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적 원리는 음양, 오행, 육기의 사유체계를 말한다.
치료기술은 한약, 침, 뜸, 추나 등을 기본으로 한다.
한의학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의학으로 한의학적 원리와 치료기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 치료 및 건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한의학적 원리는 음양, 오행, 육기의 사유체계를 말하며, 치료기술은 한약과 침, 뜸, 추나 등을 기본으로 한다. 물론 한의학(동양의학)과 양의학(서양의학)이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여 인류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한의학은 사유체계에 기초한 형이상학적 학문구조로 자연과학에 바탕을 둔 형이하학적 학문구조의 서양의학과는 그 방법과 이론을 달리한다. 《장부 경락학》은 해부나 물질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는 서양의학과는 달리 음양오행의 이론 체계를 바탕으로 장부와 경락을 중심으로 생리, 병리, 진단, 치료의 원리를 총체적으로 기술했다. 이를 통하여 저자는 그 동안 서양문명을 지배해온 자연과학의 기계적이고 국소적인 생리, 병리관에 기초한 서양의학의 한계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한의학의 전일적 생명관과 인문 의학에 바탕하여 설명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생명현상을 全一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명
제1편 총론總論
제1장 한의학의 臟腑經絡
제1절 韓醫學의 생명관
1. 인신소우주
제2절 韓醫學의 특징
1. 전일관(Holism)
2. 항동관(Homeostasis)
3. 조화관
제3절 臟腑經絡學의 내용
제4절 臟腑經絡의 인식과 발전
1. 인식
1.1. 해부지식
1.2. 생활관찰
1.3. 의료경험
1.4. 철학사상의 흡수
2. 발전
2.1. 戰國에서 西漢時代
2.2. 後漢-晋-唐宋時代
2.3. 金元時代
2.4. 明淸時代
제2장 精氣神血과 津液
제1절 精
1. 정의 작용
2. 보정과 절정
3. 정의 병증과 임상
제2절 氣
1. 기의 작용
1.1. 推動作用
1.2. 溫熱作用
1.3. 防禦作用
1.4. 固攝作用
1.5. 氣化作用
1.6. 營養作用
2. 기의 분류
2.1. 元氣
2.2. 宗氣
2.3. 營氣
2.4. 衛氣
3. 기의 운동형식(氣機)
4. 조기와 건강
5. 기의 병태
5.1. 七氣
5.2. 九氣
5.3. 中氣
5.4. 上氣 短氣 少氣 下氣
5.5. 氣痛 氣逆 氣鬱
제3절 神
1. 신의 개념
2. 형신일체
3. 정신의 소재
3.1. 心藏神과 정신
3.2. 精明之府와 정신
4. 정신의 인식론
4.1. 體用이론과 정신
4.2. 심리학에서의 정신
5. 정신의 분류, 작용 및 병태
5.1. 五神
5.2. 情志
5.3. 인지과정
제4절 血
1. 혈액의 생성
2. 혈액의 작용
3. 혈액의 순환
제5절 津液
1. 진액의 대사
2. 진액의 작용
2.1. 濡潤
2.2 혈액과 골수의 생성
2.3. 체액과 체온의 항상성 조절
3. 진액의 병태와 병증
제6절 精神氣血 및 津液의 상호관계
1. 신과 정기혈진액의 관계
2. 정과 기혈의 관계
3. 기와 혈의 관계
3.1. 氣爲血帥
3.2 血爲氣母
4. 기와 진액의 관계
5. 혈과 진액의 관계
제3장 臟腑論
제1절 臟腑論의 이해
1. 장부의 인식
1.1. 해부학적 臟器
1.2. 臟腑의 陰陽五行
1.3. 臟腑의 同氣異形
2. 장부의 생리특징
2.1. 五臟의 특징
2.2. 六腑의 특징
2.3. 奇恒之腑의 특성
3. 장부와 십이관
제2절 臟腑論의 체계
1. 장상
2. 오장의 기능계
3. 오장의 상변수
3.1. 五腑
3.2. 五官
3.3. 五體
3.4. 五華
3.5. 五液
3.6. 五神
3.7. 五志
제3절 五臟生理의 인식
1. 음양오행과 오장의 생리
2. 계절과 오장의 생리
3. 오운과 오장생리
제4절 五臟生理의 源流
1. 간의 생리와 목운
1.1. 木運의 특성
1.2. 肝의 생리와 木運의 상관성
2. 심의 생리와 화운
2.1. 火運의 특성
2.2. 心의 생리와 火運의 상관성
3. 비의 생리와 토운
3.1. 土運의 특성
3.2. 脾의 생리와 土運의 상관성
4. 폐의 생리와 금운
4.1. 金運의 특성
4.2. 肺의 생리와 金運의 상관성
5. 신의 생리와 수운
5.1. 水運의 특성
5.2. 腎의 생리와 水運의 상관성
제4장 經絡論
제1절 經絡의 개설
1. 경락의 개념
2. 경락의 인식
3. 경락의 형성과 발전
3.1. 經絡의 형성
3.2. 經絡의 발전
4. 경락의 작용
4.1. 연계작용
4.2. 조절작용
4.3. 전도작용
4.4. 반영작용
5. 경락의 운용
5.1. 病理的 운용
5.2. 診斷的 운용
5.3. 治療的 운용
제2절 經氣
1. 경기의 구성
2. 경기의 운행
2.1. 營氣의 순환
2.2. 衛氣의 운행
3. 영기 위기운행의 문제
제3절 經絡계통의 구성
1. 12경맥
1.1 命名
1.2. 순환과 交接
1.3. 분포
1.4. 表裏經과 臟腑相合
1.5. 始動病과 所生病
1.6. 標本 根結
1.7. 氣街
2. 12경별
2.1. 분포와 작용
2.2. 離入出合과 六合
3. 기경8맥
3.1. 名稱과 역할
3.2. 분포
3.3. 생리작용
4. 15락맥
4.1. 분포특징
4.2. 생리작용
4.3. 15絡穴과 치료
5. 12경근
5.1. 명칭과 분포
5.2. 經筋의 작용
5.3. 經筋의 병증
6. 12피부
제4절 經絡의 생리체계
1. 육경
1.1. 六經의 형성
1.2. 六經의 六氣와 五行배속
1.3. 六經의 표리와 氣化
1.4. 六經의 地支, 經脈배속과 氣化
2. 육경의 특성
2.1. 氣血多少
2.2. 開闔樞
2.3. 標本中氣
3. 육경의 기화
3.1. 司化經과 從化經
3.2. 六經의 六氣 幷統
3.3. 六經의 氣化 생리
3.4. 六經의 氣化 병태
제5절 六經의 分證과 《傷寒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