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문화지리지

부산 문화를 읽다
$19.44
SKU
978899096958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Tue 05/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ue 04/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3/31
Pages/Weight/Size 200*205*20mm
ISBN 9788990969583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부산 문화의 종합 안내서이자 부산 문화 사전이라고 부를 만한 ‘신문화지리지-2022 부산 재발견’이 『부산일보』에 2020년 10월에서 12월까지 3개월 동안 부산일보에 1주일마다 한가지 주제로 연재를 했다. ‘2009년 신문화지리지’에 이어 13년 만에 다시 ‘시즌2’로 부산 문화의 큰 그림을 그린 이번 기획은 미술, 문화재, 연극, 문학, 책, 음악, 영화, 건축 등 문화 전반을 아울렀다. 그 결과 부산의 문화 환경은 ‘2009 부산 재발견’ 때와는 너무나도 몰라보게 달라져있었다.

‘미술관 옆 화랑’을 시작으로 발굴 현장, 촬영지 지도, 종합문화공간, 클래식 연주자, 시·소설 속 부산, 도서관과 책방, 소극장 지도, 춤 지형, 미디어 환경, 인디신, 부산 출신 대중문화인, 축제에 이르기까지 15가지 주제로 부산 문화 지도를 완성했다. 매번 새로 길을 내며 발로 뛰어 확인한 현장을 지도에 일일이 그려 넣고, 일목요연한 표로 정리했다.

이렇게 연재된 기사를 다시 확인하고 원고를 보강하는 작업을 다시 3개월을 다투어 『부산문화지리지』책자로 발간하게 되었다. 『부산문화지리지』는 부산 문화 원형을 시간과 공간의 좌표 위에 압축한 부산 문화 여행안내서이자 부산 문화 사전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란 말처럼 흩어져 드러나지 않았던 부산 문화의 참모습을 찾는 여정에 올바른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Contents
우리 동네엔 어떤 발굴 유적이…
에코델타시티엔 염전, 부산신항엔 신석기시대 공동묘지 / 6

문학의 원천, 부산
화수분 같은 도시, 문학 속 부산은 ‘또 하나의 등장인물’ / 18

일상 속 문화공간, 서점과 도서관
골목 다양성 채우는 작은 서점, 가성비 좋은 공공도서관 / 30

부산의 미디어 생태계
생존 위기에도 지역 공동체·전문 분야 파고든 미디어 실험 / 42

틀을 깨자, 복합문화공간
턱없이 부족한 문화 인프라… 턱 낮춘 생활밀착형 공간 / 54

도시와 건축
아파트 숲에 갇힌 도시, 사람 중심 건축으로 숨통 틔워라 / 66

미술관 옆 화랑
해운대 집중에서 슬세권으로… 일상까지 스며든 미술 / 78

클래식 음악을 만나는 곳
음악 전문 공연장 없는 부산, 그래도 곳곳에서 음악회 열린다 / 90

춤의 고장, 부산
우여곡절 삭인 몸의 언어, 부산은 춤 역사의 살아 있는 현장 / 100

부산 연극, 공간과 사람들
전용극장 없어도, 프리랜서 배우로 뛰어도, 연극은 계속된다 / 112

부산은 촬영 중 - 로케이션 인기 TOP 100
부산 알린 [부산행] 부산 안 나오지만 부산서 찍었다 / 124

부산의 크고 작은 영화제
영화제는 BIFF뿐? 영화제 너무 많다? 둘 다 지독한 편견 / 136

부산 인디음악과 공연장
기울어진 운동장서 뛰어도 세계가 알아본 부산스러운 밴드 / 148

부산 출신 대중문화인
연기자 가수 전방위 활약, 영화 제작 분야까지 부산 파워 / 160

부산의 축제
‘판박이’ 축제 벗어나 트렌드 이끄는 ‘색깔 있는’ 축제로 / 172
Author
김은영,이상헌,오금아,김효정,정달식,박세익,윤여진,김동주,남유정
1989년 부산일보 입사. 1946년 창사 이래 공채 기자 출신 여성으로는 최초의 논설위원(2017~2022)을 역임했다. 일본 외무성·미국 국무부·대만 외교부 초청 연수를 다녀왔으며, 일본 니시니혼(西日本)신문사에서 파견 근무를 했다. 부산국제영화제(BIFF)후원회 운영위원장, 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 집행위원, 부산연구원 부산학센터 연구자문위원, 부산시립미술관 운영위원, 원북원부산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1989년 부산일보 입사. 1946년 창사 이래 공채 기자 출신 여성으로는 최초의 논설위원(2017~2022)을 역임했다. 일본 외무성·미국 국무부·대만 외교부 초청 연수를 다녀왔으며, 일본 니시니혼(西日本)신문사에서 파견 근무를 했다. 부산국제영화제(BIFF)후원회 운영위원장, 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 집행위원, 부산연구원 부산학센터 연구자문위원, 부산시립미술관 운영위원, 원북원부산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