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시간 측정 및 행동평가 기준의 젠더불평등성 개선방안

$15.12
SKU
978898491932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0/31
Pages/Weight/Size 160*235*11mm
ISBN 9788984919327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가. 연구의 배경 3
나. 연구 목적 6
2. 연구 내용 및 방법 7
가. 연구 내용 7
나. 연구 방법 8
3. 연구의 한계점 및 의의 9

Ⅱ. 가사노동 성불평등성 실태와 측정도구의 한계점 11
1. 가사노동 수행의 성불평등 실태 13
가. 자료 및 방법 15
나.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 불평등 실태 19
다.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분담률 24
2. 현행 가사노동시간 측정도구와 한계점 35
3. 가사노동의 범주에 대한 검토 38
4. 요약 및 소결 40

Ⅲ. 가사노동 측정도구 재구성을 위한 초점집단인터뷰(FGI) 결과 분석 43
1. 초점집단인터뷰(FGI) 개요 45
2. 초점집단인터뷰(FGI)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개념과 범주 48
가. 개인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확장되는 가사(노동) 48
나. 가사노동의 속성 49
다. 가사노동 측정 항목의 재구성 55
3. 초점집단인터뷰(FGI)를 통해 본 가사노동 분담 실태 61
가. 가사분담 기준과 형태 61
나. 이상적 가사분담의 형태와 조건 66
4. 소결 73

Ⅳ. 재구성한 가사노동 측정도구에 따른 가사노동 수행 실태 분석 75
1. 조사 개요 77
가. 조사 목적 및 조사대상 77
나. 조사내용 77
다. 표본설계 83
라. 조사 방법 및 진행 경과 88
마. 응답자 특성 90
2. 가사노동의 범주와 이미지에 대한 인식 92
가. 가사노동의 범주 92
나. 가사노동의 이미지 94
3. 가사노동 수행의 젠더불평등성 98
가. 성별 수행 주체에 대한 주관적 인식 비교 99
나. 성별 수행 여부 비교 102
다. 성별 수행 시간량 비교 113
라. 가사노동 수행 즐거움의 성별 차이 122
4. 가사 분담의 공평성 인식 및 필요 조건에 대한 의견 128
가. 가사분담의 공평성 인식 및 사유 128
나. 공평한 가사 분담을 위한 필요 조건에 대한 의견 131
5. 요약 및 소결 134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139
1. 요약 및 함의 141
2. 정책 제언 146

참고문헌 153

부 록 157

Abstract 175
Author
김영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