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의 경제학』은 박종철출판사에서 발간하는 [기본소득 총서]의 네 번째 책이다. 그동안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철학적, 윤리적, 정치적 정당성과 관련된 것이었다면, 이 책은 경제학자의 눈으로 기본소득이 필요하고 가능함을 주장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기본소득의 경제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역설들을 다루고 있다. “일부에게 주나 모두에게 주나 마찬가지다.” “부자까지 주면 부자들이 더 많이 부담한다.” “가난한 사람에게 몰아줄수록 가난한 사람이 적게 받는다.” “적게 걷는 것보다 많이 걷는 것이 쉬울 수 있다.” “일하라고 안 해도 더 많이 일한다.” “많이 나눌수록 나눌 것이 많아진다.”
제2부에서는 기본소득의 경제적 효과 두 가지를 살펴본다. 하나는 일자리에 미치는 효과이고, 다른 하나는 임금에 미치는 효과이다. 기본소득을 지급하면 일을 하지 않으려 한다는 편견을 나미비아, 인도 등에서 진행된 기본소득 실험의 결과로 반박하고, 기본소득으로 인해 임금을 낮아질 수 있다는 편견을 이론적으로 반박한다.
제3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의 관계를 검토한다. 인공지능, 불안정노동 등으로 설명되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기본소득이 더 필요해졌음을 설명하고, 4차 산업혁명을 가능케 한 빅 데이터 등이 공동의 부이므로 그로 인한 수입을 공정히 분배해야 한다며 기본소득의 정당성을 설명한다. 제4부에서는 한국에서 가능한 기본소득 모델을 제시한다. 모든 국민에게 매달 30만 원을 지급하는 기본소득 제도를 실시할 경우의 재원 마련 방안을 제시하고, 그때 순수혜 가구가 어느 정도이며, 그렇다면 정치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본다.
Contents
· 서문
· 제1부 기본소득의 역설들
· 제1장 일부에게 주나 모두에게 주나 마찬가지다
· 제2장 부자까지 주면 부자들이 더 많이 부담한다
· 제3장 가난한 사람에게 몰아줄수록 가난한 사람이 적게 받는다
· 제4장 적게 걷는 것보다 많이 걷는 것이 쉬울 수 있다
· 제5장 일하라고 안 해도 더 많이 일한다
· 제6장 많이 나눌수록 나눌 것이 많아진다
· 제2부 기본소득의 경제적 효과
· 제7장 기본소득과 일자리: 실험의 결과
· 제8장 기본소득과 임금: 이론적 접근
1975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여 1990년 같은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 미시경제학과 가치이론 등을 전공하였다. 민교협 사무총장과 교수노조 위임장을 역임하면서 대학 개혁을 위해 노력하였다. 2009년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창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면서 기본소득이 지급되는 세상이 오기를 바라고 있으며 경기도 교육청 무상급식과 성남시 청년배당을 자문하였다. 현재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이사장 및 경기도기본소득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아서 일하고 있으며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기본소득의 경제학(2019)
정보혁명의 정치경제학(2002)
공저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2019)
헨리 조지와 지대개혁(2018)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2014)
경제학자 교육혁신을 말하다(2012)
더불어 행복한 민주공화국(2012)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수직 통합의 경제학(2010)
한국경제와 마르크스경제학의 도전(2009)
정치경제학과 한국경제(2008)
정보재 가치논쟁(2007)
1975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여 1990년 같은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 미시경제학과 가치이론 등을 전공하였다. 민교협 사무총장과 교수노조 위임장을 역임하면서 대학 개혁을 위해 노력하였다. 2009년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창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면서 기본소득이 지급되는 세상이 오기를 바라고 있으며 경기도 교육청 무상급식과 성남시 청년배당을 자문하였다. 현재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이사장 및 경기도기본소득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아서 일하고 있으며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기본소득의 경제학(2019)
정보혁명의 정치경제학(2002)
공저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2019)
헨리 조지와 지대개혁(2018)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2014)
경제학자 교육혁신을 말하다(2012)
더불어 행복한 민주공화국(2012)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수직 통합의 경제학(2010)
한국경제와 마르크스경제학의 도전(2009)
정치경제학과 한국경제(2008)
정보재 가치논쟁(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