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경학의 현대적 이해

$27.00
SKU
978898972125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4/04/1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8972125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성리학적 본말론은 본이 서면 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이상적인 세계꽌에 의존하고 있다. 다산은 인간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세계가 단순한 이론과 실제의 상관성을 벗어나 있으며 본말의 관계가 부단히 역사적이며 유기적 관계에 있음을 보았다. 다신이 성호의 학을 이어 경세치용을 강조한 것은 급변하는 현실을 중시하고 경학을 통해 현실을 새롭게 읽어 보려는 실질적인 학문 태도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에 머물지 않고 다산은 연암의 이용후생 정신을 수용하여 실용적 학문관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학문관이 점차 청대의 고증학과 서양으로부터 전래된 실증적인 과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 점에서 다산경학은 유교 사회에 새로운 가치관과 세계관을 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산경학을 오늘 다시금 읽는 까닭은 이론과 실제의 상관관계를 일찍이 자각한 다산의 학문관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Contents
다산경학의 특성과 연구현황 ? - 張勝求

1. 왜 다산경학을 연구하는가
2. 다산경학 성립의 배경과 과정
3. 다산경학의 특성
4. 다산경학 연구의 현황
5. 오늘날 다산경학을 연구하는 의의

茶山의 「詩序」觀 - 金基喆
1. 緖論
2. 本論
3. 結論

丁若鏞의 『尙書』 「大禹謨」 16字에 대한 經學論辨
- 18~19세기 韓·中 학자들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 張炳漢
1. 서론
2. 다산과 淸代 학자들과의 논변
3. 다산이 交遊한 國內 학자들과의 논변
4. 결론

『儀禮』 「喪服」편에 대한 茶山의 독해 - 張東宇
1. 緖論
2. 茶山 「喪服」 解釋의 特性
3. 茶山 「喪服」 解釋의 宗法的 土臺
4. 結論

『樂書孤存』에서 茶山 樂論의 思想的 基礎 - 權泰旭
1. 머리말: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茶山 樂論의 思想的 基礎
3. 맺음말

茶山 丁若鏞의 『周易』觀
- ‘易理四法’과 ‘蓍卦法’의 關係를 중심으로 - 徐根植
1. 머리말
2. ‘推移’와 ‘蓍卦法’의 關係
3. ‘爻變’과 ‘蓍卦法’의 關係
4. 맺음말

『春秋考徵』의 경학과 주자학적 경학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李裕鎭
1. 緖論
2. 춘추를 논거로 하는 왕조례 논의와 독자적 사회공학의 제기로서의 『춘추고징』
3. 주자학적 경학과의 연속성
4. 주자학적 경학과의 불연속성
5. 結論

丁茶山의 『論語』說 - 金暎鎬
1. 序論
2. 茶山의 『論語』 解釋
3. 茶山 『論語』說의 思想史的 意義
4. 結論

茶山의 『孟子』 읽기 - 安英淑
1. 茶山과 經學 그리고 『孟子』
2. 『孟子』와 『孟子要義』
3. 孟子와 『孟子』에 관한 진실
4. 井田制의 실상
5. 性은 嗜好이다
6. 해석하기 어려운 『孟子』
7. 『孟子』 읽기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茶山 『中庸』 註釋의 人間學的 理解 - 李香晩
1. 緖論
2. 妙合의 존재
3. 靈明한 존재
4. 수행[戒愼恐懼]하는 존재
5. 超越的 인식[徵驗]의 존재
6. 事天(昭事)하는 존재
7. 結論

茶山 丁若鏞의 大學 이해와 修己治人의 道 - 池俊鎬
1. 서론
2. 『大學公議』와 『熙政堂大學講錄』
3. 儒家經典에 관한 다산의 이해
4. 대학에 관한 다산의 이해와 특징
5. 결론

부록

茶山 丁若鏞의 學問觀 - 「五學論」을 中心으로 - 金仁圭
1. 머리말
2. 五學에 대한 비판
3. 학문관의 특징
4. 맺음말

찾아보기
집필진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