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특히 유의하고자 하는 것은 16세기 성리학파가 한갓 주관적 관념론에 흘렀는가 아니면 그들이 역사의식을 구비하였으며 그들의 사상이 역사적 현실과 깊은 관련을 갖는 것이었는가 하는 점과, 그들이 현실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구비하고 구체적으로 사회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었는가 하는 점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16세기에는 한국 성리학 전성기라 할 수 있는 만큼 학문적으로 수준 높은 학자들이 나왔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본제와 가장 관련이 깊으며, 또한 그 주축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는 정암 조광조, 퇴계 이황, 율곡 이이, 그리고 중봉 조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은 포운 정몽주 이래 의리학파의 계통으로서 도학사상의 주류를 형성하였던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이끄는 글
서론
Ⅰ. 유학의 역사철학적 성격과 성리학파의 역사인식
1. 역사창조의 주체로서의 인간
2. 時中之道와 현실참여의 논리
3. 역사의 향방과 춘추정신
4. 성리학파의 역사인식
Ⅱ. 한국 성리학파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기능
1. 주자학 수용 이전의 유학
2. 주자학의 수용과 배불사상
3. 여말 성리학파의 역사의식과 사회개혁사상
4. 16세기 한국의 역사적 상황과 시대성격
본론
Ⅰ. 조정암의 도학사상과 至治主義運動
1. 중종반정과 정통유학의 사회적 복귀
2. 정암의 도학사상과 역사관
3. 정암의 지치주의 이념과 그 사회적 구현
Ⅱ. 이퇴계의 인도주의 사상과 사회적 영향
1. 을사사화와 퇴계의 垂敎的 定向
2. 인의 주체적 함양과 敬思想
3. 「戊辰六條疏」와 「聖學十圖」 製進의 의의
4. 理尊的 二元論의 사회사상사적 의의
Ⅲ. 이율곡의 경세론과 역사철학
1. 16세기 후반에 있어서 율곡의 현실파악과 更張論
2. 율곡 존재론의 기본성격과 그 역사철학적 의의
3. 율곡의 역사비판과 정치이념
4. 율곡사상의 근대적 성격
Ⅳ. 趙重峯의 역사의식과 국난대책
1. 중봉의 학문성격과 踐履之學
2. 중봉의 공동체의식과 사회사상
3. 임란직전의 국내외정황과 중봉의 선견지명
4. 춘추정신과 국제관계의 역사적 반성
5. 자주정신의 고취와 국난대책
6. 중봉의 순절과 의리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