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

녹색평론 서문집
$22.68
SKU
978899027489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1/21
Pages/Weight/Size 150*215*30mm
ISBN 978899027489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이 책은 관심있는 독자들에게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기념비적『녹색평론』창간사로부터 시작하여, 2020년 5-6월호에 마지막으로 발표된 고 김종철 발행인의『녹색평론』머리말 원고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서문 모음집은 2008년에도 같은 제목으로 출간된 바 있으나, 이번 개정증보판에는 2009년 이후에 발표된 원고들까지 수록되어 있어 지난 2021년 11-12월호로 창간 30주년을 맞은 『녹색평론』이 그 세월 동안 걸어온 길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이른바 ‘생태주의 잡지’로 알려져 있는 『녹색평론』이 어떠한 가치를 지향하면서 구체적으로는 어떤 이야기들을 해왔는지 그 흐름을 살펴보면서, 동시에 한국사회의 변화를 되돌아보는 데 있어서 이 책은 조금도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보다 놀라운 점은, 30년이라는 세월이 무색하게도 여기 실려 있는 글들이 오늘날 전 세계가 맞닥뜨리고 있는 시급한 현안들에 대해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여전히 깊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 세대 전에 쓰여진 글이 여전히 오늘의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는 점은 우리 현실에 본질적인 방향전환이 없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일 터이므로 몹시 유감스러운 사실임이 틀림없다. 그러나 지구와 지상의 뭇 생명들에 대한 실존적 위협이 그 어느 때보다 고양된 이 시점에도, 국가라는 하나의 공동체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가장 치열하게 논해야 할 정치판에서 생명가치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형식적으로도 등장하지 않는 대선을 앞둔 2022년 봄, 한국사회에서 이 책보다 더 긴요한 독서물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Contents
엮은이의 말
초판 서문



생명의 문화를 위하여
변화는 나 자신부터
두려운 것은 가난이 아니다
뿌린 대로 거둔다
‘지속 가능한 개발’ 논리의 허구
생명의 그물
농촌공동체의 재건이 급선무이다
선거와 풀뿌리 주권의 회복
世界는 하나의 꽃
욕망의 교육
핵과 자동차, 그리고 쓰레기
쌀 문화의 종언
희망을 위한 싸움 ― 자동차에서 자전거로
생산력이 아니라 공생의 윤리를
시골학교의 폐쇄가 뜻하는 것
삼풍백화점 붕괴를 보며
컴퓨터기술, 구원인가 저주인가
‘고르게 가난한 사회’를 향하여
어떤 寓話
살생으로 유지되는 경제
IMF 사태에 직면하여
기술의학 체제를 넘어서
물신주의와 생명공학
연대의 그물을 위해서
9·11 테러와 ‘미국식 생활방식’
월드컵 경기와 공동체
‘선진국’이란 과연 무엇인가
해방 60년, 우리는 과연 성공했는가
‘수돗물불소화’를 우려하는 발행인의 편지
‘국익’ 논리의 함정
한미FTA와 민주주의의 위기
사상누각의 꿈 ― 한미FTA가 가져올 재앙



용산 참사가 알려주는 진실
민주주의를 위하여(1)
민주주의를 위하여(2)
지식인과 자유의 실천
방사능과 상상력
좋은 사회는 어떻게 가능할까
합리적 정치를 고대하며
후쿠시마의 거짓말
국가와 민중의 삶
라틴아메리카에 주목하는 이유
탈근대적 세계를 안내하는 논리
원점에서 생각하는 민주정치
해방 70년, 비틀거리며 온 길
미국과 쿠바의 민주주의
시민의회를 생각한다
‘촛불정부’가 나아갈 길
시민주권시대를 향하여
세계가 풀어야 할 긴급한 과제
‘침략의 근대화’를 되돌아보며
안보논리를 넘어서 평화체제로
한반도의 비핵화와 녹색화
기후변화와 농(農)적 삶
농경적 감수성이 쇠퇴할 때
침로를 잃은 민주정부, 어디로 갈 것인가
‘도덕적 경제’를 새로운 삶의 원리로
기후위기 시대의 민주주의
코로나 환란, 공생의 윤리
Author
김종철
1947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진주의 남강 변에서 자라던 유년시절에 6·25 전란을 겪었다. 전쟁 이후 마산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읽고, 공군사관학교의 교관으로 군복무를 했다. 제대 후 숭전대학교, 성심여자대학, 영남대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70~80년대에는 문학평론 활동을 하다가, 1991년에 격월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작고 당시까지 에콜로지 사상과 운동의 확대를 위한 활동에 헌신했다. 한편, 2004년에는 대학의 교직을 그만두고 『녹색평론』의 편집·발간에 전념하면서,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한국 최초의 ‘녹색당’ 창립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 2004년 이후 10여 년간 ‘일리치 읽기 모임’이라는 이름으로 시민자주강좌를 개설·진행했다.

저서에 『시와 역사적 상상력』(1978),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1999), 『간디의 물레』(1999),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2008), 『땅의 옹호』(2008), 『발언 I, II』(2016), 『大地의 상상력』(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2019) 등이 있고, 더글러스 러미스의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2002), 리 호이나키의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2007) 등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1947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진주의 남강 변에서 자라던 유년시절에 6·25 전란을 겪었다. 전쟁 이후 마산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읽고, 공군사관학교의 교관으로 군복무를 했다. 제대 후 숭전대학교, 성심여자대학, 영남대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70~80년대에는 문학평론 활동을 하다가, 1991년에 격월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작고 당시까지 에콜로지 사상과 운동의 확대를 위한 활동에 헌신했다. 한편, 2004년에는 대학의 교직을 그만두고 『녹색평론』의 편집·발간에 전념하면서,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한국 최초의 ‘녹색당’ 창립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 2004년 이후 10여 년간 ‘일리치 읽기 모임’이라는 이름으로 시민자주강좌를 개설·진행했다.

저서에 『시와 역사적 상상력』(1978),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1999), 『간디의 물레』(1999),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2008), 『땅의 옹호』(2008), 『발언 I, II』(2016), 『大地의 상상력』(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2019) 등이 있고, 더글러스 러미스의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2002), 리 호이나키의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2007) 등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