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 삶의 일부였고 일부이며 일부일 유교의 뿌리를 검토한다. 저자는 기존의 동양 철학이 실제 삶에서 크게 유리되어 있다고 말하며, 이런 분리를 잇기 위해 저자는 대면적 초월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곧 현실을 대면하는 동시에 초월하는 방법으로 저자는 이것을 유교적 사회화를 통해 시도한다.
저자가 유교를 묻는 방법은 ‘아르구멘트 학파’의 이론적 방향에 힘입은 것이다. 이것은 독일 현대 철학의 중요한 방법론 중 하나로, 한 사회화 방식의 모순들의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기제를 포괄적으로 물으면서 이론화하고 정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서양 철학 전통의 이원론적 환원주의적 서양 중심주의적 물음 방식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체적인 사회적 삶의 실제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인다. 때문에 저자는 이것이 사회적 사람관계들 또는 인간적 사회관계들을 집중적으로 묻는 동양의 정치적-윤리적 철학 전통이나 현대의 사회화 질서를 묻는 일에 많은 시사점을 얻고 배울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Contents
머리말
일러두기
제Ⅰ부 읽은 것 읽기
제1장 선진유교에 있어서의 예 사회화
1. 들어가는 말
2. 새로운 분석의 기초 카테고리들
3. 예 주체의 구성
1) 근본으로서의 자아
2) 내부의 싸움과 예 주체 구성
4. 치자와 피치자 관계의 조절 및 관리
1) 각자 제자리에 머무는 의지와 능력 길러주기
2) 유교적 ‘헤게모니 조직’
3) ‘내분리’의 ‘외분리’화 혹은 ‘외분리’의 ‘내분리’화
5. 나오는 말
제2장 유교적 의례 관계와 이데올로기적 윤리주체 구성
1. 들어가는 말
2. 유교 사회화의 개념적 기초
3. 배움
1) ‘사람되기’로서의 배움
2) 배움과 사회적 크기
4. 가족 그리고 국가
1) 작은 국가, 큰 가족?
2) 이데올로기적 권력들
5. 나오는 말
제Ⅱ부 읽는 것 읽기
제3장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유학’ 읽기 비판
1. 들어가는 말
2. 다카하시의 조선 유학 (무)비판
1) 대동소이-‘너무 작은’ 비판
2) 식민사관-‘너무 큰’ 비판
3. 성리학적 방법을 비판함
1) 선진유학-‘예’ 속에서 ‘함께 살기’
2) 천리-‘위’에서 ‘못 내려옴’
3) 인욕-‘안’에서 ‘못 나옴’
4) 간과-위에 ‘떠-있음’과 안에 ‘갇혀-있음’ 속에서 못 보고 지나침
4. 다카하시와 지금?여기의 동양 철학하기(‘동양 철학2’)
1) 다카하시의 방법-함께 ‘못 나옴’ 그리고 함께 ‘못 내려옴’
2) ‘동양 철학2’의 방법
-함께 ‘함께 못 나옴’ 그리고 함께 ‘함께 못 내려옴’
5. 나오는 말-‘비현실적 현실성’ 혹은 ‘현실적 비현실성’
제4장 권력 속의 철학, 철학 속의 권력-박종홍의 “우리철학”, 유교의 “현실”-적 재구성?
1. 들어가는 말
2. 동양 철학과 서양 철학 사이
1) 박종홍이 읽는 유교
2) (유교) 전통에 서양 철학 통합
3. 철학과 현실 사이
1) 강조되는 현실
2) 빗나가는 현실
3) 성공하는 현실
4. 미완의 우리철학으로서의 무실철학
5. 나오는 말
제Ⅲ부 일상예문화 읽기
제5장 권력 속의 예 혹은 예 속의 권력-일상예문화와 겉치레적 인간관계
1. 들어가는 말
2. 예와 겉치레의 미학
3. 인사치레
1) 음성언어와 몸짓언어
2) 예물과 뇌물 사이-촌지
3) ‘눈뜨기’ 그리고 ‘눈감기’-뇌물
4. 보이기인가, 감추기인가?
1) 체면과 눈치
2) ‘크게’ 보여 ‘크기’
3) 나들이-사이버 공간의 익명성
5. 나오는 말
제6장 예, 과시, 무시-일상예문화 속의 권력전략?
1. 들어가는 말
2. 예 사회화
3. 일상예문화
1) 과시, 무시
2) 예와 과시, 무시
3) 보이기, 감추기
4. ‘사람크기’ 그리고 ‘물질크기’
1) ‘외적 크기’와 ‘내적 크기’
2) 올리기와 내리기의 권력전략
5. 나오는 말
제Ⅳ부 요약 · 종합 및 나아갈 방향
제7장 ‘예 철학하기’의 방법에 대한 한 애벌그림 그리기-우리철학하기를 위한 하나의 시론
1. 들어가는 말
2. 왜 ‘예 철학하기’인가?
1) 이 땅의 철학 현실과 현실 철학
2) 기존의 예 담론
3) 물음-틀 바꾸기
(1) 예 개념의 학문화
(2) 우리말 살려 쓰기
3. ‘예 철학하기’의 방법
1) ‘이중 분리’ 속의 철학 현실
2) ‘삼중 분리’ 속의 삶 현실
(1) ‘예 사회화’와 ‘예문화’
(2) 이때·이곳의 ‘삼중 분리’의 삶 현실 묻기
3) 분리와 결합의 변증법
(1) ‘사람크기’의 나눔/나뉨 질서
(2) ‘사람-되기’와 ‘작은 세상’에의 자발적 복종
(3) 보이기/감추기, 올리기/내리기의 권력관계
(4) ‘나누는 합하기’ 혹은 ‘합하는 나누기’ 질서의 (재)생산 기제
(5) ‘하나 중심주의’에서 ‘모두 중심주의’로
4.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