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 舍利

$23.00
SKU
97889849468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28
Pages/Weight/Size 153*224*14mm
ISBN 9788984946866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역사로 본 사리 신앙과 사리를 마주한 사람들의 희로애락이 묻어나는 새로운 형태의 역사 이야기!

사리(舍利)는 사람이 죽은 다음에야 나온다. 하지만 그 사리로 인해 다시 새로운 믿음이 일어난다는 데 바로 사리 신앙의 묘리(妙理)가 있다. 생과 멸이 하나로 이어지는 원리가 바로 사리에 담겨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 사리란 무엇일까? 석가모니가 입적하고 남긴 신골(身骨)인 사리는 제자와 신도에게는 살아 있는 석가모니와 다름없었다. 이 사리는 처음엔 8개의 탑 안에 두어져 몇 백 년을 모셔져 있다가, 인도 아소카왕이 이를 꺼내어 84,000개로 나눈 다음 인도를 비롯해 동아시아 전역으로 보냈다. 세상에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전하기 위해서다. 이후 사리는 사람들의 신앙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영험을 보여주거나, 사리를 애써 친견한 이를 격려해 주듯이 기적을 일으켜주기도 했다. 이런 이야기는 불교 경전은 물론이고 역사서에도 많이 나온다. 오늘날 사리 영험담(靈驗談)은 신앙의 영역일 수 있지만, 한편으론 오랜 시간의 흐름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온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도 하다.
Contents
서문 역사로 바라본 사리신앙

1장 | 사리에 대하여

사리란 무엇일까, 사리의 의미와 사리 신앙의 다양한 모습들
불사리의 종류:진신 사리와 법신 사리
사리 신앙으로 나타난 탑돌이

2장 | 탑과 사리 신앙

탑을 세우는 공덕과 불정골 이야기
법신 사리로 봉안된 다라니경과 보협인경
사리 신앙에 영향 받은 불상?불화의 사리 봉안
사리 신앙의 역사가 담긴 사리봉안기

3장 | 우리나라 사리 신앙의 역사

삼국시대 사리 신앙
고구려 사리 신앙의 흔적이 담긴 금동 판
백제 사리 신앙의 대중화 과정
신라의 사리 신앙

통일신라시대 사리 신앙
통일신라 사리 신앙 개관
통일신라시대 다라니 신앙
사리 신앙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리 봉안의 사례들

고려시대 사리 신앙
고려 왕실에서 150년 이어진 불아 사리와의 인연, 불아전
고려시대 분分사리 영험의 이야기들
고려시대 불사리 신앙의 몇 가지 예들
신라 자장 스님이 봉안한 불사리의 고려시대 후일담

조선시대 사리 신앙
불사리 신앙의 모범이 되었던 태조
조선 초기 왕실의 사리 신앙
조선시대 사리 신앙의 자취를 전하는 사리탑비
통도사 금강계단 불사리가 돌아온 길고 긴 여정
불사리 봉안의 의미를 설파한 서산대사의 보현사 석가여래 사리기
법주사 팔상전의 사리
두 왕이 봉안한 봉인사 불사리
정암사 수마노탑에 전하는 불사리 봉안의 이적
정암사 수마노탑에 투영된 사리 신앙의 한 모습, 〈갈천산 정암도〉
이적異蹟을 보인 낙산사 공중사리탑
충청도와 전라도를 오갔던 안심사 불사리

근대의 사리 신앙-신문 기사에 실린 불사리에 관한 일화들
근대에 전달된 불골 사리, 1909년
일본에서 돌아온 불국사 사리탑, 1933년
불사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고조되다
괴산에서 돌아온 불사리, 1933년

4장 | 동아시아 사리 신앙

아시아에 사리 신앙을 전한 아소카왕
인도 사리 신앙 대중화 기반을 마련한 아소카왕
중국 사리 신앙 역사에 스민 아소카왕 이야기
우리나라에 전하는 아소카왕의 불사리 봉안

중국 고대 사리 신앙
높고 화려한 탑을 유행시킨 사리 신앙…
탑으로 보는 중국의 사리 신앙
오월왕 전홍숙이 심혈을 기울인 팔만사천 탑 공양
중국 불교 융성의 밑거름이 되었던 사리 영험

일본 사리 신앙의 시작
일본 최초의 사리 영험
일본 사리 신앙에 영향을 준 백제와 신라
일본 사리 신앙의 전개
일본 사리장엄과 사리 신앙, 그리고 헤이안시대의 사리 신앙 혁명

부록 삼국시대~근대 불사리 봉안 사례 일람표
Author
신대현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1992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 900여 전통사찰 및 절터를 답사하며 《전통사찰총서》(사찰문화연구원) 전21권을 기획 공동집필했다. 저서로 《한국의 사리장엄》, 《한국의 사찰 현판》(전 3권), 《옥기(玉器) 공예》, 《진영(眞影)과 찬문(讚文)》, 《적멸의 궁전 사리장엄》, 《우리 절을 찾아서》, 《경산제찰을 찾아서》, 《닫집》, 《테마로읽는 우리 미술》, 《강원도 명찰기행》 등 불교미술 관련서, 《전등사》, 《화엄사》, 《송광사》, 《불영사》, 《성주사》, 《대흥사》, 《낙가산보문사》, 《봉은사》, 《은해사》, 《갓바위 부처님: 선본사사지》, 《낙산사》, 《대한불교보문종 보문사 사지》 등 사찰 역사 문화서들이 있다. 그밖에 한시(漢詩)에 보이는 사찰의 문화와 역사를 해설한 《명찰명시》를 지었으며, 조선시대 최대의 사찰답사기인 《산중일기》를 번역했다. 1985~1986년 호림박물관 학예사, 2000년 동국대학교 박물관 선임연구원, 1999~2000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예술학과 겸임교수, 2006~2007년 뉴욕주립대(스토니브룩) 방문학자(Visiting Scholar)였으며, 현재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이다.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1992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 900여 전통사찰 및 절터를 답사하며 《전통사찰총서》(사찰문화연구원) 전21권을 기획 공동집필했다. 저서로 《한국의 사리장엄》, 《한국의 사찰 현판》(전 3권), 《옥기(玉器) 공예》, 《진영(眞影)과 찬문(讚文)》, 《적멸의 궁전 사리장엄》, 《우리 절을 찾아서》, 《경산제찰을 찾아서》, 《닫집》, 《테마로읽는 우리 미술》, 《강원도 명찰기행》 등 불교미술 관련서, 《전등사》, 《화엄사》, 《송광사》, 《불영사》, 《성주사》, 《대흥사》, 《낙가산보문사》, 《봉은사》, 《은해사》, 《갓바위 부처님: 선본사사지》, 《낙산사》, 《대한불교보문종 보문사 사지》 등 사찰 역사 문화서들이 있다. 그밖에 한시(漢詩)에 보이는 사찰의 문화와 역사를 해설한 《명찰명시》를 지었으며, 조선시대 최대의 사찰답사기인 《산중일기》를 번역했다. 1985~1986년 호림박물관 학예사, 2000년 동국대학교 박물관 선임연구원, 1999~2000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예술학과 겸임교수, 2006~2007년 뉴욕주립대(스토니브룩) 방문학자(Visiting Scholar)였으며, 현재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