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약식

약식동원
$26.82
SKU
978899011624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6/06/29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88990116246
Categories 건강 취미 > 질병과 치료법
Description
이 책 ≪한의약식韓醫藥食 약식동원藥食同源≫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만화라는 형식을 빌려 약식학설의 이론적인 요점과 실천경험 및 응용상식에 대한 이치는 물론이고 옥수수, 밀, 멥쌀, 감자, 팥, 녹두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우리가 흔히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여러 음식물들의 효능과 그 사용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한의약학의 정수를 누구나 쉽게 공부하고 이를 실행활에 응용할 수 있다.

음양오행이론 덕분에 한의학과 그 약식학설은 시대를 초월하여 쇠퇴하지 않았으며 수천 년 동안 더욱 풍부해진 것 역시 그 흐름을 타고 발전해온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맥락에 따라 한의약식학韓醫藥食學과 그 양생법칙養生法則에 대하여 소개한다.

≪한의약식 약식동원≫은 한의학에서 약물이나 음식을 활용하는 기본 이론을 쉽고 충실하게 서술해 놓고 있어 일반인이 약물과 음식을 이용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실생활에 응용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밑거름으로 삼을 수 있는데 특히 한의학 관계자는 물론 건강식품업 관련 종사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Contents
추천사-근본을 추구하고 어려운 이치를 간단하게 설명
역자서문-실생활에 응용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밑거름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한의약식(韓醫藥食)의 기원(起源)
한의약식학(韓醫藥食學)의 기원(起源)

제3장 한의약식이론(韓醫藥食理論)과 역학(易學)의 관계
역학(易學)과 한약이론(韓藥理論)의 관계
사세비약(司歲備藥)과 도지약재(道地藥材)
취상비류(取象比類)와 동기상구(同氣相求)
한약(韓藥)의 성능(性能)
한약의 승(升), 강(降), 부(浮), 침(沈)
사기오미(四氣五味)의 운용
한약(韓藥)이론 중의 귀경(歸經)
역학(易學)의 손익학설(損益學說)과 음식양생(飮食養生)

제4장 오장(五臟)과 오미(五味)
오장(五臟)과 오미(五味)
오색(五色)과 오미(五味)

제5장 한약(韓藥)에 대한 기본상식
한약(韓藥)의 독성(毒性)과 품성(品性)
한약(韓藥)의 명명(命名)
한약(韓藥)의 채집과 보존
한약(韓藥)의 포제(?製)
한약(韓藥)의 조제(調劑)와 저장(貯藏)
방제(方劑) 구성의 법칙-군(君), 신(臣), 좌(佐), 사(使)
방제(方劑)의 분류-칠방(七方)과 십이제(十二劑)
대방(大方)/소방(小方)/완방(緩方)/급방(急方)/기방(奇方)/우방(偶方)/복방(複方)
처방의 제형(劑型)과 종류
탕제(湯劑)/환제(丸劑)/산제(散劑)/고제(膏劑)/단제(丹劑)/약주(藥酒)/화로(火露)
한약(韓藥)의 제량(劑量)
임상처방의 일반적인 용량
일반약물/무게가 가벼운 약물/무게가 많이 나가는 약물/독이 있는 약물/기타용량
옛날 처방의 제량(劑量)에 대한 이해
약을 쓸 때의 금기(禁忌)
약을 복용하는 동안에 지켜야할 음식
임신(姙娠) 중에 약을 쓸 때의 금기
칠정화합(七情和合)과 외(畏), 반(反)
십팔반(十八反)과 십구외(十九畏)
약을 달이는 방법
한약(韓藥)의 복용방법

제6장 보허(補虛)의 법칙
보허(補虛)란 무엇인가?
무엇을 허증(虛證)이라고 하는가?
기허(氣虛)와 기허에 자주 쓰는 약식(藥食)
혈허(血虛)와 혈허에 많이 쓰는 약식(藥食)
음허(陰虛)와 음허에 많이 쓰는 약식(藥食)
양허(陽虛)의 증상과 약식(藥食)요법
온보법(溫補法)
청보법(淸補法)
평보법(平補法)
합리적으로 보(補)하려면
보(補)하는 시기는 왜 겨울이 좋다고 할까?
동병하치(冬病夏治)란 무엇인가

제7장 계절에 따라 잘 발생하는 질병과 음식원칙
음식양생법(飮食養生法) 계절별로 잘 발생하는 질병의 음식요법
감기
감기에 걸렸을 때의 음식원칙
풍온(風溫)의 음식원칙
춘온(春溫)
서온(暑溫)
서온(暑溫)의 음식원칙
상서(傷暑)
상서(傷暑)의 음식원칙
습온(濕溫)
습온(濕溫)의 음식원칙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는 복서(伏暑)
가을에 발생하는 추조(秋燥)
추조(秋燥)의 음식원칙
먹고 자는 것이 불편한 주하병(?夏病)
주하병(?夏病)의 음식원칙
여름과 가을 사이의 서습(暑濕)
서습(暑濕)의 음식원칙
여름 감기인 모서(冒暑)
온사를 받아 생기는 서채(暑?)
서채(暑?)의 음식원칙

제8장 흔희 먹는 음식물과 보양(補養)
흔히 먹는 음식과 보양(補養)
옥수수

멥쌀
감자[馬鈴薯]
팥[赤小豆]
녹두(綠豆)
편두(扁豆)
땅콩[落花生]
대두(大豆)
마[山藥]
고구마[甘薯]
버섯[??]
돼지고기[猪肉]
쇠고기[牛肉]
양고기[羊肉]
닭고기[鷄肉]
오리고기[鴨肉]
토끼고기[兎肉]
자라[鼈肉]
잉어[鯉肉]
붕어[?肉]

제9장 적합한 음식과 피할 음식
음식의기(飮食宜忌)
맵고 자극적인 음식
찬 음식과 날 것
기름지고 소화가 안 되는 것
비린 것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음식
Author
주춘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