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강화

$8.64
SKU
978899107157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Mon 05/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24 - Mon 04/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07/20
Pages/Weight/Size 118*178*30mm
ISBN 9788991071575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소설가 이태준이 써서 1940년에 처음 펴냈던 『문장강화(文章講話)』를 되살린 책이다. 원저의 맛을 그대로 느끼고 싶은 독자들을 위해 원저의 문체와 호흡을 가급적 살렸다. 이 책은 60여 년 전에 씌어진 것인데도 오늘날 글쓰기 입문서로 읽기에 전혀 손색이 없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예문을 통해 독자를 인생과 문학, 그리고 역사에 대한 성찰로 이끌어주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Contents
제1강 문장작법의 새 의의
1. 문장작법이란 것 / 2. 이미 있어온 문장작법 / 3. 새로 있을 문장작법

제2강 문장과 언어의 제 문제
1. 한 언어의 범위 / 2. 언어의 표현 가능성과 불가능성 / 3. 방언과 표준어와 문장 / 4. 담화와 문장 / 5. 의음어, 의태어와 문장 / 6. 한자어와 문장 / 7. 신어, 외래어와 문장 / 8. 평어, 경어와 문장 / 9. 일체 용어와 문장

제3강 운문과 산문
1. 운문과 산문은 다른 것 / 2. 운문 / 3. 산문

제4강 각종 문장의 요령
1. 일기 / 2. 서간문 / 3. 감상문 / 4. 서정문 / 5. 기사문 / 6. 기행문 / 7. 추도문 / 8. 식사문 / 9. 논설문 / 10. 수필

제5강 퇴고의 이론과 실제
1. 퇴고라는 것 / 2. 퇴고의 고사 / 3. 퇴고의 진리성 / 4. 퇴고의 표준 / 5. 퇴고의 실제

제6강 제재, 서두, 결사, 기타
1. 제재에 대하여 / 2. 서두에 대하여 / 3. 결사에 대하여 / 4. 명제에 대하여 / 5. 묘사와 문장력 / 6. 감각과 문장미 / 7. 같이, 처럼, 듯이에 대하여 / 8. 대상과 용어의 조화 / 9. 떼기와 부호 용법

제7강 대상과 표현
1. 인물의 표현 / 2. 자연의 표현 / 3. 사태의 표현

제8강 문체에 대하여
1. 문체의 발생 / 2. 문체의 종별 / 3. 어느 문체를 취할 것인가 / 4. 문체 발견의 요점

제9강 문장의 고전과 현대
1. 문장의 고전 / 2. 문장의 현대 / 3. 언문일치 문장의 문제
Author
이태준
1904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1909년 망명하는 부친을 따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했다가 그해 8월 부친의 사망으로 귀국하였다. 1912년 모친마저 별세하자 철원의 친척집에서 성장하였다. 192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동맹휴교의 주모자로 지적되어 1924년 퇴학하였다.

1924년 학교 신문 [휘문 2호]에 단편동화 「물고기 이야기」를 처음 발표했다. 1925년 문예지『조선문단』에 「오몽녀」가 입선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27년 신문·우유 배달 등을 하며 ‘공기만을 먹고사는’ 궁핍한 유학생활을 청산하고 귀국,『개벽』과 『조선중앙일보』의 기자, 『문장』지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1933년 박태원·이효석 등과 함께 ‘구인회’를 조직하였다. 1934년 첫 단편집 『달밤』 출간을 시작으로 『가마귀』, 『사상의 월야』, 장편소설 『해방전후』 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1930년대 전후에 아동잡지 [어린이]에 발표한 많은 동화들은 여전히 많은 어린이들에게 웃음과 감동을 주고 있다. 해방 후에는 문학가동맹, 남조선민전등 조직에 참여하다가 1946년 월북하였다.

‘구인회’ 활동 과거와 사상성을 이유로 임화, 김남천과 함께 가혹한 비판을 받고 숙청되어 함흥노동신문사 교정원, 콘크리트 블록 공장의 파고철 수집 노동자로 전락하였다. 정확한 사망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60년대 초 산간 협동농장에서 병사하였다는 설이 있다. 저서로 단편소설집 『달밤』 『가마귀』 『복덕방』 『해방 전후』 『구원久遠의 여상女像』 『딸 삼형제』 『사상思想』, 수필집 『무서록』, 문장론 『문장강화』 『상허 문학독본』 등이 있다.
1904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1909년 망명하는 부친을 따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했다가 그해 8월 부친의 사망으로 귀국하였다. 1912년 모친마저 별세하자 철원의 친척집에서 성장하였다. 192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동맹휴교의 주모자로 지적되어 1924년 퇴학하였다.

1924년 학교 신문 [휘문 2호]에 단편동화 「물고기 이야기」를 처음 발표했다. 1925년 문예지『조선문단』에 「오몽녀」가 입선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27년 신문·우유 배달 등을 하며 ‘공기만을 먹고사는’ 궁핍한 유학생활을 청산하고 귀국,『개벽』과 『조선중앙일보』의 기자, 『문장』지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1933년 박태원·이효석 등과 함께 ‘구인회’를 조직하였다. 1934년 첫 단편집 『달밤』 출간을 시작으로 『가마귀』, 『사상의 월야』, 장편소설 『해방전후』 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1930년대 전후에 아동잡지 [어린이]에 발표한 많은 동화들은 여전히 많은 어린이들에게 웃음과 감동을 주고 있다. 해방 후에는 문학가동맹, 남조선민전등 조직에 참여하다가 1946년 월북하였다.

‘구인회’ 활동 과거와 사상성을 이유로 임화, 김남천과 함께 가혹한 비판을 받고 숙청되어 함흥노동신문사 교정원, 콘크리트 블록 공장의 파고철 수집 노동자로 전락하였다. 정확한 사망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60년대 초 산간 협동농장에서 병사하였다는 설이 있다. 저서로 단편소설집 『달밤』 『가마귀』 『복덕방』 『해방 전후』 『구원久遠의 여상女像』 『딸 삼형제』 『사상思想』, 수필집 『무서록』, 문장론 『문장강화』 『상허 문학독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