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단

아름다운 문화 거버넌스를 위하여
$21.60
SKU
97889906185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09/2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90618597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연구 학문으로 아직 생소한 ‘재단’이라는 분야를 약 16년간 대우재단과 서울문화재단에서 근무한 실무 경험과 외국에서 예술경영이라는 학문을 공부하면서 가졌던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정리한 집필서다.

서장과 1장에서는 재단의 전반적인 현황과 흐름을, 2 ~ 4장에서는 영국, 미국, 한국에서 예술을 지원하는 민간재단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 재단이 문화예술계의 발전에 이바지한 성과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영국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예술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폴 햄린재단의 제인 어텐버로우 예술 분야 정책 책임자와 영국의 유명한 조각가인 핸리 무어에 의해 세워진 핸리 무어재단의 이사와의 인터뷰를 시도하였다.

5장에서는 예술 발전과 관련하여 재단이 어떤 분야들을 집중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6장 결론에서는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추려면 재단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재단이 발전하기 위한 과제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각 장의 끝에는 필자가 재단에서 일하며 겪은 일들과 고민한 주제들을 에세이 형식으로 풀어썼다. 권말 부록으로 지원을 위주로 하는 재단을 위한 정책 관련 저술인 다이애나 리트Diana Leat의 "재단의 정책 만들기"(1992)를 번역해, 정책을 만들기 위하여 재단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여, 재단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재단의 정책 만들기에 접근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Contents
저자 서문

서장 왜 문화재단을 연구하는가?
- 테마 에세이: 재단연구의 현황

1장 재단
1 비영리기관과 재단
1) 비영리기관으로서의 재단의 역할과 위치
2) 민간재단의 성장
3) 재단의 정책과 운영: 일반적 경향과 과제
2 재단의 유형
3 재단 설립의 동기
1) 경제적 동기
2) 사회적 ·정치적 동기
4 재단의 역사
1) 국내 재단의 역사
2) 미국과 영국 재단의 역사
5 각국의 문화재단 개괄
1) 영국: 틈새영역의 예술 지원
2) 미국: 세계적 명성을 지닌 대형재단의 선구자적 역할
3) 한국: 기업재단의 자체 예술기관 운영
- 테마 에세이: 재단에서 일하기


2장 예술지원과 재단
1 예술을 위한 공공지원과 민간지원
1) 정부의 예술 지원의 정당성
2) 공공과 민간의 공동지원의 장단점
3) 공동지원 환경에서의 재단의 독특한 역할
2 새로운 모델의 예술 지원자로서의 재단
3 재단의 긍정적 특성
4 재단의 새로운 지원 전략
1) 벤처지원
2) 사회사업
5 재단의 한계
6 재단에 대한 규정과 세제
1) 영국: 단순한 규정과 호의적인 세제혜택
2) 미국: 엄격한 규정과 관대한 세제혜택
3) 한국: 엄격한 규정과 제한된 세제혜택
- 테마 에세이: 공공 예술 지원의 정당성 논쟁과 예술의 가치


3장 각국의 문화지원 및 정책
1 영국: 민간지원 장려와 예술 기관의 사회적 책임 강조
2 미국: 매칭그란트 제도를 기반으로 한 연방정부 지원
3 한국: 정부의 지원과 책임 경영(자율 경영) 강조
- 테마 에세이: 팔길이 원칙의 허와 실

4장 사례연구: 재단의 예술 지원
1 영국
1) 틈새분야의 지원: 칼로스테 굴벤키안재단
2)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술: 폴 햄린재단
3) 문화 리더십: 클래어 더필드재단
4) 자신의 작품 전시와 보존을 위한 재단: 핸리 무어재단
2 미국
1) 우량 경영의 귀감: 폴락 크래즈너재단
2) 전략적인 예술 지원의 개척자: 포드재단
3) 문화 정책 개발 및 벤처지원: 퓨 채리터블재단
3 한국
1) 예술 인프라 구축(시각예술 분야): 삼성문화재단
2) 예술인프라 구축(공연예술 분야): LG연암문화재단
3) 문학에 대한 전문화된 집중지원: 대산문화재단
4) 지역문화재단의 대표주자: 서울문화재단_
- 테마 에세이: 문화NGO와 서울문화재단

5장 재단이 지원해야 하는 분야들
1 문화예술교육
2 실험예술
3 논쟁적 예술
4 문화적 균등성과 다양성
5 예술가
6 문화정책 연구
- 테마 에세이: 문화정책의 싱크탱크로서의 문화재단을 위하여

6장 결론
1 재단의 특성과 예술 지원
2 미래 사회 변화와 재단의 역할
3 재단의 발전을 위한 과제들
4 맺는 글
- 테마 에세이: 지역문화재단의 미래 과제

■ 인터뷰 1: 폴 햄린재단의 예술분야 지원 책임자, 제인 어텐버로우
■ 인터뷰 2: 핸리 무어재단의 이사, 팀 르웰린
■ 부록: 재단의 정책 만들기Grant-giving: a guide to policy making
■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김경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