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치의 문예이론

독일 고전주의와 토마스 만 문학과 관련하여
$21.60
SKU
97889890070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Wed 05/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Wed 04/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19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89007050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예술의 총체성을 꿈꾼 철학자, 루카치를 다시 읽다
브레히트와 아도르노, 토마스 만까지
문학과 철학을 가로지르는 사유의 여정


『루카치의 문예이론』은 루카치의 문학과 미학 이론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서로, 그의 이론이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해왔는지를 추적하며, 예술과 문화, 정치의 관계를 탐구하는 책이다. 저자 반성완은 루카치의 이론을 시대 순으로 분석하고, 그가 마르크시즘을 받아들이면서도 독일 고전주의 미학에 대한 애정을 유지했다는 점을 조명한다. 특히 루카치와 브레히트, 아도르노, 토마스 만 사이의 논쟁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총체성을 향한 루카치의 사상을 탐구하고, 각 사상가들이 예술을 어떻게 사회 변화의 도구로 이해했는지를 비교한다. 이 책은 루카치의 문예이론을 이해하고, 독일 정신사의 주요 사상가들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서론 18세기 독일 시민사회와 독일 시민문학_ 독일 고전주의 예술개념의 탄생


1. 18세기 독일 시민사회의 특수성
2. 18세기 독일 시민문학 형성의 전제조건
3. 18세기 독일 시민문학의 형성과정
4. 독일 고전주의 예술이념

1장 청년 루카치의 비평활동과 그의 개념체계의 생성 과정


1. 세기말의 정신적 흐름과 독일 시민지식인의 사회적 상황
2. 『영혼과 형식』에 나타난 독일적 유미주의와 루카치의 낭만주의 개념
3. 『소설의 이론』에 나타난 독일 고전주의 해석과 총체성 개념의 등장

2장 『역사와 계급의식』에 나타난 마르크시즘 해석


1. 부다페스트 학파의 지식인들: 루카치, 만하임, 하우저
2. 루카치의 정치적 실천과 헤겔적 마르크시즘 수용

3장 루카치 문학사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독일 고전주의 문학관
2. 현대 독일 문학사관
3. 독일 고전주의의 신화

4장 루카치 『미학』의 기본 사상

5장 독일 시민문학의 가능성과 한계_ 루카치와 브레히트의 리얼리즘 논쟁

6장 루카치 미학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_ 두 이론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7장 독일 고전주의 이념의 현대적 의미_ 토마스 만과 루카치의 관계

1. 독일 고전주의 미학이념에 의한 방향 정립
2. 『마의 산』에 나타난 토마스 만의 루카치상
3. 독일 고전주의에 대한 토마스 만과 루카치의 상이한 관점_독일 시민문화와 유대주의의 상관관계
4. 이론과 실제_ 루카치의 정치관

편집자의 글: 루카치를 연구해오신 선생님께
학위논문 심사평
루카치 연보
문헌목록
찾아보기
Author
반성완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와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루카치 미학』 『변증법적 미학에 이르는 길』 『독일문학비평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영혼과 형식』 『군중과 권력』 『말의 양심』 『새로 쓴 독일 역사』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열린 미술관』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와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루카치 미학』 『변증법적 미학에 이르는 길』 『독일문학비평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영혼과 형식』 『군중과 권력』 『말의 양심』 『새로 쓴 독일 역사』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열린 미술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