 약
스스로 봄이 온다면
눈이 저절로 녹듯이
짐 없는 자유인
우리가 할 일
참사람의 법
둘로 보지 않는 마음이 되려면
세울 것도 없는 경지
그 청정함을 알기 위해서
선 공덕이 되려면
대인의 열쇠
8장. 다만 그윽한 마음을 내라
진짜 사랑
안으로 돌리는 작업
섬기면서 이끌면서
상대가 되어 볼 수 있는 마음
한 사이가 없이
무주상의 보시
다만 그윽한 마음을 내라
저절로 섬기는 마음이 생기려면
나 하나의 마음가짐이
스님들의 마음가짐
마음의 밑바닥
좁은 문
무공덕
법계의 눈
포괄적인 하나
마음 내기 이전
마음이 빚어낸 줄 안다면
불바퀴 뒷면에 타지 않는 그것
무주상으로 전하는 뜻
한마음이 되려면
무서우면서도 자비스러운 법
한바다가 되려면
항상 고정됨이 없이 돌아가고 있으니
마음의 샘물
우리가 걸어야 할 길
몽땅 다 준다면
9장. 공부하는 이들에게
공부인의 자세
보면서 보지 않는 공부
안을 보라
그 안의 주장자를 잡고
이름을 배우지 말고
자기가 자기 마음에 순응하면서
너의 마음에 직결되어 있다
지혜로운 바보
남을 탓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한 생각과 한생각
불국토를 만들 수 있는 역량
자기가 결정하는 것이 그대로 용用
공부의 착着
심력을 기르는 여건
자기 생각대로 하려는 관념
국가적인 일에 대해서도
애를 쓰지 않는 마음으로
진짜 참선
하면서도 하지 않을 줄 알아야
선禪의 지름길
모두가 나를 위해서
무주상 보시의 공덕
내 임이 너무 많아서
자기 자신의 은혜
한계 없는 마음으로
선행의 길
내가 바빠요
입산하는 사람은
평발이 되어
명심해야 할 것
마음과 마음의 전달만이
이롭게 하려면
값비싼 눈물 한 방울
인간의 큰 도리
스승 아님이 없으니
정신 발전의 길로
모두를 위해서
탑을 올리듯이
방황하지 않고 인내를 가지고 한다면
나무를 뚫듯이
공부하는 이들에게
10장. 자기가 자기를 금으로 만드는 사람
금으로 만드는 공부
본래 금을 가지고 있는데
금광과 같은 근본
내가 코드를 꽂지 않으면
참선으로 가는 길
모든 것을 묘미 있게
안과 밖을 잘 이끌어 가려면
공부하는 묘미
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자기 완성의 길
굴레를 벗어나려면
이 몸 없어지기 전에
한 철 공부
공부할 수 있는 권리
이왕 세상에 나왔으니
진짜 인간이 되기 위해서
한 번 죽는 목숨
나 하나를 놓는다면
부처님과 한자리
넓은 지혜
찰나 생활
만법의 진리가 바로 내 안에
한 것도 없고 안 한 것도 없이
자유인이 되려면
Author
대행
1927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스님은 어려서부터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하는 근본에 대한 의문을 참구하다 일찍이 자성의 발로를 체험하였다. 1950년, 스님은 오대산 상원사에서 방한암(方漢岩) 큰스님을 친견하고 불문에 귀의하였다. 이후 십여 년간의 산중 수행을 통해 불법의 궁극적인 도리를 체득한 스님은 중생 교화에 뜻을 두고 1972년 지금의 한마음선원을 세웠다.스님은 각자의 근본을 믿고 마음을 지켜보는 관법 수행을 통해 모든 생명이 본래로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을 생활 속에서 발현하는 마음공부를 선도하였으며 그런 스님의 가르침은 국가와 종교, 언어와 성별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주었다. 불교는 지금 발 딛고 살아가는 이 땅 위에서, 우리의 삶 속에서맛보고 꽃피울 수 있는 진리임을 알게 하고자 평생을 바쳤던 스님은 2012년 한마음선원 본원에서 입적하셨다.
주요저서로는 『삶은 고가 아니다』『대행스님의 뜻으로 푼 금강경』『만가지 꽃이 피고 만가지 열매 익어』,『한마음의 위력』등이 있다.
1927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스님은 어려서부터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하는 근본에 대한 의문을 참구하다 일찍이 자성의 발로를 체험하였다. 1950년, 스님은 오대산 상원사에서 방한암(方漢岩) 큰스님을 친견하고 불문에 귀의하였다. 이후 십여 년간의 산중 수행을 통해 불법의 궁극적인 도리를 체득한 스님은 중생 교화에 뜻을 두고 1972년 지금의 한마음선원을 세웠다.스님은 각자의 근본을 믿고 마음을 지켜보는 관법 수행을 통해 모든 생명이 본래로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을 생활 속에서 발현하는 마음공부를 선도하였으며 그런 스님의 가르침은 국가와 종교, 언어와 성별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주었다. 불교는 지금 발 딛고 살아가는 이 땅 위에서, 우리의 삶 속에서맛보고 꽃피울 수 있는 진리임을 알게 하고자 평생을 바쳤던 스님은 2012년 한마음선원 본원에서 입적하셨다.
주요저서로는 『삶은 고가 아니다』『대행스님의 뜻으로 푼 금강경』『만가지 꽃이 피고 만가지 열매 익어』,『한마음의 위력』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