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적 본말론은 본이 서면 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이상적인 세계꽌에 의존하고 있다. 다산은 인간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세계가 단순한 이론과 실제의 상관성을 벗어나 있으며 본말의 관계가 부단히 역사적이며 유기적 관계에 있음을 보았다. 다신이 성호의 학을 이어 경세치용을 강조한 것은 급변하는 현실을 중시하고 경학을 통해 현실을 새롭게 읽어 보려는 실질적인 학문 태도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에 머물지 않고 다산은 연암의 이용후생 정신을 수용하여 실용적 학문관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학문관이 점차 청대의 고증학과 서양으로부터 전래된 실증적인 과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 점에서 다산경학은 유교 사회에 새로운 가치관과 세계관을 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산경학을 오늘 다시금 읽는 까닭은 이론과 실제의 상관관계를 일찍이 자각한 다산의 학문관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Contents
다산경학의 특성과 연구현황 ? - 張勝求
1. 왜 다산경학을 연구하는가
2. 다산경학 성립의 배경과 과정
3. 다산경학의 특성
4. 다산경학 연구의 현황
5. 오늘날 다산경학을 연구하는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