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과 열린 사유

$27.00
SKU
978898972175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02/29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8972175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주자학의 도입 이후 조선의 사상사는 유학-주자학의 한국화 과정이다다. 16세기는 그 꽃이 만개하는 시기로 이황과 이이로 대표되는 학자 군이 등장하여 명실 공히 조선유학의 정체성을 찾아가게 되었다. 조선 유학의 발전에서 특기할 점은 활발한 논쟁을 통해 자기 사상에 대한 이론과 그에 대한 신념을 확고히 하였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파를 구성함으로서 집단적인 연구와 논의가 진행되었다. 이 과장에서 조선의 주자학은 心을 강조하며 주체의 능동성을 각인시키는 방면으로 독자적 성격을 구축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다양한 논쟁과 이론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이론 논쟁에 그치지 않고 당대의 역사와 사회에 조응하는 측면에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유학의 지향인 적극적인 현실 대처를 명실상부하게 구현하려는 운동의 과정이 바로 조선유학사인 셈이다. 특히 18세기 이후의 사상사는 급변하는 사회정치적 동향과 맥을 함께 하며 활발한 이론의 목소리를 통해 그 사상의 역동성을 대변한다. 이 책은 18세기 이후 우리 사회의 여러 방면에서 돌출되었던 사상의 흐름을 들어냄으로써 당대 우리 사상의 역동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한편 거기에 우리 문화의 DNA가 녹아있음을 확인하고자 한 공동 작업의 결과물이다.
Contents
머리말: 개별과 전체를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역동적 관점

1장 양명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의 열린 사유 ㆍ 송하경
1.포스트모더니즘적 열린 사유
2.양명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의 출발
3.주자학의 해체와 個別良知의 세계
4.양명학의 다양성 수용과 이성의 능동적 성향
5.결론

2장 관학파 유학자로서의 茶山 ㆍ 김홍경
1.들어가는 말
2.이윤에 뜻을 둔다
3.이론 배경
4.무엇이 시의인가

3장 학술논쟁을 통해 본 한국유학의 역동성-湖洛논쟁의 쟁점과 그 의의 ㆍ 안은수
1.한국문화와 조선 유학의 역동성
2.이간의 未發心體論
3.이간의 오상론-인간과 동물의 본성은 같다
4.학술논쟁의 의의-당대의 현실인식과 조선 유학의 독자성 확보

4장 한국에서의 왕양명 생명철학의 주체적 전개 ㆍ 김세정
1.들어가는 말
2.왕양명의 생명철학
3.최명길의 실질과 생명 중시 사상
4.정제두와 강화학파의 주체성과 생명 존중 사상
5.한말 전환기 한국양명학의 생명사상
6.나오는 말

5장 하곡 정제두의 體用論 분석-?良知體用圖?를 중심으로 ㆍ 김용재
1.논제의 출발
2.체용 범주의 기초적 이해
3.양지체용도의 구조
4.양지체용 일원론의 논리와 특징
5.맺음말

6장 19세기 시대상황과 조응한 유학자, 이진상 ㆍ 박상리
1.19세기 유학자들의 시대인식
2.한주 이진상의 생애와 학문
3.리기설
4.심즉리설
5.한주학파의 성격

7장 조선 孝悌文字圖의 실천윤리 ㆍ 이경남
1.서론
2.효제문자도의 형성
3.효제문자도의 실천적 덕목
4.효제문자도의 효용
5.결론

8장 域과 아이콘의 패러다임 전환-김홍도 회화세계의 미학적 의의 ㆍ 임태승
1.其人其畵
2.역의 패러다임 전환
3.아이콘의 패러다임 전환
4.結: 의미있는 형식

9장 중국 현대 신유가의 도덕주의 문화관과 한국 유학의 시의성 ㆍ 송종서
1.들어가는 말
2.중국의 본체, 서양의 과학
3.이루지 못한 外王의 꿈
4.또 하나의 중체서용론
5.‘의리’의 경학관
6.‘깨달음’의 도통관
7.비판자들
8.맺음말
Author
송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