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사에서 뛰어난 삶을 영위하여 본보기로 삼을 만한 철학자들이 적지 않지만 저자는 역사적 · 사상적 전환기인 고려 말, 심중한 현실변화에 주목할 만한 대응을 보인 두 사상가의 철학사상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바로 당시 보수파와 혁명파의 대표 인물이라 할 수 있는 포은 정몽주와 삼봉 정도전이 그들이다. 두 사상가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상가의 전개 양상을 폭넓게 이해하는 디딤돌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바람직한 선택과 집중 양상을 탐구하는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저자는 포은과 삼봉의 철학사상을 탐구하여 시대 상황에 대한 그들의 동원이류적 대응 방안에 주목하고자 하며, 두 사상가의 삶의 방식이 어떻게 전개되어 나갔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Contents
서론
1. 포은과 삼봉의 사상사적 위상
2. 구성과 접근 방법
제1장 유가의 역사 인식 원리와 고려 말의 시대 상황
1. 역사 인식의 이중적 전개와 철학적 반성
2. 고려 말의 시대 성격과 성리학의 수용
3. 보수, 혁신파의 성립과 성리학파의 양대 조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