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1. 연구 배경과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6
3. 연구 의의와 한계 7
Ⅱ.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정의와 국제사회의 정책방향 9
1.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에 관한 정의와 개념 11
2. 국제 인권기준과 여성의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15
3.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영향 및 구성 요소 22
가.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영향 요소 22
나.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구성 요소 24
4.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에 관한 국제사회의 방향 27
Ⅲ.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국내외 정책 분석 33
1.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성인지적 분석 35
2. 해외 주요 국가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 정책 분석 59
Ⅳ.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 보장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쟁점 105
1.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보장 관련 법제도 현황 107
2.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법제도 쟁점 124
3. 소결 138
Ⅴ. 성?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인식과 경험 조사?분석 141
1. 조사 개요 143
2. 조사 결과 149
3. 소결 248
Ⅵ. 정책 방향 및 과제 257
1.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로 패러다임 전환 261
2.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법?제도 정비 266
3.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교육?정보 제공 278
4. 성과 재생산 건강권 보장을 위한 보건의료자원의 질제고 및 접근권 강화 288
5.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 관련 중장기적 연구추진 및 통계 생산 292
참고문헌 309
부 록 339
부록 1. 일반논평 제22호(2016) 성?재생산 건강 권리(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 341
부록 2. 여성노인의 성 의식과 성 권리 조사결과 360
부록 3. 결과표 362
부록 4. 설문지 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