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서양의학 교육사

$32.40
SKU
97889912321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11/05
Pages/Weight/Size 200*265*35mm
ISBN 978899123215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우리나라 의료를 이끈 초창기 의사들의 활동과 당시 의학교육에 대한 의학역사서

2008년은 우리나라 최초의 면허의사가 배출된 지 1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다. 이 책은 1885년 서양의학이 들어온 후 첫 면허의사가 배출되고 이들이 활동했던 191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의학교육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특히 면허를 받은 졸업생들이 한국어 의학교과서를 출판하고 교수로 남아 후진양성에 참여하면서 단순한 서양의학 수용이라는 단계를 넘어 토착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과정을 자세히 밝혔다.

책은 모두 5부로 이뤄져 있는데 1부에서는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이 소개되는 과정과 최초의 서양식 병원 제중원의 설립에 대해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최초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인 제중원의학교의 설립과 운영, 세브란스병원의학교로 이름이 바뀐 후 1908년 첫 면허의사가 배출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기술했다. 제중원의학교에서 의학을 배운 최초의 의학생들, 외국에서 교육을 받은 초창기 의사들, 에비슨이 재개한 의학교육, 그중에서도 특히 교과서 편찬 작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관(官)에 의학 의학교육을 다루고 있는데 1899년 조선정부가 설치한 의학교는 1906년 통감부가 설치돼 우리나라가 반 식민지하에 들어간 이후 통감 이토에 의해 대한의원이 설립되면서 그 명맥이 끊겼다. 1910년부터는 일본에 의한 의학교육으로 바뀌게 된다. 의학교와 대한의원을 졸업한 의사들의 활동상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부에서는 선교회와 동인회 등 종교에 의한 지역별 의학교육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 곳을 통해 의술개업인허장을 받은 의료인 144명의 활약상을 정리했다.
5부에서는 한국 최초 면허의사 7명의 활동을 정리해 보았다. 이들의 활동을 의학교 졸업생이나 외국에서 교육 받은 의사 등의 활동과 비교해보면 흥미로운 점들이 많이 보인다.
Contents
제 I 부 한국의 서양의학 도입
제1장 서양의학의 소개
제2장 최초의 서양식병원 제중원

제Ⅱ부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기관 -제중원의학교
제1장 알렌에 의한 최초의 서양의학교육
제2장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최초의 의학생들
제3장 외국에서 교육을 받은 초창기 한국인 의사들
제4장 에비슨에 의한 의학교육의 재개
제5장 한국어 의학교과서의 편찬
제6장 첫 면허의사 배출

제Ⅲ부 조선정부 - 통감부 - 조선총독부에 의한 의학교육
제1장 의학교
제2장 대한의원 교육부, 의육부, 부속 의학교
제3장 조선총독부의원부속 의학강습소
제4장 의학교와 대한의원 졸업생들

제IV부 선교부, 동인회 등에 의한 지역별 의학교육
제1장 선교부에 의한 지역별 의학교육
제2장 동인회의 의학교육
제3장 기타의 의학교육
제4장 의술개업인허장을 받은 사람들

제Ⅴ부 한국 최초 면허의사들의 활동
제1장 김필순
제2장 김희영
제3장 박서양
제4장 신창희
제5장 주현측
제6장 홍석후
제7장 홍종은

한국 근대 서양의학교육 연표
Author
박형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인체해부학(발생학)을 전공하여 1985년 의학박사의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년 4월부터 2년 6개월 동안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의 워싱턴 대학교 소아과학교실(Dr. Thomas H. Shepard)에서 발생학과 기형학 분야의 연수를 받았고, 관련 외국 전문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귀국하였다.

1996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신설된 의사학과의 초대 과장을 겸임하며 한국의 서양의학 도입사 및 북한 의학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999년 11월에는 재개관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의 관장에 임명되어 한국의 서양의학과 관련된 주요 자료의 수집에 노력하였다. 2009년 4월 대한의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최근에는 한국의 초기 의료선교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알렌, 헤론, 언더우드 및 에비슨의 내한 과정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로 초기 의료 선교사들과 관련된 다수의 자료집을 발간하였으며, 2021년 8월 정년 후에는 상우연구소 소장으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박형우는 이러한 초기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 업적으로 2017년 1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총동창회의 해정상을 수상하였고, 2018년 9월 남대문 교회가 수여하는 제1회 알렌 기념상을 수상하였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인체해부학(발생학)을 전공하여 1985년 의학박사의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년 4월부터 2년 6개월 동안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의 워싱턴 대학교 소아과학교실(Dr. Thomas H. Shepard)에서 발생학과 기형학 분야의 연수를 받았고, 관련 외국 전문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귀국하였다.

1996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신설된 의사학과의 초대 과장을 겸임하며 한국의 서양의학 도입사 및 북한 의학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999년 11월에는 재개관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의 관장에 임명되어 한국의 서양의학과 관련된 주요 자료의 수집에 노력하였다. 2009년 4월 대한의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최근에는 한국의 초기 의료선교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알렌, 헤론, 언더우드 및 에비슨의 내한 과정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로 초기 의료 선교사들과 관련된 다수의 자료집을 발간하였으며, 2021년 8월 정년 후에는 상우연구소 소장으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박형우는 이러한 초기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 업적으로 2017년 1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총동창회의 해정상을 수상하였고, 2018년 9월 남대문 교회가 수여하는 제1회 알렌 기념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