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직윤리』는 30년 넘게 대학 강단에서 행정학을 강의해 온 필자가, 옳고 바른 정책과 좋은 행정을 위해서는 모든 행정적 의사결정의 주체인 공직자들의 윤리와 가치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출간했다. 그간 공직 윤리는 좋은 행정과 서비스, 옳바른 정책을 좌우하는 행정의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행정윤리와 철학에는 등한시 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민국의 공직자들의 부패행위를 보며 부끄러움을 느끼고, 제도와 절차, 과정과 기법 등의 기술적인 방법의 도입과 설명에만 가치를 두고 강의와 연구해 온 것에 대한 반성으로 '공(公)'이라는 념과 그 윤리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였다.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칼럼 형식을 빌어, 공직윤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독립된 글을 옴니버스 식으로 엮었기 때문에 독자는 관심 있는 부분부터 찾아 읽을 수 있다. 다양한 동서양의 역사서적과 위인들의 행적, 사상이 토대가 되어 사례를 토대로 공직윤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책을 펴면서
제1부 공직윤리의 기본적 이해
도덕과 윤리
공직윤리의 교육
공직 생명론
공직자의 마음가짐
대통령놀이 기인비목(其人備目)
수기치인의 공직윤리
존재욕구와 삶의 질
공잭윤리와 관료부패
명분과 실리(1) 척화론과 주화론
명분과 실리(2) 선조의 포로정책
제2부 공직윤리의 철학적 기초
공인(公人)의 도(道)
공(公)과 사(私)
바른 마음 바른 길
미복(微服)정신과 전시행정
청백리 반석평
법제처장 다산 정약용
서양사상과 공직윤리
유학사상과 공직윤리
실학사상과 공직윤리
제3부 공정과 청렴
공정과 청렴
어느 청백리의 주택거래
권력부패 X-파일
청백리제도와 관료부패
지도자론
뇌물론
청심론
부자론
한국 청백리의 행정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