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동아시아 전통 사상의 정치질서관: 유학·묵학·노장사상 정치질서관의 특징
제2장 근세 동아시아에서의 주자학적 정칩질서관의 형성과 전개
제3장 근세 전반기 동아시아 3국의 개혁사상
제4장 근세 후반기 동아시아 3국의 개혁사상
맺음말
참고문헌
인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 정치사상사 및 외교사 분야를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한일 근세 교류사, 동아시아 비교사상사 및 문명사와 관련된 주제들이다.
저서로 『근세 동아시아의 개혁사상』(2003), 『도전과 응전의 정치사상』(2005), 『민의와 의론』(공저, 2012), 『국치 100년, 국권상실의 정치외교사적 재조명』(공저, 2012) 등이, 논문으로 「동양정치사상에서의 진보: 한국의 전통적 진보사상의 특성을 중심으로」(2009), 「국권상실의 정치사상적 요인」(2010),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1)」(2011), 「임진왜란기 자호란기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 쇄환교섭의 정치외교사적 특성 비교」(2016),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2)」(2015), 「조선조의 군주덕목론(君主德目論): 이상과 현실의 괴리」(201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