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정계비의 위치 논쟁에서부터 한중간의 국경선, 한중일간의 간도문제에 이르기까지 국경사의 문제들을 풍부한 자료와 현지 조사를 통해 해명한다!
이 책은 재외동포 연구자인 중국사회과학원의 이화자 교수가 한중일 간의 복잡한 문제인 백두산을 경계로 하는 국경선 및 간도문제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저자 이화자 교수는 2003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조청 국경문제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중 양국에서 6종의 저서를 출판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조선?청 간의 종번(宗藩)관계 하의 변경민의 월경(越境) 교섭, 1712년 백두산정계, 1885?1887년 조청간의 감계(勘界) 담판 및 1905~1907년 중일간의 ‘간도 문제’를 둘러싼 교섭 등이다. 이번에 새로 간행한 『백두산정계와 간도문제 연구』는 이들 연구의 연장선에서 나온 성과이다. 이 책은 총 세 편으로 나뉘어졌으며, 13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제1편은 고지도?지리지 연구, 제2편은 백두산정계 연구, 제3편은 간도문제 연구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편 고지도ㆍ지리지 연구
성경 상봉각의 ‘만문장백산도’에 대한 고증: 강희 『황여전람도』와의 관계
머리말
1. 나이토 고난과 ‘만문장백산도’
2. 목극등의 제1차 답사 노선
3. 목극등의 제2차 답사 노선
4. 해란강ㆍ가야하ㆍ부르하퉁하의 답사 노선
5. ‘만문장백산도’의 특징과 지명 분석
6. 맺는말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천하제국도』와 규장각 소장 『여지도』의 비교 연구
머리말
1. 『천하제국도』와 『여지도』의 비교 및 제작 시기
2. 『천하제국도』와 『여지도』 속의 『목극등정계도』
3. 『목극등정계도』와 청나라 화원이 그린 ‘백산도’와의 관계
4. ‘이비설’에 대한 분석
5. 맺는말
조선왕조의 『서북계도(西北界圖)』: 청나라 지도?지리지와의 관계
머리말
1. 『서북계도』의 중국도의 모본(母本)
2. 제기(題記)의 내용
3. 지도의 제작연대
4. 『서북계도』의 정계비 위치와 국경인식
5. 맺는말
조선시대 지리 명칭으로서의 장백산과 백두산
머리말
1. 조선 초기 장백산과 백두산의 지칭
2. 조선후기 경성장백산과 백두산에 대한 명확한 구분
3. 목극등 정계 시 조선에 속하지 않던 백두산이동ㆍ이남의 지리범위
4. 맺는말
제2편 백두산정계 연구
목극등이 정한 압록강 동원ㆍ서원과 후세 분수령에 대한 논쟁
머리말
1. 목극등이 찾아낸 압록강 동원과 서원
2. 후세 분수령에 대한 논쟁과 압록강 수원
3. 백두산 지역에 대한 북한ㆍ중국의 국경 획정 방안
4. 1958~1962년 천지를 둘러싼 국경담판 및 그 결과
5. 맺는말
정계비의 위치가 소백산이 아님을 논한다: 마맹룡(馬孟龍) 논문에 대한 토론
머리말
1. 『황여전람도』를 참고하여 소백산을 경계로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한 의문점
2. 목극등이 소백산에 주둔했는지 여부
3. 홍치중의 노정에 대한 분석
4. 1767년 비석이 소백산에 있었다는 주장에 대한 의문
5. 맺는말
목극등이 정한 압록강ㆍ두만강 분수령의 지리형세: 소백산설과 토론한다
머리말
1. ‘만문장백산도’를 통해 본 압ㆍ두 양강 분수령
2. 분수령 동쪽에서 송화강 물줄기를 배제할 수 없는 이유
3. ‘대홍단수상류’의 지칭 및 홍단수와 마주한 분수령
4. 맺는말
김지남의 『북정록』과 백두산정계
머리말
1. 역관 김지남과 『북정록』
2. 차사관ㆍ군관의 치보(馳報) 내용에 대한 분석
3. 목극등과 박권 사이 두만강 수원을 둘러싼 논쟁
4. 중국측이 지도를 제작하는 의도를 숨긴 이유
5. 맺는말
청과 조선의 국경 및 국경의식: 종번관계의 구축에서 붕괴까지
머리말
1. 청과 조선의 종번관계 성립 및 국경의식
2. 종번관계 하의 백두산정계
3. 종번관계 하의 국경분쟁 및 처리방식
4. 종번관계의 붕괴와 대한제국의 간도정책
5. 맺는말
제3편 간도문제 연구
일본의 간도 지리 개념을 이용한 확장 시도: 사이토 스에지로의 『간도시찰보고서』를 중심으로
머리말
1. 『간도시찰보고서』의 작성 배경
2. 간도의 지리범위와 ‘고간도(古間島)’
3. 일본측이 간도 범위를 설정한 의도와 책략
4. 맺는말
간도 중립지대론에 대한 비판: 시노다 지사쿠의 『백두산정계비』의 내용 체계
머리말
1. 시노다 지사쿠와 간도문제
2. 간도 ‘중립지대론’
3. 1712년 백두산정계의 불성립에 관한 주장
4. 1887년 공동감계 결과의 불성립에 관한 주장
5. 맺는말
‘간도협약’ 부도(附圖)에 대한 고증
머리말
1. ‘도문강북잡거구역도’의 지리범위와 외형특징
2. ‘도문강북잡거구역도’의 지명 분석
3. ‘도문강북잡거구역도’에 관한 중일 교섭과 담판
4. 맺는말
한변외(韓邊外) 및 ‘간도문제’와의 관계에 대하여
머리말
1. 한변외의 자치 관할과 지리범위
2. 일본 신문매체의 한변외ㆍ간도에 대한 혼동 및 중국측 인사들의 반격
3. 일본정부의 간도 확장정책과 한변외
4. 맺는말
Author
이화자
北京大學 역사학과 졸업(1990)
延邊大學 역사학과 교수(1992)
延邊大學 역사학과 석사(1996)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대학원 박사(2003)
현재 中國社會科學院 역사연구소 연구원
주요 논저
『淸朝與朝鮮關係史硏究-以越境交涉爲中心』, 延邊大學出版社, 2006년(중국어판)
『明??期中朝?界史?究』,知???出版社,2011년(중국어판)
『조청국경문제연구』, 집문당, 2008
『한중국경사 연구』, 혜안, 2011년(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北京大學 역사학과 졸업(1990)
延邊大學 역사학과 교수(1992)
延邊大學 역사학과 석사(1996)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대학원 박사(2003)
현재 中國社會科學院 역사연구소 연구원
주요 논저
『淸朝與朝鮮關係史硏究-以越境交涉爲中心』, 延邊大學出版社, 2006년(중국어판)
『明??期中朝?界史?究』,知???出版社,2011년(중국어판)
『조청국경문제연구』, 집문당, 2008
『한중국경사 연구』, 혜안, 2011년(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