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취업 활성화를 위한 미래 고용서비스 전략 연구

$21.60
SKU
97889849189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0/31
Pages/Weight/Size 175*250*20mm
ISBN 9788984918979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1. 서론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취업을 위한 고용서비스의 포괄적인 의미는 고용알선 서비스뿐만 아니라 취업상담, 직업훈련, 일자리 발굴 등 여성 고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를 발굴하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을 위한 기본계획을 5년에 한 번씩 수립하고 있으며, 이 계획에는 여성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고용시장의 방향과 고용서비스 정책을 중심으로 새로운 고용서비스의 내용 발굴 및 지역 내 고용서비스 기관들이 서로 시너지를 내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입해야 할 정책 과제를 개발하여 새로운 미래 여성고용정책에 도입하고자 한다.

나. 주요 연구 내용
지역 내 고용서비스 내용 파악 및 우수 모형 개발
-고용센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새일센터, 일자리 센터 등 고용과 관련한 주요 전달체계의 서비스 내용 분석
-취업성공패키지 등 민간위탁기관 등의 서비스 내용 파악
-민간과 공공, 지자체와 중앙정부 차원의 고용서비스 협업 모형 개발

여성 일자리 발굴 전략 모색
-고용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일자리 디자인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일자리 발굴 및 정책 개발

실업자, 재직자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재직여성 내일배움카드제 활용 및 사업주 훈련 현황
-실업여성 내일배움카드제, 국가기간전략산업, 새일직업훈련 현황
-문제점 및 정책대안 제시

다. 연구 방법
선행 정책자료 및 문헌연구
정책 전문가 워크숍
현장 전문가 FGI
e-새일시스템 자료 분석
HRD-net 자료 분석

라. 기대효과
지역 내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의 협업 유도
지역 여성고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
여성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유연화에 기여
고용서비스 선진화 및 여성 고용률 제고 기여

(이하 원문 참조)

Contents
Ⅰ. 서 론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
가. 연구의 필요성 / 3
나. 연구 목적 / 4
2. 연구 방법 / 5
가. 주요 연구 내용 / 5
나. 연구 방법 / 5
다. 기대효과 / 6

Ⅱ. 지역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현황 / 7
1. 고용센터 / 9
가. 취업지원 / 10
나. 실업급여 지급 / 11
다. 직업능력개발 / 12
라. 기업지원 /12
마. 취업성공패키지 / 13
바. 대학청년고용센터 / 17
2. 고용복지플러스센터 / 18
3. 새일센터 / 21
가. 새일센터 설립배경 및 현황 / 21
나. 새일센터 유형별 분류 / 22
다. 취업지원서비스 / 25
4.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 26
5. 전달체계의 역할 및 문제점 / 31
가. 고용서비스 기관들의 역할 / 31
나. 지역 고용서비스 기관으로써의 일자리 센터 역할 / 33

Ⅲ. 여성취업 협업을 위한 전달체계 실태 분석 / 37
1. 조사 개요 / 39
가. 조사 목적 / 39
나. 조사 대상 및 내용 / 39
2. 여성 취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 고용 서비스 기관 협업 과정 / 43
가. 주요기관의 역할(일반vs특화) / 43
나. 지역 고용서비스 기관의 서비스 수요자 만족도 / 46
다. 지역 고용서비스 기관의 역할 / 50
라. 기관 간 관계와 협업 사례 / 55
마. 지역 일자리 발굴과 공유 과정 / 58
바. 워크넷 사용 권한에 따른 불신 / 60
사. 요약 및 문제 / 62

Ⅳ. 여성 재직자 및 실업자 직업교육훈련 분석 결과 / 67
1. 직업교육훈련 개괄 / 69
2. 직업교육훈련 분석 내용 및 자료 / 70
3. 재직자 분석 결과 / 72
가. 재직자계좌제 / 72
나. 기업주 지원 / 81
4. 실업자 분석 결과 / 85
가. 실업자계좌제 / 85
나.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 101
5. 새일센터 직업훈련 현황 / 113

Ⅴ. 결 론 / 121
1. 고용서비스 기관 협업을 위한 모형 개발 / 123
가. 분절적 고용서비스의 문제 / 123
나. 통합적 고용서비스 발전 모형 / 126

참고문헌 / 129

부 록 / 131

Abstract / 143
Author
오은진,이승현,지현