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계 박세당의 연행록 연구

$27.00
SKU
97889849440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2/01
Pages/Weight/Size 160*231*30mm
ISBN 9788984944077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박세당의 사상체계를 관통하는 하나의 키워드로서 사실주의적 양상을 형상화하고 그 한계까지 제시해준다. 책 속의 주텍스트와 서브텍스트, 복합테스트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료를 읽는 시각을 명확히 하고, 사료에 담긴 역사적 진실을 추적해 독자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역사 전문학자의 온축된 결과를 잘 반영한 이 책은 독자들에게 박세당의 사상을 알리고, 박세당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서 론
1. 연구 범위와 방법론
2. 서계연록(西溪燕錄)의 구성과 특징
3. 생애와 연행
1) 생애
2) 연행 전후

제2장 박세당의 대청탐규(對淸探窺)
1. 정치군사적 정탐
1) 한족(漢族)의 실태와 청조의 범죄자 및 반민(叛民) 대책
(1) 사행과 탐규 (2) 한족의 차별 실상 (3) 청조의 범죄자와 반민 처벌
2) 청조와 몽골의 군사적 동향 정탐
(1) 청조의 정국과 거리 탐문 (2) 반청세력의 정탐과 반청복명에 대한 기대
(3) 몽골의 범경(犯境) 사태:희봉사(喜峯事)
3) 소결
2. 사회문화적 탐문:대청(對淸) 예속(禮俗) 인식
1) 풍속 관찰
2) 예악(禮樂) 관찰
3) 소결

제3장 1669년 원일(元日)의 조의기(朝儀記)
1. 조참의와 주요 관찰 포인트
1) 원일 정조
2) 황제의 동정(動靜)과 여타의 시점
2. 사연(賜宴)과 주요 관찰 포인트
3. 소결

제4장 서계연록의 고증기록과 실증적 탐구
1. 산천지리의 실증과 그 원칙
2. 사원과 성 및 여타의 소재
3. 비(碑) 명(銘)과 회동관의 벽서 고증
4. 소결

제5장 불교적 서술단위와 박세당의 불교 인식
1. 사원과 승려에 관한 묘사
2. 계율수행 인식과 몇 쟁점
3. 소결

제6장 조선 피로인 묘사와 민물(民物) 견문
1. 병자호란의 잔흔과 이주의 몇 유형
1) 서계연록 속의 조선 피로인
2) 쇄래(刷來) 이주와 동래(東來) 이주
(1) 쇄래 이주 (2) 동래 이주:강세작전(康世爵傳)
3) 소결
2. 사행(使行)과 청조 문물의 체험
1) 민물 견문
2) 역법논쟁의 체험
3) 소결

제7장 결론 : 서계연록과 박세당식 사실주의(事實主義)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