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에서는 영화 역사의 출발과 함께 색에 대한 욕망을 표현해 왔다. 영화산업은 이제 디지털 시네마로 급격히 변화할 것이다. 미학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색은 더욱 중요한 영역이 될 것이다.
그렇게 중요함에도 국내의 미술계나 영화계, 과학계의 색채 연구 결과는 모두 초라하다. 이 책은 최초의 본격 영화색채 연구서이다. <비트>,<노랑머리> 등 몇 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색채가 여타의 영화장치들과 동등하고 자율적인 요소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Contents
1. 영화색채의 전제
영화, 색채, 문화
영화색채는 자연스러운 어떤 것인가?
2. 영화색채 테크놀로지
색채의 특성과 초기의 색채사진
영화색채 프로세스
헤게모니로서의 테크니컬러
테크니컬러의 초기 프로세스
3색 감법 시스템
테크니컬러와 이스트만 코닥
전후의 색채 테크놀로지
3. 영화색채의 지배 경향
영화색채 테크놀로지의 논의 유형
영화색채의 리얼리즘과 스펙터클
영화색채의 고전적 양식
완전함의 꿈
스펙터클한 몸 만들기
4. 영화색채의 대안 양식
영화색채와 장르, 과잉
영화색채의 분절화
영화색채의 전복성
장-뤽 고다르 영화의 색채,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 것들>
혼돈과 탈중심의 색채, 키에슬롭스키의 <세 가지 색:블루>
기억을 지우는 색채, 주체의 혼돈
아버지의 법을 넘어서는 쾌락, 파랑
5. 한국영화색채와 문화정치
영화색채의 문화정치적 의미
스타일의 정치성
색채와 스타일
저항과 소비로서의 색채
의미의 다수성을 향한 색채
저항 혹은 즐거움의 쾌락, <노랑머리>의 노랑
혼돈 속 전시된 이미지, <비트>의 파랑
디지털 영화의 색채
테크노피아의 신화, 디지털
디지털 색채, 공간 이미지
대안 이미지, 에코디지톨로지
6. 영화색채의 문화실천
문화실천의 장, 현장 인터뷰
현장 인터뷰의 의의 및 방법
인터뷰 대상과 범위
인터뷰 내용 및 질의 항목
색채 스타일과 정체성
색채 선호의 의미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색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