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한정책 개선과 발굴(Ⅱ)

$15.12
SKU
97889849192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2/31
Pages/Weight/Size 160*235*14mm
ISBN 9788984919211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필요성과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5
가. 연구내용 5
나. 연구방법 7

Ⅱ.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연구 배경 11
1.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개념과 범주 13
2. 빅데이터 정책의 여성가족 관련성 15
가. 국정과제의 빅데이터 정책 15
나. 공공데이터 정책 16
3.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의 구축과 활용사례 19
가. 유엔 데이터투엑스(Data2X) 현황 19
나. 미국, 유럽연합 등의 여성 빅데이터 정책과 활용 28

Ⅲ. 빅테이터 활용과정에서의 성차별 가능성과 대응방안 37
1. 문제제기 39
2. 빅데이터 알고리즘의 중립성에 관한 논의 40
가. 알고리즘 중립성의 정의 40
나. EU의 알고리즘 중립성 논의 42
다. 미국의 알고리즘 중립성 논의 47
3. 빅데이터 자료수집과 알고리즘의 차별 가능성 50
가. 빅데이터 라이프 사이클 51
나. 빅데이터 수집 통합과정에서의 차별 가능성 52
다. 빅데이터 알고리즘의 차별 가능성 55
4. 빅데이터 자료수집과 알고리즘의 성차별 사례 59
가. 해외 구인광고 추천 알고리즘 60
나. 국내 신용정보회사의 소득추정 알고리즘 60
다. 국내 구인구직 추천 알고리즘 62
라. 국내 보험 인수심사 알고리즘 63
5. 빅데이터 차별 방지를 위한 방안 64
가. EU의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에서의 알고리즘 규제 방안 64
나. 미국의 빅데이터 알고리즘에 대한 대응 65
다. 빅데이터 차별 방지를 위한 전략제안 66
6. 결 론 68

Ⅳ. 여성안전 분야의 공간빅데이터 활용방안 69
1. 연구배경 및 목적 7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72
3. 공간빅데이터의 정책동향 및 활용사례 74
가. 공간빅데이터의 정의와 중요성 74
나. 공간빅데이터 정책동향 78
다.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81
4. 여성안전을 위한 공간빅데이터 시범분석 88
가. 시범분석 주제와 분석방법 88
나.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 90
다. 분석결과 109
5. 여성안전 분야 공간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제언 116
가. 분석결과의 한계 116
나. 공간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제언 117

Ⅴ.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성의 고위험음주 분석과 정책대안 121
1. 서론 123
가. 연구배경 및 목적 123
나. 연구의 내용과 방법 125
2. 여성 고위험음주 현황 및 추이분석 126
가. 여성 고위험음주 추이 126
나. 여성 고위험음주 현황 129
3.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성 주류소비 현황 및 추이 분석 132
가. 신용카드 이용 여성의 주류소비 현황 132
나. 여성의 주류소비 추이 133
다. 주류소비 여성의 특성과 맥락 분석 137
4.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성 고위험음주의 폐해 결과 144
가. 음주기인질병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이용 및 의료비 추이 145
나. 음주수준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및 의료비 146
5. 여성 고위험음주에 대한 정책제언 149
가. 주요 연구결과 149
나. 성인지적 음주예방정책이 가지는 정책적 함의 150
다. 빅데이터에 기반한 건강증진연구 방법론에 대한 함의 151

Ⅵ.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미투담론의 파급양상 분석 153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155
가. 사회관계망서비스와 미투운동의 발생 155
나. 연구의 목적 157
다. 연구 대상과 방법 157
2. 기초분석 159
가. 미투운동의 사건별 흐름 159
나. 게시글 분석 164
다. 댓글 및 재댓글 분석 171
3. 영향력자 분석 174
가. 영향력자의 분석의 의의와 도출과정 174
나. 영향력자의 소셜 액션 현황 175
다. 영향력자의 성향 분포 178
라. 영향력자의 집단별 소셜 액션 현황 184
마. 상위 50위 영향력자들의 관계망 분석 187
4. 분석의 결론과 정책적 함의 188

[이하 원문 확인]
Author
문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